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6. 9. 13:40ㆍ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꿈과 현실
깨달음이란 과연 무엇인가? 깨달음이란 용어는 순수한 우리 말이다. 경에선 아뇩다라삼먁삼보리 이다. 한글을 깨쳤다. 한글을 알았다는 소리다. 예전엔 깨달을 오자를 알다고 번역했다. 우리는 무엇을 알고 무엇을 모르고 있나? 소식이란 지금까지 모르던 동정 생활의 실상을 알았다는 소리다. 중생 세계 부처 세계 따로 있다. 중생지견에서 불지견을 알면 아는 문제 보는 문제가 달라진다. 마하반야를 알면 큰 지혜의 세계로 돌아간다.
모든 것은 인식이 결정한다. 불교에선 인식을 지견이라 한다. 부처님 보는 경계가 불지견이다. 중생 지견은 전부 형상의 세계를 기초로 한다. 범소유상 이 세상 모든 존재 양상은 형상과 동작을 떠나 있지 않다. 형상과 동작은 고정불변한 것이 아니고 변하고 부질없이 흘러가 버려 무상이다. 얼음 조각이 녹아 물이 됐다면 상을 보다 성을 본 것이다. 녹아버리니까 결국 고통을 준다. 그 게 형상의 시작과 종말이다. 우리는 끊임없이 형상만 따라 다니다 다치고 고통 받는다. 모든 고통은 상에 매이고 얽히는 데서 생긴다. 사랑도 공포도 상이다. 알고 보면 얼음조각이지 본 성품이 아니다.
형상과 동작은 구하면 구할 수 록 무상하니 허망함을 느낀다. 결국 사라진다. 사라지는 것은 고통을 준다. 석가모니는 형상의 아버지가 아니라 본성 진리의 아버지다. 자식에게 돈이나 권력을 주는 것은 고통을 주는 것이다. 형상에 집착하는 습관을 줄여야 한다. 형상으로부터 자유로워지려면 끊임없이 공덕행을 하라. 그러면 형상에서 매이는 행위가 점점 조복된다.
산다는 것은 기본이 먹고 자는 거다. 형상에 매여 먹으면 빨리 먹게 된다. 동물이 먹을 때 건드리면 음식을 뺏길까봐 문다. 사람도 그런 성격이 있다. 빨리 많이 먹는 식사는 형상에 매인 식사 방법이다. 잠도 몸에 좋은 잠을 자야 한다. 낮 12시간 먹고 활동하되 밤 12시간 먹지 말라. 안 먹으면 내장이 푹 쉰다.
수행이란 음식 수면 말을 조복하는 것이다. 안 할 말 하지 말고 언어에 끌려다니지 말고 조절하라. 생각도 조복해야 한다. 쓸데 없이 하는 괴로운 생각 무서운 생각이 번뇌 망상 잡념 근심 걱정이다. 다 부질 없다. 계속 조복하다 결국 보게 된다. 견성! 견성하면 무엇이 달라지나? 하나 하나 옛날과 같다. 생활은 변화가 없다. 하지만 얽히고 매이는 감정이 없어졌다. 원망 허탈 분함 이런 것 전부가 매이는 감정이다. 지난 일 죽음에서 자유로워진 것이다. 편안해졌다. 얼음조각의 세계에서 물의 세계로 돌아왔다.
법화경 신해품의 집 나간지 50년 된 아들과 아버지의 관계다. 잡아 놓고 점점 아버지와 아들 관계를 깨닫게 만든다. 깨닫는 순간 관계가 달라진다. 깨달음은 근본 상태를 아는 것이다. 형상은 근본이 아니다. 품삯 받던 주종관계가 이 세계를 맡아 관리하고 보살펴야 하는 대상으로 바뀐다. 깨달음은 내 몸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시방삼세 어디든 다 있다. 한 곳에 머무는 것이 아니다. 과거 현재 미래 다 머무는 것이다.
우리는 자기 생명을 부모가 물려준 몸 밖에 모른다. 사람 몸 하지만 이 모습은 흘러가는 모습이다. 예전의 고운 모습 현재의 늙은 모습도 내 모습이다. 머리가 희면 흰 것도 죽으면 죽는 것도 내 모습이다. 다 일심일체 형상의 세계다. 깨닫기 전엔 사람 몸에 의지해 살았지만 깨닫고 나서는 법의 몸에 의지해 산다. 이 몸 잘 보존하지만 결국 흘러가는 것이다. 늙음을 허망하게 생각하고 죽음을 두려워 마라. 하지만 깨침은 나의 일이다. 부모가 대신해 줄 수 없다.
이상 종범스님 개달음의 행복
'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 > 꿈과 현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심과 도심 (0) | 2007.06.09 |
---|---|
앎이 있을 때 집착에서 벗어날 수 있다 (0) | 2007.06.09 |
예경과 정견 (0) | 2007.06.09 |
지혜와 자비 (0) | 2007.06.09 |
즐거움과 행복 (0) | 2007.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