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빈스님의 금강경에 물들다 2~4회

2022. 9. 4. 13:20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금강경

728x90

금강경의 주인공이 부처님이라면 주인공만큼 매우 중요한 인물은 누구일까?-원빈스님의 금강경에 물들다 2회

수보리 등장 배경
다투지 않는 데 제일
무쟁제일
설법 1~2년차
거사 10명, 보살10명
아란야처에 머문다
무아제일
인도 넓어
열반
웰루와나와 제따와나
시대의 문제의식
베스트셀러 경전
무아의 가르침으로
불성의 민주화
보살승운동

 

 

수보리 존자가 맡은 임무는? 부처님의 가치를 현시대로 가져오기 위한 노력!-원빈스님의 금강경에 물들다 3회

세친보살
법집
의식주
세밀한 점검
마가다국(빔비사라왕, 배화교수장)

 

 

보리심을 일으키면 누구나 보살이 될 수 있다! 종교개혁을 통해 어떤 변화가 생겼을까?-원빈스님의 금강경에 물들다 4회

밥2숟가락
얼마나가 계층
성도전
오지랖
구사론=세친보살
불문의 입구 역할

 제1 법회인유분(法會因由分)
[금강경원문]
法會因由分 第 一
如是我聞 一時 佛 在舍衛國 祇樹給孤獨園 與大比丘衆 千二百五十人 俱.
爾時 世尊 食時 着衣持鉢 入 舍衛大城 乞食 於其城中 次第乞已
還至本處 飯食訖 收衣鉢 洗足已 敷座而坐
 이와같이 나는 들었습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거룩한 비구 천이백오십명과 함께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습니다.
그 때 세존께서는 공양 때가 되어 가사를 입고 발우를 들고 걸식하고자 사위대성에 들어가셨습니다. 성 안에서 공양을 드신 뒤 가사와 발우를 거두고 발을 씻으신 다음 자리를 펴고 앉으셨습니다.


[야보송]
法會因由分
참된 나를 만나기 위해서는 인연을 쌓아라



◆  如是 여시 : 이와 같음이여

古人道 喚作如如 早是變了也 고인도 환작여여 조시변료야 :
옛 사람들이 말씀하시길 변함없이 같다고 하면 이미 변해 버린 것이다.
且道 變向甚麽處法 차도 변향심마처거 :
또 말하기를 변하여 어느 곳에 이르렀는가.
咄 不得亂走 畢竟作麽生 졸 부득난주 필경작마생 :
어이! 어지럽게 좇지 말라. 결국 무엇을 얻을 수 있겠는가?
道火不曾燒却口 도화부증소각구 :
일찍이 불을 말한다고 입을 태운 적은 없다.


 ◆ 如如 靜夜長天一月孤 여여 정야장천일월고 :
     변함없이 고요한 밤하늘에 외로운 달이 떠간다.

 是 水不離波波是水 시시 수불리파파시수 :
이것이란 무엇인가? 물은 물결과 나눌 수 없으니 물결이 물이라
鏡水塵風不到時 경수진풍부도시 :
거울과 같은 물에 티끌과 같은 바람이 일지 않아야
應現無瑕照天地 응현무하조천지 :
티없이 나타나는 대로 천지를 비추나니
看看 간간 :
보고 또 보아라.


◆ 我 赤裸裸 淨洒洒 沒可把 아 적나라 정쇄쇄 몰가파 :
   나라는 존재는 어떤 허물도 걸치지 않아 맑게 홀로 우뚝 서니 잡을 수 없구나.


我我 아아 :
나, 나라는 존재여!
認得分明成兩箇 인득분명성양개 : 알게 되면 분명 둘인데
不動纖毫合本然 부동섬호합본연 : 조금도 움직일 수 없이 본래 하나라
知音自有松風和 지음자유송풍화 : 소리의 도를 알면 솔과 바람을 구별할 수 없다.
 

 聞 切忌隨他去 문 절기수타거 :
   들음은 밖의 소리를 따라가는 게 아니다.


聞聞 문문 : 듣고 들음이여!
猿啼嶺上 원제령상 : 원숭이가 고개 위에서 울고
鶴唳林間 학려림간 : 학이 숲 속에서 운다.
斷雲風捲 단운풍권 : 조각구름은 바람에 걷히고
水激長湍 수격장단 : 물소리는 긴 여울을 울린다.
最好晩秋霜午夜 최호만추상오야 : 시절 좋은 늦가을 서리 내리는 한밤
一聲新雁覺天寒 일성신안각천한 : 기러기 우는 소리 들리니 겨울 하늘이 춥나보다.


 一 相隨來也 일 상수래야 :    하나는 상응이다.

一一 일일 : 하나, 진정한 하나여!
破二成三從此出 파이성삼종차출 : 둘로 쪼개고 셋을 이루는 것은 모두 여기서 나왔으니
乾坤混沌未分前 건곤혼돈미분전 : 천지가 혼돈하여 나누어지기 전
以是一生參學畢 이시일생참학필 : 이것으로 일생의 공부를 마치도다.


 時 如魚飮水 冷暖自知 시 여어음수 냉난자지
   시간이란 물고기가 물을 마셔 차고 더움을 아는 것과 같다.


時時 시시 : 시간, 시간이여!
淸風明月鎭相隨 청풍명월진상수 : 청풍명월이 진을 치듯이 이어지니
桃紅李白薔薇紫 도홍이백장미자 : 복숭아꽃이 연붉고 배꽃이 희며 장미가 붉은 때가
問着東君自不知 문착동군자부지 : 언제 오는지 물으면 봄바람도 저 몰라 하더라.
 

 佛 無面目說是非漢 불 무면목설시비한 :
   부처는 얼굴도 없이 시비를 말하는 사내다.


小名悉達長號釋迦 소명실달장호석가 : 어려서는 싯달타요 어른일 때는 석가라
度人無數 도인무수 : 무수히 사람들을 구제하고
攝伏群邪 섭복군사 : 사악한 무리를 무릎 꿇게 하여
若言他是佛 약언타시불 : 누가 이를 부처라고 한다면
自己却成魔 자기각성마 : 자기는 도리어 악마가 되리니
只把一枝無孔笛 지파일지무공적 : 다만 구멍 없는 피리를 잡고서
爲君吹起太平歌 위군취기태평가 : 그대를 위하여 태평가를 부르리라.


 在 客來須看 也不得放過 隨後便打 재 객래수간 야부득방과 수후편타 :
존재란 손님이 와서 그냥 지나치지 않게 뒤통수를 때리는 것이다.


獨坐一爐香 독좌일로향 : 홀로 있는 향로에는
金文誦兩行 금문송양행 : 금문으로 두 길이 적혀 있는데
可憐車馬客 가련거마객 : 가련하다 마차를 탄자여!
門外任他忙 문외임타망 : 문밖에서 다른 일로 바쁘구나.
 

 與大比丘衆千二百五十人俱 獨掌不浪明
   한 손바닥으로는 소리를 내지 못한다
.

巍巍堂堂 萬法中王 외외당당 만법중왕 : 높이 솟아 당당한 만법의 왕이라
三十二相 百千種光 삼십이상 백천종광 : 삼십이상이요 수많은 빛이니
聖凡瞻仰 外道歸降 성범첨앙 외도귀항 : 성인과 범부가 모두 우러르고 외도가 항복하여 오도다.
莫謂慈容難得見 막위자용난득견 : 자비로운 모습 뵙기 어렵다 말하지 마라
不離祇園大道場 불리기원대도량 : 기원정사 대도량에서 떠나지 않고 계신다.
 
惺惺著 성성저 : 깨달음이 나타나니
飮食訖兮洗足已 음식흘혜세족이 : 음식을 먹고나서 발을 씻은 후
敷座坐來誰共委 부좌좌래수공위 : 자리를 펴고 앉으시니 함께하는 이 누구인가.
向下文長知不知 향하문장지부지 : 몸을 낮추어 문자로 길게 늘이니 아는가 모르는가.
看看平地波濤起 간간평지파도기 : 보아라 평지에 파도가 일어나는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