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문 3 : 빔[공]을 실천하는 길 (1)

2014. 4. 23. 17:48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불교교리·용례

728x90

사진

TALK 3 : THE WAY TO PRACTISE IN ORDER TO ABIDE WITH EMPTINESS

법문 3 : 빔(공)을 실천하는 길

 

1.

In the last talk I explained all the various principles associated with emptiness. Now there remains only to speak of the ways to practise in order to abide with emptiness, ways that will be useful to an people, even those who are uneducated or haven't studied the texts for themselves.

지난 법문에서는 빔(공)과 연관된 여러가지 원리를 모두 설명했습니다. 이제 빔(공)에 머물기 위해 실천할 길에 대한 것만 남아 있습니다. 이 길은 사람들에게 유용할 것이며, 교육받지 못한 사람이나 스스로 책(경전)을 공부하지 못한 사람들에게까지 유용할 것입니다. 

 

Regarding this matter of 'abiding with emptiness' we will have to look at the meanings of a number of words in some detail, in particular the words 'know' and 'realize' and the phrases 'see clearly', 'abide with' and 'to be empty'. To speak in everyday language,

"we know = we know emptiness

we realize = we realize emptiness

we see clearly = we see emptiness clearly

we abide with = we abide with emptiness

we are empty = we are empty with emptiness

i.e. we are emptiness itself."

How do all these phrases differ in profundity? In what way can they be looked at so as to have the same meaning or level of meaning?

'빔에 머무름'의 이 문제에 관해, 몇 낱말의 의미를 좀 자세히 보아야 할 것입니다. 특히 '안다(know)', '깨닫는다(realize)'라는 낱말과, '분명히 본다(see clearly)', '~으로 머문다(abide with)', 및 '비어 있다(to be empty)'라는 구절을 자세히 보십시오. 일상언어로 말해보면,

"우리는 안다 = 우리는 빔을 안다.

우리는 깨닫는다 = 우리는 빔을 깨닫는다.

우리는 분명히 본다 = 우리는 빔을 분명히 본다.

우리는 머문다 = 우리는 빔으로 머문다.

우리는 비어 있다 = 우리는 빔으로 비어 있다.

즉, 우리는 빔 그 자체이다" 

이 모든 구절이 그 깊이(심오함)에서 어떻게 다를까요? 같은 의미 또는 같은 수준의 의미를 가지려면 어떤 식으로 보아야 할까요?

 

First of all, to take the phrase 'we know emptiness', most people will think that that means that we have studied and discussed it. If our knowing is merely that much then we don't know emptiness correctly. The word 'know' in Dhamma-language doesn't refer to the knowing that comes from study or listening or anything like that. Such knowing, even if we are sure that we fully understand, is not complete. The words 'know' and 'understand' in ordinary everyday language are solely a matter of reading and listening, of thought and logical consideration. Those techniques cannot be employed to know emptiness. The knowing of emptiness refers to the awareness of emptiness in a mind that is truly empty. For there to be the' knowing of emptiness, emptiness must be experienced at the moment of knowing, it must be a moment of direct realization. This then is called 'knowing emptiness'.

 

우선 '우리는 빔을 안다'를 보면, 대부분의 사람은 우리가 빔(공)을 공부했고 논의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앎이 단지 그 정도라면 빔(공)을 바르게 아는 것이 아닙니다. 담마 언어에서 '안다'라는 말은 공부하거나 듣거나 또는 이와 같은 행위에서 나오는 앎을 지칭하지 않습니다. 완전히 이해하는 것이 확실하다고 해도 완전히 아는 것이 아닙니다. 일상 언어에서 '안다'와 '이해한다'는 말은 순전히 읽고 듣고 생각하고 논리적으로 고려하는 차원입니다. 이런 기교는 빔(공)을 알기 위해 쓸 수 없습니다. 빔(공)을 아는 것은 진실로 빈 마음에서 빔을 알아차리는 것을 말합니다. 빔을 안다면, 빔은 아는 순간에 틀림없이 경험됩니다. 이 순간은 직접적인 깨달음의 순간입니다. '빔을 안다'고 하는 것은 이것입니다. 

 

After we've heard something a couple of times, going off and thinking about it and then considering logically that it should be possible or that it 'may well be like that, is not yet the knowing that is meant here, it is the knowing and understanding of worldly language. Please take the word 'know' as it is used here in the particular sense it has in the Buddhist Teachings.

우리는 어떤 것을 몇 번 들은 후에, 잊었다가 생각하고 나서 가능할 것인지 잘될 것인지 논리적으로 고려하는 것은 아직 여기서 의미하는 아는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세속 언어의 앎과 이해입니다. '안다(know)'는 말을 여기서 사용하는 것과 같이 붓다 가르침에 있는 특별한 의미로 이해하기 바랍니다.

 

To know Dhamma means that Dhamma is truly present and that we are aware of it. Similarly to know emptiness means that emptiness is manifest in the awareness. So I have encouraged people over and over again that in any moment that the mind has any measure of emptiness, even if it's not finally or perfectly empty, to keep recognizing it. Actually, on any one day emptiness is there repeatedly and even if it's not a fixed, absolute emptiness it's still very good, if we take the trouble to observe it. If we take an interest in this sort of emptiness right from the start, it will generate a contentment with emptiness that will make it easy to practise to attain the real thing. Therefore the phrase 'we know emptiness' refers to having emptiness manifest in the awareness.

 

담마를 안다는 것은 담마가 실제로 드러나고 그것을 알아차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찬가지로 빔(공)을 안다는 것은 공이 드러나고 그것을 알아차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최종적이고 완전한 빔이 아니더라도 마음에 어느 정도의 빔이 있는 어떤 순간에도 그것을 계속 인식하도록 사람들에게 거듭 용기를 복돋운 것입니다.

 

실제로 하루 중에 빔은 반복하여 나타납니다. 그것이 고정된 것이 아니고 절대적인 완전한 것이 아닐지라도 그것을 계속 관찰한다면 그래도 매우 유익합니다. 처음부터 바로 이런 종류의 빔에 관심을 가진다면 빔으로 만족감이 일어날 것이며 절대적인 빔을 얻는 수행을 하기가 쉬울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빔을 안다'는 구절은 알아차림으로 빔(공)이 드러나는 것을 말합니다. 

 

The phrase 'seeing emptiness clearly' is the same. It is seeing with more and more clarity and precision. When we have become aware of the mind's emptiness we contemplate it, focus our awareness on it until there is a clear penetrative seeing of it, or in other words a thorough knowing. The meaning of the phrase 'we realize emptiness' is once again the same. It refers to the moment of realization. In conventional terms it's said that 'we' realize emptiness but in fact it's the mind that realizes, it is the awareness that is the 'one who is aware' and that realizes emptiness.

 

'빔을 분명히 본다'는 구절도 ('빔을 안다'는 구절과) 같습니다. 이것은 더욱 더 명확하고 정밀하게 보는 것입니다. 마음의 빔을 알아차리게 되었을 때 빔을 숙고하고 빔을 분명히 꿰뚫어 알 때까지 또는 철저히 알 때까지 빔에 알아차림을 집중하십시오. '우리는 빔을 깨닫는다'라는 구절의 의미도 ('빔을 안다'는 구절의 의미와) 다시 한번 같습니다. 이것은 깨달음의 순간을 지시합니다. 관습적인 말로 '우리'가 빔을 깨닫는다고 하지만 실제로 깨닫는 것은 마음입니다. 그것은 알아차리는 담마이고 빔을 깨닫는 지각(알아차림)입니다.

 

As for the phrase 'abiding with emptiness' it refers to sunnatavihara. Living and breathing with the constant awareness of emptiness is called 'abiding with emptiness'. The phrase 'being empty' means that there is no feeling of 'self' or 'belonging to self', there is no feeling of 'I' and 'mine', the creations of craving and grasping. Being void of these things is 'being empty'. What is it that is empty? once again it is the mind that is empty, 'emptied of the feelings of 'self', and of 'belonging to self', 'both in their crude and subtle forms. If the mind is empty to the degree of being free of even the refined self it is said that the mind is itself emptiness. This agrees with the teaching of some other Buddhist traditions that mind is emptiness, emptiness is mind; emptiness is Buddha, Buddha is emptiness, emptiness is Dhamma, Dhamma is emptiness. There is only one thing. All the myriad things that we are acquainted with are nothing but emptiness. I will make this clear by looking into the word empty once more.

 

'빔으로 머문다'는 구절을 말하면, 이것은 순냐따위하라(sunnatavihara)를 말합니다. 빔을 지속적으로 알아차리면서 살고 숨쉬는 것을 '빔으로 머문다'고 합니다. '비어 있다'는 구절은 '자아'나 '자아에 속하는 것'의 느낌이 없고 '나'와 '내 것'의 느낌이 없으며, 갈망과 집착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들이 없는 것이 '비어 있는' 것입니다. 비는 것은 무엇일까요? (깨닫는 것은 마음인 것과 같이) 비는 것은 다시 한번 마음입니다. 거친 형태나 미세한 형태나 '자아'와 '자아에 속하는 것'의 느낌이 비어 있는 마음입니다.

 

마음이 고상한(미세한) 자아로부터도 해방되는 정도로 비어 있다면, 마음은 그 자체가 빔이라고 말합니다. 이것은, 마음이 빔이고 빔이 마음이며, 빔이 붓다이고 붓다가 빔이며, 빔이 담마이고 담마가 빔이라고 하는 어떤 다른 불교 전통의 가르침과 일치합니다. 단지 한 가지만 있습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무수한 모든 것들은 단지 빔(공)입니다. 빔(empty)이란 낱말을 한번 더 조사하여 이 말을 분명히 해 보겠습니다. 

 

The word 'empty' or 'emptiness' is pointing at two things, two characteristics. Firstly, it refers 'to the characteristic of all things. Please fix in your minds that the characteristic of all things is emptiness. This phrase 'all things' must be understood correctly as encompassing every single thing both rupadhammas and namadhammas, every­thing from a speck of dust up to Nibbana. It must be well under­stood that in a speck of dust there is emptiness or absence
of self, absence of a permanent, independent entity. Gold, silver and diamonds have the characteristic of absence of a permanent, independent entity. Going on to the mind and heart, thoughts and feelings, each thing is characterized by emptiness, absence of a permanent, independent entity.

 

'빔'이란 말은 두 가지, 즉 두 개의 특성을 지시합니다. 첫째, 빔은 모든 사물의 특성을 가리킵니다. 여러분의 마음에 '모든 사물의 특성은 빔이다'라고 새기기 바랍니다. 이 '모든 사물'이란 구절은 티끌 한 점부터 닙바나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 루빠 담마(물질 담마)와 나마 담마(정신 담마) 모두의 각각을 포함하는 것으로 바르게 이해해야 합니다.

 

먼지 한점에도 빔이 있고(또는 자아가 없고) 영원하고 독립된 실체가 없다는 것을 잘 이해해야 합니다. 금, 은, 그리고 다이어몬드는 영원하고 독립적인 실체가 없는 특성이 있습니다. 마음, 생각, 그리고 느낌을 보면 각각은 빔의 특성이 있고, 영원하고 독립적인 실체가 없습니다.

 

The study and practice of Dha­mma has the characteristic of absence of a permanent, independent entity. Finally the Path Realizations, their Fruits and Nibbana, itself all have this same characteristic, it's just that we don't see it. Even a sparrow flying to and fro has the characteristic of emptiness but we don't see it. Please think this over, contemplate it, observe and ponder over it until you perceive that all things display the characteristic of emptiness, it's just that we don't see it. So who is to blame but ourselves? It's like the old Zen riddle, or koan as they call it, that 'An ancient pine tree is proclaiming the Dhamma'. That old pine tree is displaying emptiness, the emptiness that it shares with all things but people don't see it, don't hear its Dhamma teaching, its proclamation of the characteristic of emptiness. This then is the word 'empty' in its first sense as relating to all things.

 

담마를 공부하고 실천하는 것은 영원하고 독립적인 실체가 없는 특성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도를 깨달음, 그 결실과 닙바나(열반) 모두 그 자체로 이 동일한 특성이 있습니다. 우리가 이것을 보지 못할 뿐입니다. 이리 저리 날고 있는 참새조차도 빔의 특성이 있지만 우리는 이것을 보지 못합니다. 이것을 깊이 생각하고 모든 사물은 빔의 특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여러분이 인식할 때까지 이것을 명상하고 관찰하고 숙고하기 바랍니다. 우리가 이것을 보지 못할 뿐입니다. 그러므로 우리 자신외에 어느 누가 책임이 있을까요?

 

이것은 '노송은 담마를 선언하고 있다'고 하는 옛날 선 수수께끼인 콴(koan)과 같습니다. 늙은 소나무는 빔(공)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빔은 모든 사물과 공유하고 있지만 사람들은 이것을 보지 못하고, 그 담마 가르침인 빔의 특성을 선언하는 것을 듣지 못합니다. 이것이 '빔'이란 말의 모든 사물에 관한 첫째 의미입니다.

 

The word 'empty' in its second sense refers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mind that is free from all grasping and clinging. Regarding this point please understand that ordinarily, although the mind is empty of self, it doesn't realize that it is empty, because it is constantly enveloped and disturbed by the conceptual thought that feeds on sense contact. Consequently, the mind is neither aware of its own emptiness nor the emptiness in all things. But whenever the mind completely throws off that which is enveloping it, the grasping and clinging of delusion and ignorance, and detaches from it completely, then the mind through its non - clinging has the characteristic of emptiness.

 

'빔'이란 말의 둘째 의미는 모든 움켜쥠과 집착에서 자유로운 마음의 특성을 가리킵니다. 이 점에 관하여 원래 마음은 자아가 비어 있지만, 감각 접촉으로 공급되는 개념적인 생각에 의해 끊임없이 덮이고 어지럽히므로 (자아가) 비어 있다는 것을 깨닫지 못합니다. 따라서 마음은 자기의 빔도 알아차리지 못하고 모든 사물의 빔도 알아차리지 못합니다. 그러나 마음이 자기를 덮고 있는 것을 던져 버리고 미혹과 무지의 움켜쥠과 집착에서 벗어나 그로부터 완전히 떨어지면, 그 무집착을 통한 마음은 빔의 특성이 있습니다.

 

The two sorts of emptiness, the emptiness of the non-­clinging mind and the emptiness of all things are related. Because all things do truly have the characteristic of being empty of a self, a permanent, independent entity to be grasped at or clung to, we are able to see the truth of emptiness. If in fact they weren't empty of self, then it would be impossible to see their emptiness. But as it is, on the contrary, although all things are empty we see everyone of them as not - empty.

 

두 종류의 빔인, 무집착 마음의 빔과 모든 사물의 빔은 서로 관련되어 있습니다. 모든 사물은 진실로 자아, 즉 움켜쥐고 집착할 어떤 영원하고 독립적인 실체가 없는 특성이 있고, 우리는 빔의 진리를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사실 사물에 자아가 비어 있지 않다면 사물의 빔을 본다는 것은 불가능할 것입니다. 그러나 비록 모든 사물이 비어 있다 할지라도 이와는 반대로 지금과 같이 우리는 모든 사물은 비지 않은 것으로 봅니다.

 

The mind that is enveloped by defilements and ignorance grasps at and clings to all of them as self, even a speck of dust. Even a tiny particle of dust is conceived to be an independent entity, a 'second person' that stands apart from ourselves, the first person: We label the second person, the various things that surround us, as being this and being that, and in every case see them as being permanent, independent entities.

 

오염원과 무지에 의해 가리워진 마음은 모든 사물들을 티끌 한 점조차도 자아(영원하고 독립된 실체)로 움켜쥐고 집착합니다. 미소한 먼지 한 입자까지도 독립적인 실체가 있는 것으로 여깁니다. 우리 자신인 첫 번째 사람으로부터 떨어져 서 있는 두 번째 사람을 두 번째 사람으로 꼬리표를 붙이고,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모든 사물을 이것 저것으로 꼬리표를 붙이고, 모든 경우에 이것들을 영원하고 독립적인 실체가 있는 것으로 여깁니다.

 

Therefore we must know absolutely correctly the meaning of the word 'empty' which, to sum up, is to know that firstly it is the characteristic of all things and secondly it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non - clinging mind. The first emptiness is an object of knowledge or realization. The second emptiness is the empty mind, the characteristic of the mind that is empty through realizing the truth of emptiness. Thus the mind seeing emptiness in all things disintegrates of itself, leaving only emptiness. It becomes emptiness itself and sees everything as emptiness, everything as I have said from a speck of dust up to Nibbana. Material objects, people, animals, time and space, every sort of dhamma melt into emptiness through knowing the truth of this point. This is the meaning of the word empty.

 

그러므로 '빔'이란 말의 의미는, 요약하면 첫째로 모든 사물의 특성이고 둘째로 무집착 마음의 특성임을 절대적으로 바르게 알아야 합니다. 첫째 빔은 앎 또는 깨달음의 대상입니다. 둘째 빔은 빈 마음, 즉 이를 통해 빔의 진리를 깨닫는 빈 마음의 특성입니다. 따라서 모든 사물에서 빔을 보는 마음은 저절로 분해되어 빔만이 남게 됩니다. 그 자체가 빔이 되고 모든 것을 빔으로 봅니다. 말한 바와 같이, 모든 것은 먼지 한 점부터 닙바나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입니다. 물체, 사람, 동물, 시간과 공간 등 모든 종류의 담마가 이 핵심 진리를 아는 것을 통해 빔으로 녹아듭니다. 이것이 '빔'이란 말의 의미입니다.

 

What I've said so far should have been enough for all of you to have observed or grasped for yourself that the word 'empty' is equivalent to the remainderless extinction of 'I' and 'mine', the utter destruction of self.

 

지금까지 말한 것을  여러분 모두가 스스로 충분히 관찰하고 파악해야 합니다. 바로 빔이란 말은 '나'와 '내 것'이 남김없이 소멸된, 자아의 완전한 소멸에 상당한다는 것을 스스로 충분히 관찰하고 파악해야 합니다.

 

The self is merely a condition that arises when there is grasping and clinging in the mind. We don't see it as empty, but see it as self, because of that grasping and clinging with ignorance and defilement. There being ignorance or unknowing in the mind, grasping arises by itself, it's not that we make a deliberate effort or consciously establish a self. When the mind contains avijja, it inevitably experiences all things as being independent entities, with no need for there to be any deliberate intention.

 

자아는 단순히 마음에 움켜쥠과 집착이 있을 때 일어나는 상태입니다. 무지와 오염원이 함께 하는 움켜쥠과 집착때문에 우리는 이것을 빔(공)으로 보지 않고 자아로 봅니다. 마음에 무지(또는 무명)가 있으면 집착이 저절로 일어납니다. 심사숙고하는 노력을 하거나 의식적으로 자아를 세워서 일어나는 것이 아닙니다. 마음이 무지를 포함할 때에는 모든 사물을 실체가 있는 것으로 불가피하게 경험하게 됩니다. 어떤 신중한 의도가 필요한 것이 아닙니다.

  

If authentic knowing takes place, the seeing of all things as they truly are, then we will see the truth that emptiness is the remainderless extinction of self. So it can be laid down as a principle, that 'empty' means the remainderless extinction of self. That being so we should give some attention to understanding the phrase 'remainderless extinction' correctly.

 

모든 사물을 진실로 있는 그대로 보는 진정한 앎이 일어나면, 우리는 빔을 자아가 남김없이 소멸된 (상태의) 진리로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빔은 자아가 남김없이 소멸된 상태를 의미한다'는 원리를 세울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남김없은 소멸'이란 구절을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 좀 주목해 보아야 합니다.  

 

What is the extinction, with remainder and what is the extinction without remainder? Extinction with remainder means a mere change of shape or form: although one form is extinguished there remains the germ of a new one. There is still grasping and clinging continually in the mind, first at this thing and then at that.

 

남김있는 소멸은 무엇이고 남김없는 소멸은 무엇일까요? 남김있는 소멸은 단순한 형상(또는 형태)의 변화를 의미합니다. 하나의 형태가 소멸하더라도 새로운 배아가 남아 있습니다. 마음에는 아직 처음에는 이것에, 그리고 나서는 저것에 계속 움켜쥠과 집착이 남아 있습니다.

 

The truth-discerning awareness or knowledge of Dhamma which has not yet reached its peak, can only extinguish some types of grasping, sometimes. Some people may be of the opinion that dust is not an independent entity but that a sparrow is. Others may see that trees and animals are not independent entities but take people to be so. In seeing people as independent entities or as selves, some will say that the body is not - self but the mind is. This is called incomplete extinction; some aspects are extinguished but others are always left behind as self. one may reach the point of saying that the mind is not - self but that some good qualities of the mind, such as the virtues, are. Or one may believe that if these are not - self then that which is beyond time, the Nibbana-element is self. This sort of extinguishing always leaves a seed. Whenever we sweep out the whole lot, even the Nibbana -element, as not - self that action is called the true remainderless extinction of ego or self.

 

아직 그 정점에 도달하지 못한 '진리를 식별하는 알아차림(또는 담마를 앎)'은 때때로 어떤 형태의 집착을 소멸하기만 할 수 있습니다. 어떤 사람은 먼지는 독립적인 실체가 없지만 참새는 독립적인 실체가 있다는 견해를 가질 것입니다. 다른 사람들은 나무나 동물은 독립적인 실체(또는 자아)가 없다고 보지만 사람은 독립적인 실체가 있다고 볼 것입니다.

 

 사람을 독립적인 실체(또는 자아)로 볼 때, 어떤 사람은 몸은 자아가 아니지만 마음은 자아라고 말할 것입니다. 이런 것을 불완전한 소멸이라고 합니다. 어떤 면은 소멸되었지만 다른 면에서 항상 자아로 남아 있습니다. 마음은 자아가 아니라고 말하는 지점까지 이를 수 있으나 덕목같은 마음의 어떤 유익한 성질은 자아로 남아 있습니다.

 

 

또는 이런 덕목도 자아가 아니라고 믿을 수 있으나 그때에는 시간을 초월한 닙바나 요소는 자아라고 합니다. 이런 종류의 소멸은 항상 씨를 남깁니다. 이 모든 것을 말끔히 쓸어 없애고 닙바나 요소 조차도 자아가 아닌 것으로 여길 때 이 행위를 에고(또는 자아)의 진정한 남김없는 소멸이라고 합니다.

 

Therefore the phrase 'the remainderless extinction of ego' means the non - arising of ego - consciousness. In terms of practice it means preventing its arising, and to practise in this manner consistently may also be called the remainderless extinction of ego. Correct or impeccable practice refers to the practice whereby ego -consciousness has no way of arising in the future, in other words, not allowing it to arise at any moment.

 

그러므로 '에고의 남김없는 소멸'이란 구절은 에고 의식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실천의 견지에서 이것은 에고 의식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런 식으로 일관하여 실천하는 것을 '에고의 남김없는 소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올바른(또는 흠잡을 데 없는) 실천은 에고 의식이 장래에 일어날 길이 없는, 즉 어떤 순간에도 에고 의식이 일어나지 않게 하는 실천을 말합니다.

 

What has been said so far should be enough for everyone to be able to understand the phrase 'the birth of ego'. Birth here does not mean the birth from a mother’s womb but birth in the vastness of the mind. So please understand that the feeling 'I am I' that arises is born in the mind, and 'birth' is not the birth of the physical body.

It must be understood that even though the body has emerged from the womb, physical birth may be considered to be completely meaningless until there is a mental birth, a birth of ego - consciousness. The body is just a lump of matter until there occurs the grasping and clinging to self. At that moment the birth of that lump of flesh is brought to completion. At the moment that self-consciousness arises in a child it is said to be born. As soon as that feeling is absent then 'it dies' and reverts to being a lump of flesh once more. As long as there is no other feeling able to stimulate the creation of a self, there is no birth; it is the same as if the child is dead. But all of a sudden if there is contact with a sense object and self - consciousness arises again, then there is a new birth, and then shortly afterwards another death. So it can be said that in a single day a child is born many times.

 

지금까지 말한 것으로 여러분이 '에고의 탄생'이란 구절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에 충분할 것입니다. 여기서 탄생은 어머니의 자궁에서 탄생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광대한 마음에서 탄생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므로 탄생은 육체의 탄생이 아니라 '나는 나'라는 느낌이 마음에 태어나는 것으로 이해하십시오.

 

몸이 자궁에서 나왔다 할지라도 에고 의식의 태어남인 정신적 탄생이 있기 전에는 육체의 탄생은 완전히 의미없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합니다. 이것을 자아로 움켜쥐거나 집착하기 전까지는 단지 물질의 덩어리에 불과합니다. 자아로 집착하는 순간에 육체 덩어리의 탄생은 완성됩니다. 아이에게 자아 의식이 일어날 때 태어났다고

말합니다. 이 느낌이 없어지자 마자 아이는 죽고 다시 육체의 덩어리로 바뀝니다.

 

자아의 탄생을 부추길 수 있는(자극할 수 있는) 어떤 느낌도 없는 한, 탄생은 없습니다. 이것은 마치 아이가 죽은 것과 같습니다. 그러나 감각 대상과 접촉이 있자마자 자아 의식이 다시 일어나고, 그 때에 새로운 탄생이 있습니다. 그리고, 곧 그 후에 다른 죽음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하루에 아이는 여러 번 태어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원공법계제중생자타일시성불도 (),,,

 

 

미안하다 아가들아 ! / 유당 남도영

 - 세월호에 잠든 영혼들을 위하여

 

 

착한 아가들아 !
이 어른들을 용서 해주렴 . . 

 

움직이지 말라는 도망간 선장의 오판이 . .  

법을 어기면서 돈만 쫓아가는 우리들이 . . 

 

너희들을 이렇게 슬프게 했구나

 

정말 정말 미안하다.
착한 아가들아 !

 

엄마의 아침인사도

선생님의 꾸중도

 

친구들과의 지난 추억도

다 잊고

 

고통 근심 없는 천상에서

못다이룬 네 꿈 다 이루고

평안히 쉬거라

 

이제 우리는

'돈으로도 안되는건 안되는'

이 나라를 만들어갈 것이다 

 

사랑한다 아가들아 . . 

 

 

 

 

떠나가는 배 - 정태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