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1. 16. 21:18ㆍ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선불교이야기
송담스님(No.246)-84년(갑자년) / 추계산철결제 법문(84.08.27)에서
이 법당에 계신 많은 신남신녀(信男信女) 사부대중이 ‘이뭣고?’, 이 ‘시삼마(是甚麽)’
화두를 하시는 분이 많으실 줄 생각을 합니다마는, 시삼마(是甚麽) ‘이뭣고?’
화두를 하시는 분은 ‘이뭣고~?’
앉아서도 ‘이뭣고?’, 걸어가면서도 ‘이뭣고?’, 똥을 누면서도 ‘이뭣고?’,
밥을 먹으면서도 ‘이뭣고?’, 차를 타면서도 ‘이뭣고?’, 속이 상할 때에도 ‘이뭣고~?’
다못 앞도 없고 뒤도 없고 무조건하고 그렇게만 참구를 해 나가는 것입니다.
경전에 있는 말씀을 끌어다가 그걸로 이리저리 따져 보고, 비교해 보고,
분석해 보고, 그런 것이 아니여.
이 참선 공부에는 일체 철학이나 일체 과학이나 모든 이론이 여기에는 인용되어서는
아니 되고. 여기에 그 놈을 가지고 따져서 비교해서도 아니 되고.
그래서 옛날에 이 공부는 ‘무얼 많이 알고 배우고 허면은 오히려 이 공부하는 데에
장애가 될 수도 있다’하는 말이 전해오고 있습니다.
아무리 많이 경을 알고, 학교를 많이 다니고 해서 지식이 풍부한다 하더라도 그것을
여기에다가 끌어들여서 그것을 동원하지만 아니하면, 뭐 하등(何等)의 해로울 것도 없지만,
중생의 습기(習氣)라 하는 것이 그렇기가 어려워서 뭘 많이 알면 아는 것을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그놈을 갖다가 끌어들여 가지고 그놈으로 이리저리 분석도 허고,
적용도 해보고, 종합도 해보고,
그렇게 해서 자기 나름대로 어떠한 결론을 내려 보고도 싶고 이럴 수가 있어서 허는 말이지,
꼭 많이 알면 못 쓴다는 것은 아닙니다.
이 공부는 그래서 지식이 있고 없는 것도 상관이 없고, 머리가 좋고 나쁜 것도 상관이 없고,
남자거나 여자거나 그것도 상관이 없고, 나이가 많고 적은 것도 상관이 없습니다.
첫째는 큰 신심(信心).
‘내가 본래 부처다. 나도 부처님이다. 그러니 어찌 내라고 해서 이 공부를 못헐 것이 있는가?
나도 열심히 허면 결정코 성불을 헐 수 있다’고 허는 확고부동(確固不動)한 신념을
가져야 하는 것입니다.
태산(泰山)을 끼고 바다를 건너뛸려고 허는 것은 헐 수가 없는 일이여, 불가능한 일이지만,
내가 나를 찾는 것은, ‘내게 본래 있는 것’을 찾는 것은 호주머니 속에 들어있는 물건을
찾는 거와 같고, 항아리 속에 넣어 놓은 자래를 잡은 거와 같아서, 손만 넣으면 잡히게
되어 있는 것이여.
한 생각 돌이켜서 ‘이뭣고?’하는 바로 거기에 나의 본성이 거기에 있는 것이라,
‘올바른 방법으로 참구(參究)만 허면 누구라도 깨달을 수가 있다’고 믿어야 하는 것입니다.
둘째는 큰 분심(憤心)을 가져야 하는데, 무슨 분심이냐?
과거의 모든 부처님과 조사와 모든 선지식들은 진즉 이 문제를 결판을 내서 부처님의
혜명(慧命)을 이어 받고 모든 중생을 제도(濟度)하고 계시는데, 나는 왜 오늘날까지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육도 속에서 이렇게 윤회(輪廻)를 허고 있는가?
그 점에 대해서 대분심(大憤心)을 가져야 해.
분심을 가져야 용맹심이 나고, 용맹심을 내야 퇴타(退墮)를 안하게 되는 것이여.
분심이 없고 용맹심이 없으면 공부에 아무 매카리가 없어 가지고,
어제도 그럭저럭, 오늘도 그럭저럭, 공부를 허는 것인지 안 허는 것인지,
그렇게 해 가지고서는 여간해서 이 공안을 타파해 가지고 자기의
본래면목(本來面目)을 요달(了達)하기가 어려운 것입니다.
부처님께서는 왕궁의 부귀를 버리시고 설산에 들어가서 손수 머리를 깎어 버리고
6년, 어떤 경전에는 12년이라고 되어있는 데도 있습니다마는, 그 무서운 고행을 하셨고,
달마(達摩) 대사도 소림굴에 들어가서 9년을 면벽관심(面壁觀心)을 하셨고,
장경(長慶) 스님이라 하는 분은 포단(蒲團)을, 방석을 7개를 뚫었다고 합니다.
얼마나 좌선을 지극정성으로 했으면, 궁뎅이로 방석이 뚫어져서 못 쓰게 되면
또 다른 방석을 가지고 또 정진을 하고, 1년 이태 이렇게 한 방석을 가지고 한결같이
앉아서 정진을 하고 용맹정진을 하고 밤낮을 가리지 않고 정진허다 보니까
멀쩡한 방석이 닳고 닳아서 구녁이 뚫어져. 이렇게 하기를 7개 포단을 뚫었다 이거여.
향림(香林) 스님은 40년에사 타성일편(打成一片)을 했어.
타성일편이라 하는 것은 ‘쳐서 한 조각을 이룬다’
화두를 들려고 안 해도 저절로 화두가 들려서 행주좌와 어묵동정 간에 일체처 일체시에
의단(疑團)이 독로(獨露)해서 순수무잡(純粹無雜)해.
그 40년에사 타성을 일편(打成一片)했다 그거여.
조주(趙州) 스님은 소년 시절에 공안을 타파해 가지고 확철대오해서 견성(見性)을 한
그러헌 고불화현(古佛化現)이라고 헐 만큼 그런 큰스님인데,
30년에 부잡용심(不雜用心)을 했어. 잡되게 마음을 쓰지를 안 했다.
이 공부는 이만큼, 내게 있는 것을 내가 보는 것이지만,
이만한 끈기와 정성과 용기가 있어야만 되는 것입니다.
조금 해보고 ‘아이고, 그놈의 것 못 해먹을 지서리다’, ‘인연이 없나 보다’,
‘내가 근기가 약한가 보다.’ 이렇게 대수롭지 않게 생각해서는 아니 된 것입니다.
고인(古人)은 하루해가 넘으면 ‘오늘도 이렇게 깨닫지를 못하고 하루해가 넘어갔구나’
이래가지고 발을 뻗고 통곡을 헌 스님도 있다고 합니다.
밤에 잘 때 졸음이 오면 송곳으로 무릎을 찌르면서 졸음을 깨면서 정진을 헌 그런
스님도 중국에도 있고 한국에도 있습니다.
저녁에 잠을 자지 않기 위해서 무거운 돌덩어리를 지고서 지리산을 이 봉우리에서
저 봉우리로 밤새 다니면서 정진을 한 그런 스님도 있습니다.
그 돌이 지금 지리산 쌍계사 육조 스님 정골탑 앞에 그 돌이 지금도 놓여 있습니다마는,
생사문제를 해결하는 일이 그렇게 목숨 바쳐서 정성을 들이지 않고서는 아니 된다고
허는 것은 충분히 우리는 각오를 해야 할 것입니다.
이렇게 말씀드리면,
‘아이고! 그렇게 어려운 일이라면 일찌감치 그만두고 아미타불(阿彌陀佛) 10번만
불러도 극락세계로 갈 수가 있다는데, 우리 같은 여자가, 더군다나 속가에 있으면서
그 참선은 감히 생각지도 못헐 일이다.
그저 염불(念佛)이나 해서 극락세계(極樂世界)나 가야겠다.’
혹 그렇게 미리부터 겁을 집어먹는 분이 있으실런지 모르겠습니다마는, 어려운 면으로
보자면 그렇고,쉬운 면으로 보자면 '세수하다가 코 만지기보다도 더 쉽다' 그랬어.
세수를 허다 보면 코를 만지지 않을랴고 해도 저절로 코가 만져지는 것이여.
내가 나를 찾는 공부가 쉽기로 말하면 그렇게 쉬운 것이다 그말이여.
밥 먹을 때, 옷 입을 때, 걸어갈 때, 말헐 때, 눈으로 무엇을 볼 때, 귀로 무엇을 들을 때,
바로 거기에 있거든.
거기에 있기 때문에 오히려 찾을랴고 함으로 해서 달아나버리고 놓쳐버리는 것이지,
찾을랴고 허지 아니하면 언제나 거기에 있거든.
그러니 그것이 쉽다고 헐 수밖에는 없는 것이다 그말이여.
찾을랴고 허면, 이렇게 시청언동(示聽言動)-눈, 코, 입, 귀를 통해서 보고 듣고 맛보고
말하고, 바로 거기에 있건마는,과연 ‘그놈이 어떻게 생겼는가? 그놈이 무엇인가?’하고
찾어 보면 간 곳이 없다 그말이여.
이렇게 눈을 통해서 온갖 것을 보고, 귀를 통해서 온갖 소리를 듣고, 혀를 통해서 온갖
맛을 다 가려내고, 몸뚱이를 통해서 차고 더웁고 부드럽고 까끄라운 것을 그렇게
판별헐 줄 아는,이렇게 소소영령(昭昭靈靈)한 놈이 잠시도 나와 더불어 1분 1초도
떨어지지 않고 같이 살고, 같이 먹고, 같이 자고, 같이 이렇게 생활을 하고 있건마는,
그렇게 소소영령하고 분명한데 아! 찾어보면 간 곳이 없다 그말이여.
그러니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를 찾어도 볼 수가 없고, 1분 1초도 나와 떨어진
적이 없이 노상 같이 있고, 가깝기로 말하면 한 걸음도 여의지 않고 1초도 여의지 않는 것이고,
멀기로 말하면은 삼천대천세계를 찾어도 없으니 이 기기(奇奇)하고 묘묘(妙妙)한 이 도리를
어떻게 말로 가르켜주고 생각으로 알 수가 있겠느냐 그말이여.
그래서 지혜와 자비를 원만구족(圓滿具足)하신 부처님과 역대조사는 어떠헌 중생이라도
아무리 근기가 하열(下劣)한 중생이라도 바른 스승의 지도를 받어서 열심히만 하면 누구나
깨달을 수 있는 방법을 개발을 해낸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이 화두(話頭)라 하는 것이여, 화두(話頭).
‘이 무엇고~?’
말을 할 때에도 ‘이뭣고?’, 속이 상할 때에도 ‘이뭣고?’, 배가 고플 때에도 ‘이뭣고?’,
밥을 먹으면서도 ‘이뭣고?’.‘이뭣고~?’ 알 수 없는 의심. 해 갈수록 꽉 막혔어.
앞도 없고 뒤도 없어. ‘이뭣고~?’ 이렇게만 해 가면, 처음에는 입으로 ‘이뭣고?’해도
속으로는 금방 딴 생각이 일어나고,앉았을 때 ‘이뭣고?’했는데 일어서다가 잊어버리고,
금방 ‘이뭣고?’허다가 무슨 소리가 나면은 그 소리 듣는 바람에 잊어버리고.
그렇게 잊어버릴 때가 많다 그말이여.
보다가 잊어버리고, 듣다가 잊어버리고, 냄새 맡다가 잊어버리고, 먹다가 잊어버리고,
생각하다가 잊어버리고, 그렇게 잊어버리고, 잊어버리면 또 챙기고, 잊어버리면 또 챙기고.
잊어버린 것 걱정허지 말고, 딴 번뇌·망상 일어나는 것도 걱정허지 말고,
그저 부지런히 챙기기만 하면 되는 거여. ‘이뭣고~?’
경(經) 공부를 한다든지 다른 무슨 공부를 허면 무엇이 알아진 것도 있고, 하루 하면
하루 한만큼 무엇이 얻어진 바가 있고, 이틀 허면 이틀 헌만큼 무엇이 알아지고
얻어진 바가 있는데,이 공부는 해 갈수록 알 수가 없고 꽉 맥히고 답답허기만 하다 그말이여.
그러나 이 알 수가 없고 답답헌 거, 이것이 정말 견성성불(見性成佛)헐 수 있는
아주 귀중한 대목이다 그말이여.무엇이 환하니 보이고, 무엇이 알아지고 얻어지고
보여진 것이 있으면 그건 공부가 잘못 되어간 거여.
스승 없이 자기 나름대로 공부를 허면 백이면 백, 다 잘못되는 까닭이
바로 거기에 있는 것입니다.
어머니 사랑합니다......
'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 > 선불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처와 선 禪 2 / 일붕 서경보 큰스님 (0) | 2016.02.28 |
---|---|
선악을 생각하지 마라/현성스님 (0) | 2016.01.24 |
려사미거 마사도래(驢事未去 馬事到來) (0) | 2016.01.02 |
발심법문[육성법문]③ - 전강 스님[ 田岡永信] (0) | 2015.12.27 |
방하착 (放下着)과 착득거(着得去) (0) | 2015.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