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문 3 : 빔[공]을 실천하는 길 (2)

2014. 4. 30. 17:13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불교교리·용례

728x90

법문 3 : 빔[공]을 실천하는 길 (2)

 

 

2.

The way to practice in order to live with emptiness lies right here, right in the practice of preventing self –consciousness arising in this lump of flesh. This is the main point. As for the details, one must look to see quite clearly how to do the practice and at what moments or occasions to practise. These two points must be explained together. Consequently, in order to facilitate our understanding we will divide practice up into three occasions or times:      

1. The 'ordinary times'.

2. The moments of sense-contact.

3. The moment of physical death.

빔으로 살기 위해 실천하는 길은 바로 여기, 육체 덩어리에 자아 의식이 일어나지 않게 실천하는 것에 있습니다. 이것이 요점입니다.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어떤 때에 어떻게 실천해야 하는지 확실히 이해하도록 보아야 합니다. 이 두가지 점이 함께 설명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세 가지 경우(또는 때)로 실천을 나누어 설명하겠습니다.

1. 평상시

2. 감각 접촉의 순간

3. 육체적 죽음의 순간

 

How should we practise on the first occasion, in the 'normal times' when there is no association with sense- objects? These 'ordinary times' are the occasions when we are doing some kind of work alone and unconcerned, and may perhaps be times of performing our daily tasks or of practising some kind of formal meditation. There is no problem due to sense-contact. We may be doing some worldly task, or if it's in our spare time reading a book or even thinking about something, as long as the mind is undisturbed by sense-contact. At such times our pract­ice must be the study and clarification of the way in which things are empty and the way in which to make the mind empty and undeluded by all things. Think about it, study it for yourself, enquire from others, and discuss it regularly. Keep doing it.

감각 대상과 특별히 관련되지 않는 보통 때인 '평상시' 첫 번째 경우에 우리는 어떻게 실천해야 할까요? 이 '평상시'는 홀로 무관심하게 어떤 일을 하고 있을 경우입니다. 아마 일상적인 일을 하거나 정규 명상을 하는 경우일 것입니다. 감각 접촉에 따른 문제는 없습니다. 마음이 감각 접촉에 의해 교란되지 않는 한, 어떤 세속적인 일을 하고 있거나, 여가 시간이라면 책을 읽거나 어떤 것을 생각하기조차 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이런 때에 실천은 어떻게 사물이 비어 있는지 마음이 어떻게 비게 되는지 어떻게 모든 것에 의해 미혹되지 않는지 공부하고 깨닫는 것이어야 합니다. 이것에 대해 생각하고 스스로 공부하고 다른 사람에게 묻고 정기적으로 토의하십시오. 이것을 계속하십시오.

 

There is another kind of short cut particularly for lay­people who have never ordained or studied the scriptures and for those who cannot read at all. It has the same meaning and aim, the knowledge of the emptiness of all things, but with such people we don't use the word emptiness as they will not understand; We tell them to make a habit of contemplating what there is that is worth having and what there is that is worth being. Gaining wealth, possessions, prestige and power, what is worth gaining, what is worth having? Being a human being, being a millionaire, being a beggar, being a king, being a king's subject, being a celestial being, what is worth being, what about it is worth being?

수계를 받은 적이 없고 경전을 본 적이 없는 재가자와 전혀 책을 읽을 수 없는 문맹자를 위해 특별히 다른 종류의 지름길이 있습니다. 이 지름길은 '모든 사물이 비어 있다는 것을 아는 것'이라는 동일한 의미와 목표가 있지만 이런 사람에게는 이들이 이해할 수 없을 것이므로 빔(공)이란 말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들에게는 가질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이 있는지 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이 있는지 숙고하는 습관을 들이라고 말합니다. 부를 얻고 재산을 얻고 명성과 권력을 가지는 것이 얻을 만한 가치가 있습니까? 가질 만한 가치가 있습니까? 인간이 되고 백만장자가 되고 거지가 되고 왕이 되고 왕의 신하가 되고 천신이 되는 것이 될 만한 가치가 있습니까? 어떤 부류가 되는 것이 될 만한 가치가 있습니까?

 

First of all we must understand the words 'have' and 'be' correctly. These words refer directly to grasping and clinging. To fulfill the meaning of the words 'have' or 'gain' there must be a grasping at something to make it ours.

For instance if we take diamonds and jewels and pile them up so that they completely fill a room and there is no clinging to them as being ours or that we are their owners, it's the same as if there is no possession or gain. The pile of precious stones stands there without meaning. But if grasping at 'I' occurs, that 'I have got them', 'I have made them mine', then that is having or gaining. Please understand these words in this way.

우선 '가지다(have)'와 '(존재가) 되다(be)'란 말을 바르게 이해해야 합니다. 이 말은 바로 움켜쥠과 집착을 가리킵니다. '가지다' 또는 '얻다'란 말의 의미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어떤 것을 우리 것으로 하기 위해 움켜쥐어야만 합니다.

예를 들면, 다이아몬드와 보석으로 방을 완전히 채우도록 쌓아 놓고 그것을 우리 것이나 그것의 주인으로 집착하지 않는다면, 소유한 것이나 얻은 것이 없는 것과 같습니다. 보석 더미는 의미없이 그곳에 있습니다. 그러나 '내가 그것을 가졌다', '내가 그것을 내 것으로 했다'는 것으로 '나'에 대한 움켜쥠(집착)이 일어나면, 그 때에 그것이 가지는 것이고 얻는 것입니다. 이런 식으로 이 말들을 이해하기 바랍니다.


I'll ask again, what is there worth having? What is there worth gaining? What is there that having been possessed won't cause its owner to suffer? Every single thing there is will burn up its owner, pierce, strangle and entangle him, envelop and oppress him should he start to 'have' or to 'be'. But should the precious stones stand piled up filling the room and he has no feeling of having or being, then there is no burning, entangling or strangling of any kind. This is called not-having and not-­being. So what is there, that having possessed it or having become it we will be free from Dukkha?

다시 물어 보겠습니다. 가질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은 무엇이 있습니까? 얻을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은 무엇이 있습니까?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그 주인에게 고(괴로움)를 일으키지 않는 것은 무엇이 있을까요? 가지거나 (소유주가) 되기 시작하면 존재하는 모든 것 하나 하나가 그 주인을 애태울 것이고 찌르고 목을 죄고 얽히게 할 것이며, 덮고 억누를 것입니다. 그러나 보석이 방에 채워져 쌓여 있더라도, 가지거나 (소유주가) 되는 느낌이 없다면, 어떤 종류의 애태움도, 얽힘도, 죔도 없을 것입니다. 이것을 '가지지 않고 되지 않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러므로 무엇을 소유하거나 무엇이 되었을 때, 둑카(고)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그 무엇이 있을까요?

 

Once there is the feeling of having or being, we don't have to be in the room with the stones, we can be in the forest or in another country on the other side of the world and the mind will still experience Dukkha. Try having children living in America you'll see that if you still cling to 'I' and 'mine' they will be able to give you sleepless nights or even a nervous breakdown.

가지거나 되는 느낌이 있으면, 보석이 있는 방에 꼭 있지 않고 숲이나 세계의 반대편에 다른 나라에 있더라도 마음은 여전히 둑카(고)를 겪을 것입니다. 미국에 살고 있는 어린 아이가 있다고 해 봅시다. 여러분이 '나'와 '내 것'에 여전히 집착하고 있다면, 그 어린 아이를 생각하며 잠 못 이루고 신경쇠약에 걸리기까지 할 수 있을 것입니다.  

 

Please make it a habit to regularly contemplate what is worth having and what is worth being; what is there that once possessed or become, will not cause us Dukkha. When we discover the truth that there is absolutely nothing that is worthy of the feelings of having or being then we become even - mind­ed towards all things. Whatever action we perform, be it arranging, having, collecting, using or whatever, we just do what needs to be done. So don't let the mind have or become! Keep in mind the principle of doerless doing:

The doing is done but no doer is there.

The path has been walked but no walker is there.

This verse refers to the arahant, the one who has practised Dhamma, or who has walked the Noble Path to its very end and who has reached Nibbana, but with no walker or no practiser to be found.

가질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이 무엇이고 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이 무엇인지 정기적으로 명상하는 습관을 들이도록 하십시오. (그러면) 가졌거나 된 것이 고(둑카)를 일으키지 않을 것입니다. 가지거나 되는 느낌이 절대적으로 아무런 가치가 없다는 진리를 발견하게 되면, 모든 사물에 대해 평정심이 있게 됩니다. 무슨 행동을 하든지, 정렬하고 가지고 모으고 사용하는 등 무엇을 하든지 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은 바로 합니다. 그러므로 마음이 가지거나 되지 않게 하십시오. 하는 자가 없는 행위의 원칙을 마음에 간직하십시오.

"행위가 있지만 행위하는 자는 없다.

길을 걸어 왔지만 걸어온 자는 없다."

이 게송은 담마를 실천한 자, 즉 고귀한 길을 그 종점까지 걸어 닙바나(열반)에 이르렀지만, 길을 걸어온 자나 실천한 자가 발견될 수 없다고 하는 아라한을 가리킵니다.


The principle of doerless doing must be taken up and utilized in our daily lives. Whether we're eating, sitting, laying down, standing, walking,  using, seeking, whatever we're doing we must have enough truth-discerning awareness to prevent the arising of the feeling of 'I'- the feeling that 'I' am the doer, 'I' am the eater: the walker, the sitter, the sleeper or the user. We must make the mind constantly empty of ego, so that emptiness is the natural state and we abide with the a awareness that there is nothing worth having or being,

하는 자가 없는 행위의 원칙은 우리의 일상 생활에 받아 들여 이용해야 합니다. 먹거나 앉거나 눕거나 서거나 걷거나 사용하거나 구하거나 무엇을 하든지, 나는 먹는 자이거나 앉는 자이거나 잠자는 자이거나 사용하는 자이라는 등  내가 행위자라는 '나'라는 느낌이 일어나지 않도록 진리를 식별하는 알아차림을 충분히 실천해야 합니다. 빔(공)이 자연상태가 되고 가지거나 될 가치가 있는 것이 아무 것도 없다는 알아차림에 머물도록 마음에서 에고가 끊임없이 비게 해야 합니다. 

 

Dhamma can be practised in conjunction with our daily tasks and the to and fro that they entail. There is no need to separate Dhamma from everyday life. It is a very high practice. If there is mindfulness and self-awareness, not only will our work be successful and free from error but at the same time the Dhamma in our hearts will develop and grow greatly. Not­ having and not-gaining will be the normal state of the mind.

담마는 일상적인 일과 이것에 수반하는 여기 저기와 관련하여 실천할 수 있습니다. 담마를 일상 생활과 분리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것이 가장 높은 실천입니다. 마음챙김과 알아차림이 있다면 하는 일이 잘못되지 않고 성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 동시에 가슴에 담마가 계발되고 크게 자랄 것입니다. 가지지 않고 얻지 않음이 마음의 표준 상태가 될 것입니다.

 

As for 'being' it's much easier. Consider what is there that having become there is no Dukkha? This can be a formula for reflection. It is the essential point. The word 'being' just as with the words 'have' and 'gain', refers only to the being that is accompanied by upadana, the grasping and clinging to the 'I am'. If a room is piledfull of gold and we have no feeling of being its owner there is no gaining or having and no being. Although the ownership rights and social conventions recognized by laws and the world have a certain validity, in our true hearts we shouldn't be misled into taking those relative truths to be ultimate. For instance when there is a birth it is, conventionally speaking, natural that the one who gives birth becomes a mother and the one born a child. However, if one doesn't take oneself to be a mother then one won't be a mother. Because one deludedly presumes oneself to be a mother one becomes one. Mother chickens, mother dogs, mother cows, all sorts of mothers consider themselves to be mothers and feel it natural to love their young. It's not necessary for them to create or nurture such feelings, these are instincts natural to animals.

'됨'에 관해서는 훨씬 더 쉽습니다. 되는 것에 둑카(고)가 없는 것이 무엇이 있는지 생각해 보십시오. 이것은 비추어 볼 공식이 될 수 있습니다. 이것이 요점입니다. '가지다'와 '얻다'라는 낱말과 같이 '됨'이란 낱말은 '내가 있다'를 움켜쥐고 집착하는, 우빠다나(집착)에 의해 일어나는 '됨'만 지칭합니다. 방에 황금이 가득 쌓여 있더라도 그 주인이 된 느낌이 없으면 얻은 것이나 가진 것이 없고 된 것이 없습니다. 비록 소유권과 사회협약으로 법에 의해 인정되고 세상에서 타당하다고 해도, 참 가슴 속에서는 이 상대적 진리를 궁극으로 여기는 오도됨이 없어야 합니다. 예를 들면 태어남이 있을 때, 관습적으로  말하면, 출산한 자는 엄마가 되고 태어난 자는 자식이 됩니다. 그러나 자신을 엄마로 여기지 않으면 엄마가 되지 않을 것입니다. 현혹되어 자신을 엄마가 되었다고 여기기 때문에 엄마가 됩니다. 엄마 닭, 엄마 개, 엄마 소 등 모든 종류의 엄마들이 자신을 엄마가 되었다고 생각하고 자식을 사랑하는 것을 자연스럽게 느낍니다. 그런 느낌을 기르거나 만들 필요가 없습니다. 이 느낌들은 동물에게 자연스러운 본능입니다.

 

But those with truth - discerning awareness are on a higher level. They have the knowledge of the way to destroy the grasping and clinging that arises from such ignorance.

그러나 진리를 식별하는 알아차림이 있는 자들은 높은 수준에 있습니다. 이들에게는 그러한 무지에서 일어나는 움켜쥠과 집착을 없애는 길에 대한 지식이 있습니다.

 

Now some people will think: "Not let us feel ourselves to be mothers! How cruel and heartless! Won't you let us love our children?" Listen carefully; it doesn't mean that at all. It means that it's possible to be a mother and perform a mother's duties with truth-discerning awareness. It's not necessary to be a mother with grasping and clinging, the cause of every kind of Dukkha. It's not necessary to suffer the unhappiness, the heart-­break and the tears. That suffering is indeed the price of not knowing how to be a mother, of being a mother in a way that does not conform with Dhamma.

지금 어떤 사람은 다음과 같이 생각할 것입니다 : "우리 자신을 어머니라고 느끼지 말자고! 그러면 얼마나 끔찍하고 인정 없겠는가! 우리 아이를 사랑하지 말라는 것 아닌가?" 그러나 주의하여 듣기 바랍니다. 전혀 그런 의미가 아닙니다. 어머니가 되지만 진리를 식별하는 알아차림으로 어머니로서 의무를 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모든 종류의 둑카(고)의 원인인 움켜쥠과 집착이 있는 어머니가 될 필요는 없습니다. 불행과 비탄과 슬픔을 겪을 필요가 없습니다. 이런 괴로움은 실로 어머니가 되는 법을 모르고 담마를 따르지 않는 식으로 어머니가 된 댓가입니다. 

 

When one is a mother one must have the Dukkha of a mother; when one is a son or daughter one must have the Dukkha of a son or daughter; when one is a father one must have the Dukkha of a father. Try asking yourself 'Is being a mother a pleasure?' 'Is being a father a pleasure?' Those of you old enough to have had a full experience of parenthood, think over what it's like. How will you answer? Even if you don't say anything outright, probably everyone of you will shake your heads. Is being a mother a pleasure? Is being a father a pleasure?

This is something that you should study and be naturally and habitually conscious of at the times when the mind is not occupied with sense contact.

사람들은 어머니일 때 어머니로서 둑카(고)를 가져야 하고, 아들이나 딸일 때 아들 또는 딸로서 둑카(고)를 가져야 하며, 아버지일 때 아버지로서 둑카(고)를 가져야 합니다. 자신에게 '어머니가 되는 것이 즐거운 일인가?' '아버지가 되는 것이 즐거운 일인가'라고 물어 보십시오. 여러분은 어버이의 경험을 충분히 겪었을 만큼 나이가 많으므로 (어버이가 되는 것이) 무엇과 같은 지 깊이 생각해 보십시오. 어떤 대답을 할 것입니까? 솔직히 말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여러분 모두 각자는 아마 고개를 저을 것입니다. 어머니가 되는 것이 즐거운 일입니까? 아버지가 되는 것이 즐거운 일입니까?

마음이 감각 접촉에 매어 있지 않을 때, 여러분이 공부해야 하고 그 때에 자연적으로 습관적으로 의식해야 할 것은 이것입니다. 

 

Is it a pleasure to be a husband? Is it a pleasure to be a wife? Think it over for yourselves. Those who have fully experienced being husbands and wives will all shake their heads.

Is it a pleasure to be male? Is it a pleasure to be female? If your truth-discerning awareness is following step by step and becoming increasingly refined, you will all shake your heads. To be female is to have the Dukkha of a female. To be male is to have the Dukkha of a male.

Is it a pleasure to be a child? Is it a pleasure to be an adult? Young children will probably say 'Yes, it's fun' but we who are now adults, we who are now old, look back and ask yourselves 'Was it really a pleasure?' Children have Dukkha of children and adults have the Dukkha of adults if there is grasping and clinging.

To expand this further - is to be a human being a desirable thing? Is it worth being? Or is it worth being an animal? To be anyone of a pair of opposites or to be nothing at all, which is better? To be a man, to be a denizen of hell, are they worth being?

남편이 되는 것이 즐거운 일입니까? 아내가 되는 것이 즐거운 일입니까? 스스로 깊이 생각해 보십시오. 남편과 아내가 되는 것을 충분히 겪은 사람은 모두 고개를 저을 것입니다.

남자가 되는 것이 즐거운 일입니까? 여자가 되는 것이 즐거운 일입니까? 진리를 식별하는 알아차림이 한 단계씩 높게 이어져 높은 수준에 이르면 여러분은 고개를 저을 것입니다. 여자가 된다는 것은 여자로서 둑카(고)를 가지는 것입니다. 남자가 된다는 것은 남자로서 둑카(고)를 가지는 것입니다.

아이가 되는 것이 즐거운 일입니까? 어른이 되는 것이 즐거운 일입니까? 어린 아이는 아마 말할 것입니다. '예, 재미 있습니다.' 그러나 이제 어른이 되고 나이 많은 우리는 뒤돌아 보고 자신에게 물어 봅니다. '그것이 정말 즐거운 일이었는가?' 움켜쥐고 집착한다면 아이는 아이로서 둑카를 가지고 어른은 어른으로서 둑카를 가집니다.

이것을 더 확장해 봅시다. 인간이 되는 것이 바람직한 일입니까? (인간이) 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입니까? 아니면 동물이 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입니까? 서로 반대되는 한 쌍 중의 어느 것이 되는 것과 전혀 어떤 것도 되지 않는 것 중에서 어느 것이 더 좋을까요? 인간이 되는 것,  지옥의 거주자가 되는 것, 이것들이 될 만한 가치가 있을까요?

 

To take another pair: Is this person you are, worth being? Or is it worth being a deva [25] in heaven? These questions are a measure of truth-discerning awareness, of whether or not one sees grasping and clinging fully and truly. Those who have seen the painful consequences of grasping and clinging will shake their heads in the same way; for to be a person one must have the Dukkha of a person, if one is a deva one must have the Dukkha of a deva.

다른 쌍을 봅시다. 이 세계의 사람이 될 만한 가치가 있을까요? 아니면 천국의 천신이 될 만한 가치가 있을까요? 이 질문들은 움켜쥠과 집착을 바르게 보았는지 보지 않았는지 '진리를 식별하는 알아차림'의 척도입니다. 움켜쥠과 집착의 고통스런 결과를 아는 사람은 같은 식으로 고개를 저을 것입니다. 사람이 되면 사람이 겪는 둑카(고)를 가져야만 하고 천신이 되면 천신이 겪는 둑카(고)를 가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If we are empty, not taking ourselves to be anything at all, then we are neither a person nor a deva and so the Dukkha of being either of those things is absent. If one is a human being or a deva following the urging of grasping and clinging is it a pleasure? Those who have realized the truth will all shake their heads.

자신이 전혀 어떤 것도 되지 않고 비어 있다면, 사람도 아니고 천신도 아니므로 그들이 겪는 둑카가 없을 것입니다. 움켜쥠과 집착을 권함에 따라 인간이나 천신이 되면 그것이 즐거울까요? 진리를 깨닫은 사람은 모두 고개를 저을 것입니다.

 

To be more specific, is it worth being a good person? Is it worth being a bad person? If one asks who wants to be a good person there is likely to be a forest of raised hand. Such people don't yet see that if one clings to being a good person then one must have the Dukkha of a good person in exactly the same way that a bad person will have the Dukkha appropriate to a bad person. When there is grasping and clinging at being, then there is no happiness at all, for that state of being will be weighed down by a heaviness of one sort or another. Even if some kinds of Dukkha do not show themselves openly, there are pleasures or distractions covering them up, through being fooled by those pleasures and distractions there will be the Dukkha of having, being and gaining of ambitiously striving to be this and that.

더 특별한 경우로서, 선한 자가 되는 것이 가치가 있을까요? 악한 자가 되는 것이 가치가 있을까요? 선한 자가 되고 싶으면 손을 들어 보라고 하면, 수많은 사람들이 손을 들 것입니다. 그런 사람들은 선한 자가 되는 것에 집착한다면 악한 자가 그에 따른 둑카(고)를 가지는 것과 꼭 마찬가지로 선한 자의 둑카(고)를 가져야 한다는 것을 아직 알지 못하고 있습니다. '됨'에 집착한다면 전혀 행복이 없습니다. 왜냐하면 '됨'의 상태는 여러가지의 무게에 의해 눌릴 것이기 때문입니다. 어떤 종류의 둑카(고)는 밖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하더라도 그것들을 덮고 있는 즐거움과 오락이 있습니다. 이 즐거움과 오락에 속아서 이것 저것이 되려고 열망적으로 노력하여 가지고 되고 얻는 둑카(고)가 있을 것입니다.  

 

In truth, nature fools us into taking on Dukkha, an obvious example being the case of the Dukkha that arises from propagating the species, from giving birth. It fools us so much that people actually enthusiastically volunteer. If they were to see the truth for themselves they would probably have nothing to do with this deception of nature. Is it a pleasure to be a good person? Is it a pleasure to be a bad person? Think about it.

진실로 자연은 우리가 둑카를 갖도록 속입니다. 명백한 예가 종족을 번식하고 출산하는 것에서 일어나는 둑카의 경우입니다. 자연은 사람들이 실제로 열렬히 이런 일을 자원하여 하도록 그렇게 많이 속입니다. 자신이 진리를 알게 되면 이 자연의 속임수에 따라 행하여 가지는 일이 없을 것입니다. 선한 자가 되는 것이 즐거운 일인가요? 악한 자가 되는 것이 즐거운 일인가요? 이것을

생각해 보십시오.

 

Coming even closer, is it worth being a fortunate person? Is it worth being an unfortunate person? The hasty and uncircumspect are likely to raise their hands immediately saying that being fortunate is extremely pleasant but those who have fully experienced good fortune will shake their heads. one who is fortunate must endure the Dukkha of one who takes himself to be fortunate in exactly the same way that the one who is unfortunate must endure the Dukkha appropriate to one who is unfortunate.

더 가깝게 오면, 운좋은 사람이 되는 것이 가치가 있을까요? 운나쁜 사람이 되는 것이 가치가 있을까요? 성급하고 신중하지 못한 사람은 즉시 손을 들고 운좋은 사람이 되는 것이 지극히 즐거운 일이라고 말할 것입니다. 그러나 행운을 완전히 겪어 본 사람은 고개를 저을 것입니다. 운좋은 사람은 운나쁜 사람이 그에 따른 둑카(고)를 겪는 것과 똑같은 식으로 운좋은 자의 둑카(고)를 겪어야 합니다.

 

Coming closer still. Is it worth being a happy person? Is it worth being an unhappy person? There will be a real forest of raised hands here, even more than before, all asking to be a happy person. on the other hand, those who have been happy, who have fully experienced being happy, will shake their heads. You may not understand this section so let me repeat, people who are happy must have the Dukkha of people with happiness. Regarding this point you must bear in mind that it is the worldly who establish the conventions as to the nature of happiness: that the one who has money and power and enjoys every sort of sense - pleasure is the happy person. But if we look closely we will see that such a person suffers Dukkha in an appropriate fashion, a 'fishbone' forms in the flesh of his pleasure. Even with the more subtle happiness that arises from samadhi and the meditative absorptions of the rishis and munis if the feeling that 'I am happy' arises, then it too will form a 'wishbone' inthe flesh of that happiness that will stick inthe enjoyer's throat. Those who grasp at and cling to the happiness of rupajhana suffer accordingly.

더욱 더 가깝게 오면, 행복한 사람이 되는 것이 가치가 있을까요? 불행한 사람이 되는 것이 가치가 있을까요? 전보다 훨씬 많은 사람이 손을 들고 모두 행복한 사람이 되는 것이라고 말할 것입니다. 반면에 사람들이 완전히 행복하다고 하는 것을 모두 겪어 본 사람은 고개를 저을 것입니다. 여러분은 이 부분을 이해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다시 반복해 말하겠습니다. 행복한 사람은 행복이 있는 사람의 둑카(고)를 가져야 합니다. 이 점에 관하여 여러분은 행복의 성질에 대해 개념을 세우는 세속을 알아차려야 합니다. 돈과 권력과 모든 감각적 즐거움을 즐기는 자는 행복하다고 합니다. 그러나 자세히 보면, 그런 사람은 그 즐거움의 살덩이 안에 형성되어 있는 고기뼈라는 방식으로 둑카를 겪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리쉬(선견지명이 있는 자)나 무니(현명한 자)의 사마디나 명상몰입에서 일어나는 더 섬세한(고상한) 행복조차도 '내가 행복하다'는 느낌이 일어나면 그 행복의 살덩이 속에 '갈망의 뼈'가 형성되어 즐기는 자의 목에 들어붙을 것입니다 색계선정의 행복에 집착하는 자는 그에 따라 고를 겪을 것입니다.

 

Consequently, there is the injunction to renounce lust for form and lust for the formless, the first two of the higher fetters (samyojana) that prevent us from becoming arahants. If there is clinging to the idea that we have happiness, even if it's the happiness that arises from Dhamma, it will cause a fine kind of 'fishbone' to stay stuck in the throat, so that the true Dhamma cannot be discerned.

따라서, 아라한이 되지 못하게 하는 높은 족쇄(삼요자나)의 처음 2개인 색계에 대한 욕망과 무색계에 대한 욕망을 버려야 한다는 가르침이 있습니다. '우리가 행복을 가진다'는 생각에 집착한다면 담마에서 일어나는 행복이라 할지라도 목에 들러붙어 걸리는 섬세한 종류의 고기뼈(갈망의 뼈)를 형성하여 참다운 담마를 인식할 수 없게 될 것입니다.

 

Grasping at Nibbana as being my self or my happiness is impossible. one may say, if one wishes that Nibbana is the supreme happiness and that one grasps Nibbana as being "I" or "mine", that I have the happiness of Nibbana or I have attained Nibbana. But these are mere verbalizations, in fact it can't happen. one who still grasps and clings cannot possibly attain Nibbana. If anyone takes himself to be the enjoyer of the happiness of Nibbana it can only be a counterfeit Nibbana. True Nibbana, is not of a nature that can be grasped at in that way.

나의 자아나 나의 행복이 되는 것으로 닙바나(열반)를 움켜쥐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어떤 자는, 자신이 원한다면 그 닙바나(열반)는 최상의 행복이고, '나는 닙바나의 행복을 가졌다' 또는 '나는 닙바나를 얻었다'고 닙바나를 '나' 또는 '내 것'이 되는 것으로 쥘 수 있다고 말할는지 모릅니다. 그러나 이것은 단순히 말로서 나타낸 것일 뿐이며 실제로 일어날 수 없습니다. 움켜쥐고 집착하는 자는 닙바나(열반)를 얻을 수 없습니다.  누군가 자신을 닙바나의 행복을 즐기는 자가 되었다고 여긴다면 그것은 가짜 닙바나일 뿐입니다. 진짜 닙바나는 그런 식으로 움켜쥘 수 있는 성품의 것이 아닙니다.

 

So we drive out happiness! We drive it out right from the happiness of children, the happiness of adults, of young men and women and the elderly, the happiness of the powerful and influential, right up to the happiness of being a deva, of having meditative absorptions and attainments and finally to Nibbana. If we deludedly consider 'I am happy' then we must suffer accordingly. Those who have realized the truth see this. Those who have not are in turmoil, ambitiously and hungrily striving for wealth, power and sense pleasures, or on a higher level, greedily striving for insight, meditative absorptions and attainments, pushing so much that some end up in a mental hospital. That in itself demonstrates the dangers of grasping and clinging to happiness. Young children will not understand this point but adults should.

실로 우리는 행복을 추구합니다! 아이의 행복에서부터 시작하여 어른의 행복, 젊은 남자 또는 여자의 행복, 노인의 행복, 권력있고 영향력있는 자의 행복, 천신이 되는 행복, 명상 몰입과 성취의 행복, 최종적으로 닙바나의 행복에 이르기까지 행복을 추구합니다. 어리석게도 '내가 행복하다'고 간주한다면 그에 따라 고를 겪어야 합니다. 진리를 깨달은 자는 이것을 압니다. 알지 못하는 자는 부와 권력과  감각적 즐거움을 열망하고 탐욕스럽게 구하여 혼돈 속에 있습니다. 또는 높은 단계의 통찰, 명상 몰입 및 성취를 갈망하여 극단적으로 몰아부쳐 어떤 자는 정신병원에 가기도 합니다. 이것들은 본질적으로 행복에 집착하는 것의 위험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어린 아이들은 이 점을 이해할 수 없겠지만 어른들은 이해해야 합니다.

 

Now we'll give some thought to another pair of opposites. Is being born a pleasure? Is dying a pleasure? Choose one or other of the pair. Which is more enjoyable, being born or dying? If we really understand Dhamma we'll shake our heads, we'll want neither birth nor death. However, although people don't usually want to die, they do want to be born. They want birth without death and what's more, they want eternal life or if they must die they want to be reborn. This is indeed grasping and clinging. only from the time when there is neither birth nor death, when the mind is empty, will there be an end to Dukkha.

이제 서로 반대되는 다른 한 쌍에 대해 생각해 보겠습니다. 태어나는 것이 즐거운 일일까요? 죽는 것이 즐거운 일일까요? 둘 중의 하나를 선택해 보십시오. 태어나는 것과 죽는 것, 어느 것이 더 즐길 만할까요? 담마를 정말로 이해한다면 고개를 저을 것입니다. 태어남도 죽음도 바라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사람들은 보통 죽기를 원하지는 않지만 태어나기는 바랍니다. 사람들은 태어나서 죽지 않기를 바라며, 더 나아가 영원히 살기를 바라거나 죽어야 한다면 다시 태어나기를 바랍니다. 이것이 실로 움켜쥠과 집착입니다. 태어남도 죽음도 없을 때부터만, 마음이 비었을 때부터만 둑카(고)가 끝날 것입니다.

 

Why not try thinking this over when you're lying down or walking in the moments that the mind is not occupied by sense contact. When you're doing something or being something, why not try thinking in this way?'

마음이 감각대상에 의해 점유되지 않고 누워 있거나 걸을 때, 이것을 깊이 생각해 보십시오. 어떤 일을 할 때나 어떤 것이 될 때 이런 식으로 생각하도록 해보십시오.

 

When you're suffering and exhausted with being a mother, why don't you ever feel that it's unpleasant? Being a husband, being a wife, being any of the things that I've mentioned, when you're disturbed and upset by that state of being, why don't you ever feel it to be utterly unpleasant? You still find it pleasant even when it brings you to tears.

여러분이 어머니가 되어 고통을 받거나 지쳐 있을 때, 이것이 즐겁지 않은 일임을 왜 느끼지 못하고 있습니까? 남편이 되고 아내가 되고 앞에서 언급한 어떤 상태가 되어 그 상태에 의해 교란되고 뒤틀려 있을 때 이것이 정말로 즐겁지 않다는 것을 왜 느끼기조차 못하고 있습니까? 여러분은 이것들이 눈물을 나게 할 때조차 아직 이것에서 즐거움을 찾고 있습니다. 

 

We must contemplate well that we want neither birth nor non - birth, for neither is empty. If we cling to non - birth then it too is not-empty. This section, concerning birth and non -birth, the final pair, is the hardest to understand and the hardest to practise. We want neither birth nor non - birth and through not grasping at or clinging to either of them there is emptiness. Having spoken continually of having and being, of not - having and not - being, we reach birth and non - birth and almost immediately we grasp at non-birth. Thus at the final stage our practice must be to advance to the point that our knowledge of non - birth dissolves, without becoming an object of grasping and clinging. Then true emptiness will appear, that which is neither birth nor non-birth, or in other words true non­-birth, the remainderless extinction. Speaking in this way may seem to be quibbling or splitting hairs but the meaning is unequivocal there is a definite difference between those two kinds of non-birth. So don't cling to the idea that Nibbana is non-birth and is wonderful and amazing in this way and that, or that vattasamsara (the wheel of birth and death) is a plethora of fun filled births. There must be no grasping or clinging on either side for there to be emptiness and genuine non - birth. The practice at the normal times must be of this nature continually.

'태어남'도 '태어나지 않음'도 바라지 않는 것을 잘 숙고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어느 것도 바라지 않는 것이 빈 것이기 때문입니다. '태어나지 않음'에 집착한다면 그것 역시 빔이 아닙니다. 마지막 쌍인 '태어남'과 '태어나지 않음'에 관한 이 부분은 가장 이해하기 어렵고 실천하기 어렵습니다. '태어남'도 '태어나지 않음'도 바라지 않고 그것의 어떤 것에도 집착하지 않으면 '빔'이 있습니다. '가짐'과 '됨', '가지지 않음'과 '되지 않음'을 계속 말하다 보면 '태어남'과 '태어나지 않음'에 이르게 되어 거의 동시에 '태어나지 않음'을 움켜쥐게 됩니다. 그러므로 실천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태어나지 않음'의 앎이 움켜쥠과 집착의 대상이 되지 않고 용해되는 지점까지 진전되어야 합니다. 그때에 '태어남'도 '태어나지 않음'도 아닌, 또는 다른 말로 '진정한 태어나지 않음', '남김없는 소멸'인 진정한(참된) 빔이 나타날 것입니다.  이런 식으로 말하는 것은 모호하게 말하거나 지나치게 세세히 구별하는 것같이 보이지만 그 의미는 명료합니다. 두 종류의 '태어나지 않음' 사이의 차이는 명확합니다. 그러므로 닙바나는 태어나지 않음이고 이 길과 저 길에서 굉장하고 놀랄만하다는 생각에 매달리지 마십시오. 또는 왓따삼사라(탄생과 죽음의 바퀴)는 태어남으로 가득하여 재미로 넘치는 것이라는 생각에 매달리지 마십시오. 빔이 되고 '진정한 태어나지 않음'이 되기 위해서는 어느 쪽에도 집착하지 말아야 합니다. 평상시의 실천은 이 자질이 계속되게 해야 합니다.

 

As for the moments when we are doing the great work of kammatthana, the most technical aspect of the practice of samadhi, vipassana, whereby one examines the painful consequences of grasping and clinging, it too is a matter of being empty. A large part of kammatthana practice depends on following instruction, it's not something an unlearned person can do on his own, and thus there are many guidelines and explanations. You may read these for yourselves or bring to mind those you have formerly heard. All of the points that I have been making here are included in the practice at the ordinary times.

명상주제를 실천하는 것에 대하여, 사마디(집중)의 수행과 위빠사나(통찰)의 수행 중에 수행자는 움켜쥠과 집착에서 생기는 고통스런 결과를 이해해야 합니다. 이것도 비우는 것에 대한 문제입니다. 깜마타나(명상주제) 실천에 대해 많은 가르침이 있습니다. 이 실천수행은 이를 배우지 않은 사람이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그래서 많은 안내지침과 설명이 있습니다. 여러분은 이것들을 각자 읽어 보거나 전번에 들은 것을 새겨 볼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말한 것은 모두 평상시의 실천에 포함됩니다.

    


 

 

운명(運命)을 바꾸는 소식(小食)


일본의 명관상가(名觀相家) 미즈노 남보쿠(水野南北, 1757~1834)의 개운(開運) 비결

미즈노 남보쿠는 일본 강호시대(江戶時代강호시대=德川幕府도쿠가와막부시대 1603~1867)

의 중간시기쯤 경도(京都,교토)에 살았고 성덕태자(聖德太子쇼오토쿠태자)를 교조로 모시고

신도(神道), 유교(儒敎), 불교(佛敎)를 깊이 연구했다.

3년간 이발소의 조수로 두상을 연구하고, 3년간 목욕탕 때밀이로 체상(體相)을 연구하였으며,

 또 3년간은 화장장 소체부(燒體夫)로 죽은 자의 골상(骨相)을 철저히 연구하는 등

 상법(相法)을 연구했을 뿐 아니라 깊은 연구에 연구를 거듭하여 백발백중

틀리는 일이 없다는 말을 들었다.

동서고금에서 비할 수 없는 상법(相法)의 권위자로 평생의 제자가 3,000명이 넘었다고한다.

저서로는 남북상법(南北相法) 10권,

신상전편정리해(神相全篇精理解),

연산상법이해(燕山相法理解),

 상법대역변론기린(相法對易弁論麒麟),

봉황지권(鳳凰之卷),

 초목전(草木傳),

 남북상법수신록(南北相法修身錄),

 군신제후전(君臣諸侯傳) 등의 비전서(秘傳書)가 있다.



미즈노남보쿠(水野南北)의 개운의 비결


- 만 명에 한 명도 안 틀린다.

나는 오랫동안 꾸준히 사람의 인상을 보아왔으나 한낱 인상만으로 판단하면

 돈을 벌고 출세하여 장수할 상을 가진 사람도 빈한하게 요절하는 사람이 있고

 빈한하고 요절할 상을 가진 사람도 실제로는 부유하고 출세하며 장수하는 사람이 있어

 여간하여 맞지 않기 때문에 안타깝게 생각했었다.

그러던 중 어느 때 문득 사람에게 있어 먹는 것이 중요한 요소가 아닐까하는 생각에

사람의 운과 불운,

 수명은 모두 음식을 조심하느냐 조심하지 않느냐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닌가

살펴본 결과 1년 안에 대난이 닥칠 사람도 삼가 음식을 조심한 결과 대난을 면했을 뿐 아니라 오히려 좋은 일이 생겼다.

평생 빈궁해야할 상(相)의 사람이 음식을 조심한 결과 상응한 부귀를 누리고

 지금은 크게 출세한 사람이 있다.

전에는 병약하고 단명한 것으로 판단했던 사람이 매일 음식을 조심한 결과

심신이 공히 건강하고 장수하는 사람이 적지 않았다.
이런 예를 들자면 셀 수 없는 정도였다.

사람의 관상을 볼 때 그 사람의 평생 음식먹는 실태를 알아보고

그에 따라 일생의 운과 불운을 판단하였던 바 만인 중 일인의 오판도 없음을 알게 되어

 사람의 운명은 오직 음식하나라고 확신하고 이것을 나의 상법의 비결로 정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것을 사람들에게 권할 뿐 아니라 나 자신이 직접 실행하여 일생에

 쌀도 안 먹고 오직 보리를 1일 1홉 씩만 먹고
술을 즐기지만 이것도 1일 1홉으로 정하였다.

오직 나만 아니고 모두가 하루빨리 음식을 조심하여 개운행복하고

장수 할 수 있도록 간절히 바라는 마음이다.

인간일생의 길흉은 오직 그 사람의 음식에 달려있다. '

무서워할 것은 음식이다.

 조심할 것은 음식이다.

음식을 체격에 비하여 적게 먹는 사람은 인상이 안좋아도 길하고

상응하는 복을 받고 장수 행복하게된다.

음식을 체격에 비하여 많이 먹는 사람은 설혹 인상이 좋아도

만사 순조롭지 않고 매사 뒤늦은 결과로 평생 걱정하게 되고 만년이 불길하다.

소식으로 엄격히 조심하는 사람은 예컨대 빈한하고

 나쁜 인상이라도 상응하는 복을 받고 장수하며
만년이 행복하고 영양이 부족하게 보여도 병을 앓지 않는다.

대식하고 거기다 그 양도 시간도 정한 바 없는 사람은 말할 것 없이

 평생불운하고 결국 가정도 무너지고 병에 걸린다.

음식에 규범을 정했어도 때에 따라 많거나 적거나 일정치 않으면 수입도 많아지고 적어진다.

음식이 일정불변하면 수입도 일정불변하여 오직 식사를 일정하게 엄수하는 것이 좋다.

수명의 장단은 오직 인상만으로 정하기 어렵고 평소의 식사량을 알아보고

 관상을 보면 만인에 일인도 실수가 없다.

병이 없고 길상인 사람이라도 젊어서부터 매일 사치한 식사를

 한 사람은 연로하여 위장병에 걸린다.

매일 일에만 열중하는 것만으로 입신출세하는 것이 아니고 열심히 검약하고

 대식을 삼가고 조금이라도 하늘에서 받은 식록(食祿)을
아끼고 이를 기반으로 입신출세하기를 힘쓰는 것밖에 없다.

음식에 호사를 다하고 입신출세를 바라는 것은 극히 우매한 사람이다.

거듭거듭 음식을 조심하는 것이 제일이라고 강조한다.

액년(厄年)에다가 대난(大難)의 상을 가진 자라도 언제나 절제있는 식사를 하고

 엄중하게 지키는 사람은 액운을 면하게 된다.

술이나 고기를 많이 먹고 비대한 사람은 평생 출세 발전하지 못하고 만년에도 불행해진다.

입신출세하고자 하면 우선 제일로 음식을 줄이고 엄중히 지킬 것이다.

이것을 하는 사람은 반드시 입신출세하고 못한 사람은 평생 입신출세할 가능성은 적다.

번영하던 집에 운이 다하여 기울어가더라도 만약 후계 주인이 식사를 줄이고

엄중히 지키면 수입이 자연히 늘어나고 가운이 번성한다.
예컨대 빈궁하고 고생이 많은 인상이라도 스스로 가난한대로 조식을 먹고

 이것을 지켜내면 자연히 가난을 벗고 상응한 재산을 이룬다.
이것을 자복자득이라고 한다.

술이나 고기를 배부르게 마시고 먹고 가장 건강한 듯 뽐내는 것은

본래 천리에 역행하는 것으로 오래갈 수 없다.

겸손하게 처신하는 사람이 됨으로써 언제까지나 길이 오래 갈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일천야 기도했다 하여도 그 정성이 깃들지 않았다면 결코 신명이 감응치 않는다.

참으로 정성껏 기도하고자 한다면 자기의 명을 神에게 바치라.

음식은 내 생명을 보양하는 근본이며 음식을 바치는 것은

 자기생명을 바치는 것과 같은 것이다.

신은 정직한 자를 돕는다.

 탁한 것은 받지 않는다.

매일 식탁을 향하여 자기가 신봉하는 신불을 마음에 모시고 기도한다면

 어떠한 소원도 이루지 못할 것이 없다.

한 가지 일에 뛰어난 사람은 아무리 그 뜻이 견고하더라고 하늘은 더욱 곤궁하게 한다.

이것은 더 한층 정진하도록 하는 천심이다.

대인은 이럴 때 마음쓰지 않고 더욱더욱 노력함으로써 마침내 천하에 이름을 남긴다.

소인은 마음이 바로 흔들려 포기하고 하늘을 원망하고

일생을 우왕좌왕하며 목적을 달성할 수가 없다.

비록 소인일지라도 음식을 근신하고 단단히 결심하면 흐트러지지 않는다.

마음이 흔들리지 않으면 머지않아 반드시 목적을 달성하는 것은 틀림없다.

그럼으로 우선 음식을 조심하고

그 외 어떠한 일이든지 선하다고 하는 일을 실행하며 천운을 기다리는 것이 좋다.

운은 돌아온다.

선악이 모두 자기의 행위에 따라 돌아온다.

운은 보답한다.

내가 한번 좋은 일을 하면 그 보답은 반드시 나에게 돌아온다.

길흉간의 그 보답이 돌아오는 것은 천지의 법칙이다.

운은 옮겨온다.

자기가 행하는 선행이 작더라도 그것이 점점 쌓여갈 때는 천하의 큰 선행을 이루어낸다.

생명이 있는 한 누구에게나 운이 있다.

아침 일찍 일어나 매일 일에 열중하고

그리고 음식을 조심하여 게을리 하지 않으면

자연히 천리에 부응하여 운은 점점 열려온다.
이것을 개운(開運)이라고 한다.

음식을 조심하고 있으면 마음과 몸이 건강하여 기가 자연히 열려온다.

기가 열리면 운도 그에 따라 열려온다.

결코 틀림이 없다.

우선 3년을 조심해 보라.

그렇게해서도 만일 運운이 열리지 않는다면

세계에 神신은 없는 것이고
나 미즈노 남보쿠는 천지의 대적이다.

인상의 선악을 분명히 알고 싶으면 우선 자신의 음식을 조심하고

모든 낭비를 하지 말고 그리고 3년을 계속한다면 인상의 선악은 자연히 확연해진다.

나는 언제나 이것을 실행하고 자연의 선악을 내가 충분히 납득하고서

 모든 인상의 판단을 내렸다.


이것이 상법(相法)의 대도이다.

내가 이것을 하지 않고 어떻게 남의 선악을 점칠 수 있겠는가.
타인을 점칠 수 있는 것은 결국 자기 수양의 전제가 된다.
나의 상법(相法)의 비결은 결코 다른 것이 있을 수 없다.


자료출처: 한국자연건강회(http://www.nh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