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식불교의 연기설 "뢰야연기설"의 태동 [원빈스님의 4대 연기설 5강]

2022. 10. 3. 15:37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불교교리·용례

728x90

유식불교의 연기설 "뢰야연기설"의 태동 [원빈스님의 4대 연기설 5강]

잘못 보낸 입금은 은행의 문제=>유식의 이슈

윤회가 일어나는 과정=12연기

윤회는 주체가 있다 없다면 윤회가 일어나지 않아-내가 있다는생각

실제로는 내가 없다-경험이지 내가하는 경험이 아니라는 것

그래서 윤회의 주체라는 용어를 자상속으로 표현

업감연기설 부파불교에서 나를 보는 용어

전찰라 생멸시 업력을 후찰라에 끊임없이 상속

1초 애니메이션은 60프레임을 붙인 것

창조는 매 프레임(정지영상)마다 일어나는거고 이것을 합쳐 변화하는 동영상을 보면 진화라한다

상속은 변하지 않고 멸하지 않고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생멸하면서 연속성은 있다는 것

(부단부상-끊어지는 것도 아니고 항상하는 것도 아니다)

돈 보냈는데 남이 받아버리면 그 은행 믿을 수 없어(상속은 입금과 출금의 역할 입출금이 자유롭고 유지 신뢰되어야)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뢰야 연기설=뢰야는 저장고 통장은행의 역할

금액(업)의 입출금의 오류가 없어야

24시간 365일 무시이래부터 일체지자가 될때가지 무휴

업은 어디에 저장되는가? 호보는 몸, 마음, 외부이다

몸에 저장된다면 죽어 분해되므로 업도 분해되어

마음에 저장된다면 5위무심(잠,기절,무상정,무상천,멸진정)에서 일을 안한다=빨간날이 있다

외부에 저장하면 그럴싸해-무언가에 저장된다면 여러사람의 업이 섞여 누구돈(자아유지 훼손)인지 몰라

잡란-섞여 복잡해져

5위무심문제를 해결해야 마음에 저장된다

초기 불교는 심의식을 하나의 마음속에 다른 작용 3가지로 봄=심동체설

잠에 빠지고 기절시 식은 멈춘다 의(자아의식-아라한이 되면 멈추는 성질)은 안멈춰, 

마음이 동체면 의식이 멈추면 심의도 멈추는 문제점

유식은 심별체설을 들고 나와 ON, OFF스위치가 따로 있다면 식이 멈춰도 심과 의가 살아있다

마음중에 안멈추는 무엇인가가 있다

어떤 은행과 거래하고 있나? 거래하고 있는 은행의 이름은?성격은 무엇인가?

성속의 문제를 유지하고 있는 은행의 정체를 밝히는 과정

상속의 운영주체는 아뢰야식(장식, 무몰식-무너짐 없음,

무착에 의해 세친(구사론의 저자,싸움닭)의 대승 전향(무착의 실명임종 가장하여 유식가의 경전을 읽어달라 함)

잘못된 혓바닥을 끊으려하자 대승을 찬탄하는 선업으로 씻어내라(대승론사로 전향-유식30송=>10명 성유식론)

아뢰야식의 4가지 성격

1. 견주성-주= 머무르다 항상하다가 견고하다-일류상속(접란x)

특징 -항전여풍류-항상 전변하는 폭포수와 같다(항은 항상(상)은 아닌 끊어지지않는다)=전변=견주성

영원은 변화를 포함한 단어(끊어지지 않는 것 상속은 멸하지만 끊어지지 않아)=전과 항의 뉘앙스,

불변 변하지 않는 고정성(생멸X)=상과 전의 뉘앙스

눈을 감고 뜨다

숨쉼 하나

털의 움직임 하나

무의식의 움직임 하나하나가 업의 정자로 저장(입금)이 행위로 나오면(출금)

그 입출금의 은행이 아뢰야식

 

 

유식불교의 연기설 "뢰야 연기설"의 태동 – 5강
마뜰추천 0조회 2121.10.08 20:59댓글 1
북마크공유하기기능 더보기
○12연기 ;
- 윤회의 문제, 윤회가 어떻게 시작되고 끝나는가?
- 윤회 과정을 12연기로 제시, 원동력으로 업을 제시,
- 윤회 주체 ; 나
* 나가 본래 없는데 있다고 착각하여 윤회를 함.
* 업의 흐름, 즉 경험, 작용, 현상, 몸과 마음은 있지만 이것이 내가 아님.


○자상속 ;
- 업감연기설 부파불교에서 나를 부르는 용어
- 나라는 것은 상속되는 존재


○ 1초의 모습 ; 60프레임(현재 동영상에 적용하는 개수)
* 부파불교 논서에는 64찰라, 75찰라 주장
○ 상속 ; 전찰라 → 후찰라, 인수인계
* 생멸은 매 찰라마다 동시에 일어남,
다음 찰라에서 멸하는 것이 아님


* 전찰라 ; 업력
*후찰라 ; 전찰라에서 온 상속 + 후찰라 자신의 조건 등 인연
→ 업 + 인연 = 업‘


○ 창조 ; 매 프레임(사진)마다 일어남
○ 진화 ; 매 프레임을 이어서 인연에 따라 상속하면서 변화하는 모습


○ 연기 ; 창조와 변화를 흡수
○ 부단부상(不斷不常) ; 끝어지는 것도 아니고 항상하는 것도 아님


○ 아뢰야식 ; 업의 저장고, 창고(은행) 역할하는 개념
○ 업감연기설 ; 마음에 저장된다고 막연하게 생각
* 외도 ; 몸에 저장된다고 주장


○ 업 저장소 ; 몸, 마음, 외부
- 몸 ; 죽으면 끝, 제외
- 마음 ; 잠, 기절,무상정, 무상첨, 멸진정 → 무심, 제외
- 외부 ; 독립성, 독자상 유지 불가 →서로 뒤섞임. 제외


○ 마음의 종류 ; 심, 의, 식


○초기불교에서는 심동체설 주장
- 문제 ; 잠, 기절시 식이 정지되면 심, 의도 정지
* 의(자아)는 아라한에서 멈춤.
○ 유식불교에서는 심별체설 주장 ; 상속문제 해결하기 위해
○ 마음 ;심, 의, 식
- 심 ; 상속→아뢰야식(장식(신역), 무몰식(구역)
- 의 ;
- 식 ;


○ 상속의 주체 필요 요소


① 견주성 ;
견 – 일류상속 → 잡란 방지,
주 - 부단성으로 저장소 역할


※ 세친 ; 부파불교의 학자, 천재적 논쟁자, 대승을 비판
후에 형 무착보살의 영향으로 대승으로 전향
유식 30송 저술. 성유식론은 유식학의 소의경전


※ 아뢰야식의 특징
○ 항전여폭류 ;
- 항 ; 영원
- 전 ; 불변, 전변
※ 영원 ; 변화를 포함, 끊어지지 않음.
상속을 통해 생멸하지만 끊어지지 않음.
불변 ; 생멸이 없이 변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