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4. 6. 20:17ㆍ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선불교이야기
부처의 길
이 몸이 늙었으면 버리고 가세요. 사람 몸으로 태어났다고 백년 이백년 사는 것이 아니지 않습니까. 한 번 왔으면 잘 살고 가냐, 못 살고 가냐 그게 있는 것이지 이 세상에 왔다가는 것은 매한가지인 것입니다.
왔다가 가는 것은다 한 가지입니다. 세속에 왔으면 부모에게 효도하고, 나라에 충성하고, 죄짓고 살지 말아야 합니다.
계를 철저히 지키고 그래야만 시주(施主)의 은혜가 무겁지 않은 법입니다.
계를 안 지키면, 한 알에 일곱 근이니까 일평생 밥을 먹으면 그게 몇 근이나 되겠습니까. 무섭지요. 시주가 그렇게 무서운 것입니다.
출가자는 그렇게 안 살아요. 시주로 살아가는 것입니다. 시주로 사니까 시은(施恩)이 그리 무거운 것입니다. 먹고, 자고, 입고 그리고 아프면 약 먹어야 되고. 이것을 불가에서는 네 가지 큰 시주라 하여 사사시주 (四事施主)라 하거든요.
시주만큼 무서운 게 없습니다. 시주물이 절에 들어오면 출가자는 먹고, 공부하고, 또 절 짓거나 고치고. 그 외에는 쓰지 마라 그랬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도둑놈이라 그랬어요.
계를 잘 지켜야 됩니다. 계를 잘 지키는 것이 사사시주의 은혜를 갚는 길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갚을 길이 없습니다.
기차가 레일이 없으면 못 가는 것처럼 출가자는 계를 안 지키면 못 사는 겁니다. 일반 재가불자도 마찬가지예요. 불자는 모름지기 계를 지키는 것이 그 근본입니다. 그러니까 우리가 부처의 길로 들어서기 위해서는
첫째 계를 지켜야 하고,
다시 말하지만, 계를 안 지키면 출가자가 아니라고 그랬습니다. 그런데 이 계가 아주 세밀하고 엄해요. 비구 250계를 보면, 남과 얘기할 때도 이빨을 보이고 웃지 말라고 그랬어요.
길을 갈 때도 7m 앞만 보지, 그 이상을 고개 들어 보거나 옆을 보지도 말고, 다닐 때는 언제든지 차수하고 다니라고 그랬거든요. 출가자도 필요하고, 재가불자도 필요하지요.
닦으라고 그러셨습니다.
그래서 선근을 많이 닦은 사람은 자성(自性)에 낀 때가 얇고 가볍게 되는 것이고, 선근을 못 닦고 자꾸 죄를 지은 사람은 때가 두껍고 무겁게 되지요.
자연 죄를 많이 지은 사람은 성불이 멀고, 때를 많이 닦은 사람은 때가 얇고 가벼우니까 성불이 가깝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유마거사도 ‘무구(無垢)’라고 그랬습니다. 이 세상에 오면 때 없이 살라 그랬어요.
그 신심을 우리는 죽어도 못 따라갑니다. 동산 스님은 비가 많이 와도, 날이 추워도 나오고, 눈이 와도 나오셨어요.
예불이 시작되기 20~30분전에 대웅전에 와 턱~ 하니 앉아 계세요. 그리고 아침 공양이 끝나면 언제든지 빗자루를 들고 나오셔서 도량 청소를 하시거든요.
안 따라 나올 수가 있겠습니까. 하지만 날마다 쓰는데 쓸 게 뭐가 있겠어요. 그래도 하시거든요. 그래, 그 스님께서 날마다 쓸 게 없는 것을 쓰는 그 법을, 그 법을 바로 들여다보려면 우리가 공부해 가는 데 닦을 것이 없는 것을 닦아야만 바로 닦는다는 것. 그것을 알아야만 됩니다.
동산 스님은 그것을 법문이 아니라 실천으로 보여주신 것입니다.
없습니까?” 묻자 조주 스님이 “없다!” 하셨거든요. 그 “무(無)” 하신 게 무슨 뜻이냐 하면, ‘닦을 것이 없는 것을 닦아라’는 그 뜻입니다.
그것을 알아야 조주 스님의 법문을 바로 아는 것이지, ‘무’ 했다 해서 조주 스님은 무자 화두(無字話頭)만 가르쳐 줬다 하면 조주 스님 법을 잘못 가르쳐 주는 것이지요.
그 스님 법을 바로 못 본 것입니다. 쉴 새 없이 닦는 것. 그것을 보여주신 것이지요.
둘째는 신심이 있어야 하고, 셋째 부지런해야 하고, 넷째 끈기가 있어야 된다고 했죠. 그 다음에는 이제 버려야 됩니다.
다 버려야 돼요. 다 버리지 않고는 부처님 경지에 못 들어갑니다. 마지막에는 버린다는 그 놈도 버려야 됩니다. 버린다는 그 마음까지 안 버리면 안 돼요.
무자 화두를 가르쳐줬는데, ‘무’ 라는 것이 완전히 버려버리는 것입니다. 이 세상은 없는 자리서 와서 없는 자리로 가는 것이거든요. 자꾸 가지려고 하면 공부가 안 돼요. 또 갖는다는 것은 남을 해칠 수가 있습니다.
고운 사람도 없습니다. 미운 사람, 고운 사람이 생기니까 자꾸 시비가 생기거든요. 학교에서는 시험을 쳐야 되니까 저 놈을 이겨야 내가 산다고 그래요. 그리고 회사에 들어가려면 저 놈을 죽여야 내가 살거든요.
사회에 나가 살아보니까 다들 저 놈을 죽여야 내가 사는 거라 그래요. 그러니까 또 남을 죽이려고 합니다.
죽이는 것과는 다릅니다. 그건 자기가 붙어야 되니까 그렇다 치더라도, 살아가는데 저 사람을 죽여 버리고 자기가 살려고, 물질적으로 말입니다. 그렇게 해서는 안 됩니다.
남을 해치는 것이 자기를 죽이는 거라고 하셨어요.
그건 안 되는 겁니다. 남을 죽이면 자기가 죽는 것, 그것을 모르거든요. 그러니까 대승 사상은 남을 살리는 것이지요. 남을 살려야 자기도 산다, 이렇게 되는 것이지요. 남이 죽으면 자기도 죽는 것입니다.
내가 훌륭하다, 이러면 공부가 안 됩니다. 아만(我慢)이 생기면 안 돼요. 그것이 무섭습니다. 그렇지만 아만보다 더 무서운 게 법만(法慢)입니다.
항상 마음을 비우고, 부족한 마음을 가지십시오. 스스로 부족하다는 마음을 가져야 공부가 됩니다. (2003-12)
지나간 대덕스님들의 법문을 보다가 귀한 법문이 있어 올려봅니다 남을살리는 행, 내가 잘났다는 행 ,스님의 행 ,이모두 참되고 귀한말씀입니다 구하지않으면 마음에 끄달림 이없이 편안하다는 온전한 수행자들의 말씀은 또 우리에게 하나의 귀한법문입니다 이것을 가지면 저것또한 맞춰야 구색을 갖추고 이것을 먹으면 더 좋은것을 먹고자하는 우리 중생들
남에게 보이고저 하는 행 ,하심하지않는마음들 하지만 불자라 행복하다는 어느님을 말씀처럼 하나하나 배우고 덜어내고 그 마음조차 마음에 분별하지않는 행하는 불자 ,정진하는 불자가 되고져합니다
동행
"같이 늙어 간다는 것, 같이 간다는 것, 같이 있다는 것, 그것은 쉽지 않는 일이지만 감사한 일이다."
어느 분의 페이스 북에 써 놓은 글이다.
인생은 누구나 홀로 걸어갈 수밖에 없는 쓸쓸한 길에서 누군가와 함께 동행 할 사람이 있다는 것은 크나큰 축복이다.
그것은 힘들 때 기댈 수 있고 아플 때 위로하고 어려울 때 큰 힘이 되어줄 수 있기 때문이다.
연인도 좋고 친구도 좋지만 언제나 함께 할 수 있는 사람이 있다는 것은
성공적인 인생을 살았다는 반증이라 할 수 있지만, 그렇게 동행할 사람을 찾기란 모래 속 바늘 찾기만큼 어렵다는 것을 더 실감하게 된다.
우리 주위에는 다양한 부류의 친구들이 있다.
그 많은 친구들 중에 내게 꼭 필요한 사람은 누구일까?
어느분은 ‘인생에 필요한 12명의 친구들’에 대해 이렇게 꼽았다.
- 믿고 의지할 수 있는 든든한 선배하나 - 무엇을 하자 해도 믿고 따라오는 후배하나
- 쓴 소리도 마다하지 않는 냉철한 친구 하나 - 나의 변신을 유혹하는 톡톡 튀는 친구하나
- 여행하기 좋은 먼 곳에 사는 친구하나 - 어떤 상황에서도 내 편인 친구하나
- 언제라도 불러낼 수 있는 친구하나 - 독립 공간을 가지고 있는 싱글 친구하나
- 부담 없이 돈 빌려주는 부자 친구하나 - 추억을 함께한 오래된 친구하나
- 연애 감정이 생기지 않는 속 깊은 이성 친구 하나
나는 과연 이 중에서 몇 명이나 이런 친구가 있을까?
하지만 나이가 들수록 느끼는 것은 이러한 많은 친구들 보다는 단 한 사람이라도 나를 진정으로 이해하고 어떤 것이든 공유할 수 있는
인생을 동행할 친구만 있다면 더 이상 바랄 것이 없을 것 같다.
어려우면 어려운 대로 기쁘면 기쁜 대로 내 마음을 꺼내어 진실을 이야기하고 함께 나눌 수 있는 친구가 있다면
모르긴 몰라도 노후(老後)가 두렵지 않을 것 같다
- 좋은 글
|
'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 > 선불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禪의 7 대 정신 (0) | 2012.04.27 |
---|---|
허공을 부수어라/묵산스님 (0) | 2012.04.20 |
마음은 수만 곳으로 굴러가고/서암스님 (0) | 2012.04.06 |
친절한 간화선(1) - 김명관 (0) | 2012.03.30 |
나는 무엇인가? (0) | 2012.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