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달음에 소요되는 시간적 문제

2018. 6. 24. 16:22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불교교리·용례

728x90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깨달음에 소요되는 시간적 문제 

- 종경록에서 


<깨달음을 성취하는 이치에 대해 혹 어떤 사람은 일념에서 성취한다고

말하기도 하고, 혹은 삼대아승기겁이라는 셀 수 없는 긴 세월 동안 수행해야만

가능하다고 말들을 하나 잘 모르겠다.

이 둘 가운데 어떤 문장을 단정적으로 취하여 이것만이 옳다고 후학들에게

인가해 주어야 하는지를.>


깨달음을 성취하는 근본이념은 시간이 길고 짧은 데에 관계하지 않는다.

그런데도 깨달음을 성취하는 수행시간의 더딤과 신속함을 말하는

가르침은 중생들의 근기에 알맞게 시행하는 방편에 속한다.


그러므로 기신론에서는 이 문제를 밝히기를

<신심을 내어 용맹하게 정진하는 중생을 위하여 깨달음의 성취는

일념 사이에 있다 말하고, 게으름을 피우는 중생을 위하여 삼대아승기겁

동안의 수행이 가득 차야만 깨달음의 결실을 얻을 수 있다>

고 하였는데, 이들 말은 가르침의 자취로 나타난 언어이므로 이 모두는

끝까지 허구적인 임시의 방편을 이룰 뿐이다.


능엄경초에서는 말하기를

<겁이란 시간에 따른 그 분야의 의미이다. 그리하여 시간의 분야로 나눈

성주괴공의 겁 모두가 중생들이 허망하게 분별하는 견해를 따른 느낌일 뿐,

그 시간의 실존은 끝내 없다>라고 하였다.


그리고 시간이란 망상을 따라 생멸하는 눈앞의 공간적인 세계를

의지하여 성립하는데 그 세계는 망상의 그림자일 뿐, 진여일심에서는

그 실재하는 모습이란 본래 공적하기만 하다.

따라서 그것을 의지하여 성립하는 시간의 분야도 그 실체가 없게 마련인데

어찌 다시 시간적인 수량의 많고 적음을 논변하랴.

단지 일념에서 근본무명번뇌를 끊기만 한다면 어느 겨를에 다시

아승기겁의 수행을 편력하겠는가.


그러므로 수능엄경에선 말하기를

<나와 모든 세계를 허깨비처럼 실재하지 않은 것으로 보는 여환삼매에

들어 손가락을 퉁기는 극히 짧은 순간에 번뇌가 끊어진 무학의 경지로

초월한다.> 하였다.


다시 말하기를 ,

<형질과 그 감촉에서 받아들여진 느낌에 대한 인상이 오진경계가 되고,

그것을 실재인 양 분별하고 집착하는 허망한 마음이 더러운 번뇌의 때가 된다.

따라서 이 둘을 함께 멀리 여의면 그대가 세계의 실제 모습을 볼 수 있는

지혜의 눈이 멀리 여읜 그 시간과 호응하면서 청정해지리라.

그런데도 무엇 때문에 위없이 보편하게 아는 깨달음을 성취하지 못하랴.>고 하였다.


또 원각경에선 말하기를

<나와 세계는 허깨비처럼 실재가 아님을 알고 집착에서 그 즉시 떠나면

다양한 수행방편을 조작하지 않게 되며, 허깨비 같은 허상의 집착에서 떠나면

즉시 깨달음이므로 역시 수행의 점차도 없다.>라고 하였던 것이다.


그러므로 알아야 할 것은 길고 짧은 시간이란 일념을 따라서 찾아 왔으면

삼승 수행인들이 시간적인 선후의 차이를 따르면서 깨달음의 결실로

취향해 가는 이 모두까지도 꿈속의 일일 뿐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깨달음을 성취할 때의 일을 말해 본다면 이 모두는 일념의 찰나일 뿐

많은 시간을 소요하지 않는다.

♪♪

01.♡ 조용필/그대 발길이 머무는 곳에 02.♡ 남궁옥분/나의 사랑 그대 곁으로 03.♡ 이 용/바람이려오 04.♡ 한경애/곡예사의 첫 사랑 05.♡ 김광석/그녀가 첨 울던 날 06.♡ 배인숙/누구라도 그러하듯이 07.♡ 수와진/새벽 아침 08.♡ 이은하/미소를 띄우며 너를 보낸 그 모습처럼 09.♡ 김범룡/그 순간 10.♡ 민혜경/내 인생은 나의 것 11.♡ 해오라기/사랑은 받는 것이 아니라면서 12.♡ 임아영/미 련 13.♡ 노고지리/사랑의 꿀맛 14.♡ 루비나/눈이 내리네 15.♡ 이택림/울지마 16.♡ 김수희/지금은 가지 마세요 17.♡ 이재성/촛불잔치 18.♡ 전 영/서울야곡 19.♡ 송창식/피리부는 사나이 20.♡ 양희은/네 꿈을 펼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