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2~4강
2022. 8. 11. 16:12ㆍ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불교학개론
728x90
불교학, 어떻게 학습하고 연구할 것인가?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2강]
연구의 기본은 텍스트 교재를 아는 것
보름마다 포살라를 통해 합송->성문승
의무적으로 암송
지론,형론,구사론,법산,삼론
설일체 유부의 부파불교는 소승기득권- 신흥불교의 대안 보살승 불경 텍스트는 금강경 도전자의 주장임
남방불교는 아님-오용
유식학을 쓰는 법상종은 조직적
화엄종의 사사무애의 방법은 사유적
선종-선종
자기 원하는 거에 따라 줄서기 하는 것
초간단 인도 불교사!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3강]
8만4천경은 1대제자들까지 사후 100년까지(율장보완)
사후200년 제3결집(오사)
대승운동가들은 본인들을 보살승이라 불러(나중 소승,대승으로 이름 바꿔)
10사(2차의 주제)-소금, 2마디해밥(탁발과정문제)등 먹는 문제=나중 비법으로 결정-근본2파분열 일어나
5사(3차의 주제) 기말분열-초역사적 붓다의 개연성 일어남
역사 속의 인간 붓다는 어떤 분인가?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4강]
몽정문제:음욕, 오줌(신체적 자극)
아라한과 다른 결점이 없는 완성 이룬 붓다
교주가 인간붓다의 결점(신격화-힌두교와의 경젱)->초역사적 인간붓다
<팔상성도>
탄신(태자)
출가(수행자)
성도(세존)
열반
전반전35년, 후반전 45년(율장대품)
부처님의 생애
아난존자의 일기
법구경 이야기
'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 > 불교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14~16강 (0) | 2022.08.16 |
---|---|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11~13강 (0) | 2022.08.15 |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8~10강 (0) | 2022.08.14 |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5~7강 (0) | 2022.08.14 |
불교를 배우는 이유는?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1강] (0) | 2022.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