근본번뇌 (根本煩惱) /청화큰스님

2013. 2. 28. 22:05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불교교리·용례

728x90

 

 

근본번뇌 (根本煩惱)

청화큰스님

 

번뇌(煩惱)…무명(無明), 혹(), 루()

근본번뇌(根本煩惱)…약설(略說)하면 탐(), 진(), 치()의 삼독(三毒)


십번뇌(十煩惱)…십혹(十惑), 본혹(本惑)

1. 탐() ┐

2. 진() │ 오둔사(五鈍使)…사혹(思惑), 수혹(修惑) 또는 사혹(事惑)

3. 치() │

4. 만() │ ※견도(見道) 및 수도위(修道位)에서 점단(漸斷) 함.

5. 의() ┘


                   ┌아견(我見)

6. 신견(身見)└아소견(我所見)┐

7. 변견(邊見)                         │오리사(五利使)…견! 혹(見惑) 또는 리혹

8. 사견(邪見)                         │                         (理惑)

9. 견취견(見取見)                   │※ 견도위(見道位)에서 돈단(頓斷)함

10.계금취견(戒禁取見)           ┘


  

우리가 범부(凡夫) 중생인 한에는 천지우주를 하나의 부처로 못 봅니다. 천지우주가 무량(無量)한 광명이 충만한 부처의 한 덩어리요 청정미묘(淸淨微妙)한 하나의 생명체인 불성(佛性)인데, 그것을 잘못 보는 것입니다. 그것은 우리의 마음이 맑지 못하고 흐리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우리의 마음을 번거롭게 하고 괴롭히고 어지럽히고 미혹(迷惑)하게 하여 더럽히는 것을 번뇌(煩惱)라 합니다. 또한 천지우주가 바로 부처인 실상(實相)을 바로 못 보고 진리에 어두워서 무명(無明)이라 하고, 또는 실상을 바로 보지 못하게 하는 미망(迷妄)으로 우리의 본래 청정한 마음을 의혹(疑惑)하는 것이므로 혹()이라고도 말합니다.

   

우리 범부중생은, 마음이 바로 부처요, 천지우주가 한 덩어리 부처뿐인 것을 나요 너요 분별하고, 옳다 그르다 시비하는 어리석은 치심(痴心)이 뿌리박혀 있습니다. 이러한 치심(痴心)은 사물을 바로 못 보는 것입니다. 앞서 말씀대로 둘로 셋으로 분별해 보고, 나와 너를 한계 있게 보고, 이런 것은 모두가 다 어리석은 치심입니다.

또한 치심이 있기 때문에 우리가 탐심(貪心)을 내고 진심(瞋心)을 냅니다. 이 세 가지 독스러운 마음인 삼독심(三毒心)은 서로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우리는 탐욕을 내고도 그 마음이 독스러운 줄을 모르고, 성 내고도 그 마음이 독스러운 줄을 모릅니다. 이런 삼독심을 내면 그 즉시에 우리의 생리도 변화가 오는 것입니다.

   

우리는 물질과 정신이 하나인 줄을 분명히 알아야 합니다. 에너지와 물질이 둘이 아닌 것을 지금 물리학은 증명을 합니다. 에너지가 곧 물질이요, 물질이 곧 에너지인 것입니다. 그와 마찬가지로 우리 마음이 곧 물질이요, 물질이 곧 마음입니다.

우리 마음을 한번 일으키는 그 순간 우리 몸을 구성하는 물질도 역시 변화가 생기는 것입니다. 우리가 탐욕심을 한번 딱 내면은 미세할 망정 우리 몸의 세포에는 분명히, 구체적으로 말하면, 수적(水的) 요소, 자력적(磁力的)요소가 증가됩니다. 우리가 성을 내면 성내는 바로 그 순간 우리 몸을 구성하는 전자(電子)가 증가됩니다.

   

천지우주가 구성될 때 맨 처음에는 텅 비었습니다마는 텅 빈 가운데서 중생들의 탐욕심과 또는 성내는 진심과 이런 것이 모이고 모여서 우주를 구성한 것입니다. 탐ㆍ진ㆍ치 삼독심이 가장 간략히 말하는 근본번뇌이고, 조금 더 풀이해서 말하면 십번뇌(十煩惱)라, 열 가지 번뇌로 말합니다. 또한 십혹(十惑)이라고 말하는 이 번뇌가 근본번뇌이기 때문에 본혹(本惑)이라고도 합니다. 열 가지 번뇌가 근본번뇌인 셈이지요, 더 간추리면 탐심과 진심ㆍ치심이고 말입니다.

   

열 가지 번뇌[十煩惱 ]는 무엇인고 하면,

맨 처음에 탐심(貪心)이라, 탐욕심이요,

그 다음에 진심(瞋心)이라, 진()자는 성낼 진자고 진()자는 눈 부릅뜰 진자입니다. 내나 뜻은 같지만 글자만 조금 다르고 두 가지를 다 쓰는 셈입니다. 성내는 마음 진심이라,

셋째번은 치심(痴心)이라, 어리석은 마음이요,

네째번은 만심(慢心)이라, 곧 아만심(我慢心)이라는 말입니다. 자기가 무엇을 조금 잘하면 ‘나’ 이거니 하고 아만심을 냅니다. 아만심도 근본 번뇌의 하나입니다. 우리가 범부(凡夫)인 한, ‘나다’ 하는 마음이 있는 한에는, 자기가 조금 낫다거나 남보다 조금 더 수승(殊勝)한 일이 생기면 그냥 아만심을 냅니다. 재산이나 학문이나 얼굴이나 모두 다 그런 것으로도 아만심을 냅니다.

그 다음 다섯번째는 의심(疑心)이라, 의심도 역시 근본번뇌의 하나입니다. 우리 중생은 진리를 모르는 한에는 역시 의심을 냅니다. 어제도 말씀 드렸습니다마는 만물의 성상(性相)이라, 만물! 의 본성과 현상을 다 알아버리면 그때는 의심이 안나옵니다. 그러하나, ‘만물의 본성이 무엇인가, 현상계의 여러가지 복잡한 현상, 이것이 무엇인가’ 이런 것을 모르면 그때는 의심이 나옵니다. 의심도 역시 번뇌입니다.

   

그 다음 여섯번째는 신견(身見)이라, 이것은 자기에 따른 고집이라는 말입니다. 우리 범부는 자기에 따른 나()라는 고집을 버리기가 제일 어렵습니다. 일체 번뇌는 ‘나’ 라는 고집 때문?! ? 일어납니다. ‘나’ 라 하는 아상(我相)이 없으면 번뇌가 일어날 턱이 없습니다. ‘나’ 라 하는 번뇌 가운데는 아견(我見)과 아소견(我所見) 두 가지가 있습니다.

아견(我見)이라 하는 것은 ‘나’ 라고 하는 견해입니다. 나의 몸이라 하는 것은 지()ㆍ수()ㆍ화()ㆍ풍() 사대(四大) 즉, 산소나 수소나 탄소나 질소나 그러? ? 각 원소(元素)가 합해서 겨우 몸이 이루어진 것 입니다. 내 것이라고 고집할 것이 실은 아무 것도 없는 것입니다. 따지고 보면 인연법(因緣法) 따라서 잠시간 이렇게 한 세포가 이루어져 있을 뿐입니다. 또한 내 마음은 무엇인가? 어제도 말씀하였지만, 내 마음은 우리가 감수(感受)하는 감각작용, 상상하는 작용, 의욕하는 작용, 분별시비하는 의식활동, 이러한 부스러기가 모여서 내 마음이 되었단 말입니다. 불교는 이런 면에서 지극히 분석적이고도 과학적입니다.


아까 말씀드린 바와 같이, 내가 잘 몰라서 내 몸을 ‘내 것이다’ 고 소중히 아는 것이지 객관적으로 냉정히 본다고 하면, 다만 인연 따라 각 세포가 모여서 하나의 존재가 이루어져 있다는 말입니다. 우리 마음도 역시 보고 듣고 느끼고 생각하는 그런 것들이 모여서 내 마음이 되었다는 말입니다. 그러한 것이 나인데, 실은 고집할 것이 아무 것도 없는 것 입니다. 이런 나라는 것에 대해서는 또 나중시간에 보다 더 세밀하게 설명 드리겠습니다마는, 이런 것이 ‘나’ 다 하는 아견(我見)입니다.

   

그 다음 아소견(我所見)이란, ‘나’ 다 하는 생각이 있으면 그 때는 ‘내 것’ 이라는, ‘내 소유’ 라는 생각이 따릅니다. 내 옷 또는 내 남편, 내 아내, 내 동생, 또는 내 물건 말입니다. 나라는 존재가 실은, 따지고 보면 허망한 것인데, 허망한 줄을 모르고서 나한테 따르는 모든 존재나 사람을 내 것이라고 고집하는 것입니다.

성자(聖者)와 범부(凡夫)의 한계도 여기에 있습니다. 성자는 나라는 고집이 없고 내 것이라는 고집이 없습니다. 업장이 많을수록 내 것이라 하는 소유관념이 강합니다. 그 사람 행동을 보면 ! 다 빤히 아는 것입니다. 업장이 무거운가 또는 가벼운가는 아견, 아소견이 얼마나 강한가, 얼마나 집념이 강한가를 알면 되는 것입니다. 공부가 많이 되어서 번뇌가 희박한 사람은 이런 관념이 희박한 것입니다. 내 몸, 내 마음 등 ‘나’ 라는 관념 또는 내 소유(所有) 관념, 이것이 신견(身見)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그 다음 일곱번째는 변견(邊見)이라, 나다 하는 관념이 있으면 ‘내 몸이 과연 얼마나 존재할 것인가’ 하고 의심하는 것입니다. 나라는 몸뚱이가 항시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상견(常見)인데! , 범부는 욕심인지라 ‘나 같은 몸이 안 죽고 항시 있으면’ 하고 바랍니다. 그래서 죽은 뒤에도 나 같은 몸이 다시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러나 죽은 뒤에는 나 같은 몸은 어디에도 없습니다. 영원히 없습니다. 다만, 나를 움직이고 있는 업식(業識)만 존재 합니다. 우리가 한번 죽어지면 몸뚱이는 단 한걸음도 못 따라 갑니다. 현명한 사람들은 죽음을 항시 보는 것입니다.

그런데 변견은, 내가 있다고 생각할 때에 ‘내 존재가 항시 있으면 하겠다’ 하는 상견(常見)과 또 한 가지는 단견(斷見)입니다. ‘내 몸도 마음도 금생에 다 끝나버리는 것이지 후생은 전혀! 없다 전생도 없다 우연히 내가 존재해서 내가 있는 것이지 전생도 없고 내생도 없다’ 이와 같이 아주 단절된다고 생각하는 견해입니다. 이것이 단견입니다.

   

그러나, 사실은 우리 인간은 항상 존재하리라는 상견도 아니고 또는 금생만 존재하리라는 단견도 아닙니다. 어찌 그런고 하면, 비록 내가 죽어지면 나 같은 모양은 없다 하더라도 내 마음 따라서 또 거기에 알맞는 몸을 받는 것입니다.

가사, 지옥같은 마음을 쓰고 죽으면 그때는 바로 지옥에 들어가서 지옥도(地獄道)의 몸을 받는 것이고, 사람같은 행동도 하고 오계(五戒)도 지켰다고 하면은 다시 사람으로 인도환생(! 人道還生)해서 사람 몸을 받는 것이고, 십선(十善)을 행했다고 그러면 천상(天上)에 올라가서 천상의 안락을 받는 것이고, 도업( 道業)을 많이 닦아서 참선을 많이 하고 계행(戒行)을 지켰다고 하면 그때는 극락에 가서 영생(永生)의 행복을 맛보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끊어지는 것이 아니라, 비록 금생에서 우리가 알 수는 없다 하더라도, 죽어지면 그와 같이 우리 행위인 업() 따라서 다시 받는 것입니다. 또한 과거 전생에도 역시 우리가 받아왔던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 인간은 똑같은 몸이 항상 존재한다는 상견도 아니고 또한 동시에 금생만 있고 끊어져버린다는 그런 단견도 아닙니다. 이런 상견, 단견이 변견(邊見)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그 다음 여덟번째는 사견(邪見)이라, 이것은 인과(因果)의 법칙을 무시하는 견해입니다. 우리가 악()을 행하면 반드시 악의 과보로 괴로운 고()가 있고, 선()을 행하면 그 과보로 반드시 거기에 맞는 안락(安樂)이 있는 것인데, 우리 중생은 그것을 부인합니다. 어찌 그런고 하면, 금생에 조금 좋은 일을 했다 하더라도 그냥 고생만 받는 사람들은 좋은 일을 해도 쓸데없다고 부정합니다. 또는 금생에 별로 좋은 일을 안 했음에도 불구하고 부자가 되기도 하고 또는 지위도 높은 사람들이나 또는 옆에서 이런 것을 보는 사람들은 ‘아, 착한 것도 쓸데가 없다. 나쁜 짓만 하고 악한 사람도 잘 된다’ 이런 말들을 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것이 인과를 부정하는 것이고 사견(邪見)입니다.

그러나, 인과는 분명한 것입니다. 착한 사람이 좀 못 산다 하더라도 그것은, 과거 전생에 조금 나쁜 업을 지었기에 금생에는 착한 일을 한다 하더라도 우선은 좀 그렇게 고()를 받는 것입니다. 그러나 나쁜 업이 사라지면 그때는 금생에 착한 업으로 해서 다시 안락을 받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인과(因果)라는 것은 조금도 변함이 없습니다. 불교를 믿는 분들은 우선 인과를 믿어야 합니다. 착한 일을 하면 반드시 그 과보로써 안락과 행복이 오고 악을 행하면 또 그 과보로 반드시 불행이 온다는 인과를 믿는 것이 불교인의 초보입니다.

   

그 다음 아홉번째는 견취견(見取見)이라, 이것은 나쁜 견해를 좋은 견해로 알고서 고집하는 것입니다. 가사 ‘맑스주의가 옳다 이슬람주의가 옳다’ 이와 같이 절대주의가 아닌 것을 절대라고 생각하고 고집하는 것입니다. 정치인들이 시야비야 하는 것도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영원적인 차원에서 본다고 하면 별것도 아닌데 야당은 야당대로, 여당은 여당대로 서로 옳다고 고집하는 것입니다. 그런 것이 모두가 다 견취견에 해당 합니다. 절대적인 지혜가 아닌 것을 가지고서 절대! 적으로 옳다고 고집하는 견해가 견취견(見取見)입니다.

   

그 다음 열번째는 계금취견(戒禁取見)입니다.

이것은 어떤 계행을 지키는 것이, 성불을 위한 계행도 있습니다만, 성불을 위한 것도 아니고 별것도 아닌 계행을 외도(外道)꾼들이 고집하며 지키는 것들입니다. 인도 바라문교의 한 파에는 견행(犬行)이라, 개같은 행동을 취하면 죽어서 천상에 간다는 말도 있습니다. 그래서 사람이 그냥 꼭 개와 같은 행동을 취하는 것입니다. 옷도 안 입고 그냥 발가벗고 다니면서 행동하는 것입니다. 이런 ‘개와 같은 행동을 취하면, 그런 고행(苦行)으로서 내생에는 천상에 간다’ 이와 같은 그릇된 것을 믿고서 그런 행동을 하는 것입니다.

고행을 하면, 고행 그것이 의의가 없는 것이 아니겠지만, 고행이 바로 성불의 필연적인 길은 아닌데, 고행을 취하면 성불한다고 해서 억지로 고행을 합니다. 이런 것도 역시 계금취견에 해당합니다. 즉 어느 계행이, 어느 계율이나 어느 행동이 참다운 도()의 원인이 아닌데도, 참다운 도()나 행복의 원인이라고 생각하고서 고집하고 그러한 법을 지키는 것이 계금취견에 해당합니다.

   

위와 같은 열 가지가 근본번뇌(根本煩惱)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다른 번뇌는 다 외울 수가 없다 하더라도 근본번뇌만은 외워두어야 그때그때 우리가 피하고 지킬 수가 있게 되지 않겠습니까, 탐심(貪心)내지 말고, 진심(瞋心)내지 말고, 어리석은 치심(痴心)내지 말고 또는 아만심(我慢心)내지 말고, 진리에 대해서 의심(心)하지 말고, 또는 신견(身見 )이라, 자기의 몸뚱이나 자기 소유에 대해서 욕심내지 말고, 우리가 사는 한에는 전연 욕심을 내지 않을 수는 없겠습니다만 우리가 관심은 둔다 하더라도 탐욕심인 지나친 욕심을 내면 반드시 화()가 옵니다.


그리고 우리 인간의 생명에 관해서 금생 내생을 통해서 다 끊어버린다는 관념이나 나와 같은 몸이 항시 있으리라는 관념인 변견(邊見) 갖지 말고, 다만 인연 따라서 행동 따라서 이런 몸이 생기므로 행동을 내가 좀더 좋게 하면 보다 더 좋은 데에 태어날 것이고 나쁘게 하면 나쁜 데로 추락할 것이고, 또는 선을 행하면 안락의 과보가 있고 악을 행하면 불행의 과보가 틀림없이 있다는 인과를 믿어야 할 것이지 삿된 견해(邪見)를 믿지 말고, 또는 옳지 못한 무슨 주의나 사상같은 나쁜 견해를 믿지 말고, 또는 옳지 못한 무슨 주의나 사상같은 나쁜 견해를 옳다고 생각해서 그런 견취견(見取見) 때문에 하나의 단체를 만들어서 괜히 사회를 혼란스럽게 하지 말아야 합니다. 대체로 단체라는 것은 보통은 다 견취견이라, 이런 견해를 가지고 하나의 이념을 삼고 강령을 만들고 단체를 꾸밉니다. 또는 성불의 원인도 아니고 또는 천상에 가는 원인이 아닌데도 삿된 법을 가지고서 고집하고 닦는 계금취견(戒禁取見)을 갖지 말아야 합니다.

 

 


     

    後悔 없는 老年....



    우리는 살아오다 어느날
    문득 老年을 보내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머리카락은 어느새 백발을 향하고
    몸은 생각같이 움직이지 않으며
    자식들도 이제는 중년의 나이로
    아들과 딸들은 결혼을 하여 아빠, 엄마가 되어 있다

    영원히 함께 있을 것 같던 아이들은
    하나 둘 우리들의 품을 떠나가고
    백년을 함께 살자고 맹서했던 부부는
    오랜 세월을 살아오면서 어쩔수 없이
    늙어가는 서로를 바라보며 노년을 보낸다

    가족을 너무 의지하지 마라
    그렇다고 가족의 중요성을 무시하라는 것은 아니다
    움직일수 있는 한
    나 아닌 다른 사람을 의지하는 건 절대 금물이다

    자신의 노년은
    그 어느 누구도 대신해 주지 않는다
    자신의 것을 스스로 개발하고 스스로 챙겨라

    당신이 진정으로 후회 없는 노년을 보내려거든
    반드시 한두 가지의 취미 생활을 가져라

    산이 좋으면 산에 올라 세상을 한번 호령해보고
    물이 좋으면 강가에 앉아 낚시를 해라
    운동이 좋으면 어느 운동이든 땀이 나도록 하고
    책을 좋아하면 열심히 책을 읽고 글을 써라

     

    그리고
    인터넷을 좋아하면 정보의 바다를
    즐겁게 헤엄쳐라

    좋아하는 취미 때문에 식사 한끼 정도는
    걸러도 좋을 만큼 집중력을 가지고 즐겨라
    그 길이 당신의 쓸쓸한 노년을 의미있게
    보낼 수 있는 중요한 비결이다

    자식들에게 너무 기대하지 마라
    자식에게서 받은 상처나 배신감은 쉽게
    치유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부모를 만족시켜 주는 자식은 그렇게 많지 않다
    기대가 큰 자식일수록 부모의 마음을 아프게 한다

    자식들의 영역을 침범하거나 간섭하지 마라
    자식들은 그들이 살아가는 삶의 방식이 따로 있다

    도를 넘지 않는 적당한 관심과 적당한 기대가
    당신의 노년을 평안과 행복의 길로 인도할 것이다

    악처가 효자보다 낫다’는 옛말은 참고 할 만하니
    식어가는 부부간의 사랑을 되찾아 뜨겁게 하라

    그리고
    이 나이는 사랑보다 겹겹이 쌓여진 묵은 정으로
    서로의 등을 씻어 주며 사는것이 아니겠는가

    그래도 자식들을 가까이에 두며
    친척들은 멀리 하지 말고
    진정 마음을 나눌 수 있는 함께 할 벗이 있다면
    당신의 노년은 화판에
    그려 진 한폭의 수채화처럼 아름다울 것이다.

     

     

    옮긴 글


     

    미소-사해

     

    그대는 아시나요?

    지나간 옛시절의 꿈을

    못다한 많은 사연을

    밤바람에 날려보내리

     

    외로운 마음은 누구의 선물인가

    그대의 마음을 나에게 주오.

    장미꽃 향기처럼

    부드러운 그대의 미소

    아무도 주지 말아요

    나에게만 영원하리라

    외로운 마음은 누구의 선물인가

    그대의 마음을 나에게 주오.

    장미꽃 향기처럼

    부드러운 그대의 미소

    아무도 주지 말아요

    나에게만 영원하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