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식학 입문(唯識學 入門)] 오형근(吳亨根)

2008. 5. 7. 20:41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유식사상

728x90
 [유식학 입문(唯識學 入門)]         오형근(吳亨根)



불교의 여러 학설 가운데 가장 이론적이고 체계적인 유식학은

마음의 체성과 마음의 작용을 낱낱이 분석하여

인간의 정신생활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유식학은 오늘날의 심리학이나 인식론과 비슷하다고 해서

불교의 심리학 또는 불교의 인식론이라 불려지는데,

현대심리학이 미치지 못하는 사물과 사물을 인지하는 주체자의 관계를

유심(唯心)의 도리와 연기법(然起法)으로 탁월하게 해명해 준다.


오늘날 모든 것이 불분명해지고 법칙과 체계가 무시되는 현실속에서

2,500년 전의 이 심오한 불교의 사물체계를 다시 음미해보는 것은

참신한 믿음과 힘이 될 것이다.



머리말    


불교의 사상을 종합하여 볼 때 마음의 종교라고 할 수 있을 만큼 마음과 관련시켜 교리를

설명하고 있다. 원시불교시대부터 마음을 중심하여 모든 사물과 인연관계를 설명하였고

소승불교에서도 마음의 심오함을 해설하고 나아가서 물질계와도 관련시켜 진실하게

설명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리고 대승불교에서도 소승불교의 교리를 혁신하고 보다 대승적으로 설명하려고

노력하여 왔다. 그 결과 유식학(唯識學)이라는 학문이 성립하게 되었다.


유식학은 마음의 체성과 마음의 작용을 낱낱이 분석하여

인간의 정신생활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려고 노력한 학설이다.

그리하여 유식학은 지금까지 발표된 불교의 학설 가운데서

가장 이론적이고 체계있는 학설이라고 인정되어 왔다.

이러한 학설이 오늘날의 심리학과 인식론의 성질과 비슷하다고 해서 불교의 심리학 또는

불교의 인식론이라고 이름을 붙여 부르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옛적부터 마음의 체성과 작용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는 학문으로

인정되어 왔다. 그리하여 불가에서는 경전을 공부하려면 유식학을 먼저 잘 공부해야한다

는 말이 전해오기도 한다.

그것은 유식학이 교리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단어와 숙어를 종합적으로 연관시켜

유심(唯心)의 도리를 잘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모든 것은 오직 마음에 의하여 창조되어진다는 유식학의 근본사상은 대승적인 유심사상

(唯心思想)인 것이며 그리고 대승적인 연기(然起)사상을 펼치는 사상이기도 하다.


이러한 유심사상을 이해하는 데는 먼저 기초적인 학술서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그동안 발표하여 왔던 원고를 정리하여 간행하기로 하였다.

그 이유는 유식사상연구(唯識思想硏究)와 유식(唯識)과 심식사상연구(心識事想硏究)

등의 학술서를 간행한 바 있으나 보다 기초적인 입문서가 있어야겠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모든 것은 인연에 의하여 출현하게 된다는 연기설(然起說)과 같이

이 책도 출판사의 요청에 의하여 갑자기 간행하게 된 것을 아쉽게 생각한다.

조금이라도 독자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 간절하면서

이것으로 서문에 가름하고자 한다.

 

 

-오형근(吳亨根)-

1932년 경북 달성 출생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불교학과 졸업

동대학원에서 석사, 박사 학위취득

동국대학교 불교대학불교학과 교수 재직(1993년)

불교대학 학장역임

 

 

 

차   례

 

(1)   머리말

(2)   1. 유식학의 약사

       1. 인도 유식학의 성립

       2. 중국의 유식학 정래

       3. 한국의 유식학 전래

 

(3)   2. 심식설의 개요

(4)   1. 소승불교의 심식설

         1) 원시불교의 심식설    2) 소승불교의 심식설

(5)   2. 심의식사상과 팔식

         1) 소승의 심체일설    2) 대승의 심체별설

 

(6)   3. 전오식과 제6의식

       1. 전오식과 오경

         1) 안식과 색경    2) 이식과 성경    3) 비식과 향경

         4) 설식과 미경    5) 신식과 촉경

(7)   2. 제6의식과 의근

        1) 의식과 의근    2) 의식의 광연    3) 오구의식    4) 분별의식

(8)    5) 독두의식

        가) 몽중의식    나)독산의식

         6) 정중의식

(9)    7) 의식과 번뇌작용

(10)   3. 심체와 심작용과의 관계

          1) 변행심소     2) 별경심소

(11)    3) 선심소

(12)    4) 근본번뇌

(13)    5) 수번뇌

         가) 소수혹    나) 중수혹    다) 대수혹

 

(14)   4. 제7말나식

        1. 말나식의 성립

        2. 말나식의 체성론

(15)   3. 말나식과 사번뇌

 

(16)   5. 제8아라야식과 삼상

        1. 아라야식의 삼상

           1) 아라야식의 자상

(17)     2) 아라야식의 과상

(18)     3) 아라야식의 인상

           가) 인능변과 태아    나) 아라야식에 대한 8가지의 증명

(19)     다) 등류습기    라) 이숙습기

(20)     마) 이숙습기와 과보

(21)     바) 과능변과 태아

(22)     4) 공업과 사회    5) 일체종자식

(23)   2. 아라야식과 업력보존

           1) 인과의 동일성    2) 아라야식과 종자와의 관계    3) 종자의 가실을 밝힘

           4) 종자와 진속관계    5) 마음의 인식작용과 업력의 보존

           6) 선악종자와 무루종자    7) 선천적인 업력과 후천적인 업력

(24)   3. 종자의 성질과 육의

           1) 찰나생멸의 성질    2) 동시의 인과    3) 동일한 성질의 유지

           4) 성질의 분명성    5) 조연의 기대    6) 종자의 과보와 동질성

        4. 만법은 유식

(25)   5. 생명체와 물체를 이끄는 업인

           1) 불공종자와 공종자    2) 불공중불공종자

           3) 불공중공종자    4) 공중불공종자    5) 공중공종자

(26)   6. 훈습을 받는 마음과 훈습을 하는 마음

           1) 훈습을 받는 마음    2) 훈습을 하는 마음

(27)   7. 청정심과 무루훈습

           1) 견도의 수행    2) 수도의 수행    3) 무학도의 수행

 

(28)   6. 8식의 명칭과 정신작용

        1. 8식의 명칭과 성질

           1) 심식의 명칭    2) 심식의 종자    3) 심식의 성류

           4) 심식의 계박    5) 심식의 의지처

(29)   2. 팔식의 정신작용

           1) 전오식의 심소상응    2) 제6의식의 심소상응

           3) 제7말나식의 심소상응    4) 제8아라야식의 심소상응

(30)   3. 심식과 안식의 대상

           1) 심식의 삼량    2) 심식의 소연경

 

(31)   7. 삼종자성과 삼무성

         1. 삼종자성

           1) 변계소집성    2) 의타기성    3) 원성실성

(32)   2. 삼무성

          1) 상무성    2) 생무성    3) 승의무성

 

(33)   8. 유식학의 수행설

        1. 자량위의 수행   2. 가행위의 수행   3. 통달위의 수행   4. 수습위의 수행

(34)   5. 구경위의 수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