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8. 14. 21:26ㆍ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불교학개론
불교의 근본 뿌리 가르침인 초전법륜경[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8강]
정각후
보리수나무 아자빨라니 나무아래 7*7=49일 선정
녹야원행 4~500km장정 3개월
정각 연기공식의 씨앗
초전법륜은 뿌리의 내용
수행자이므로 실천적 중도를 말함
자살의 가장 큰 특징 죽고싶은게 아니라 살고 싶지 않은 것이다(존재하고 싶지 않은 욕구)
지금처럼이라면 살고 싶지 않은 것이다
무유애는 무색계의 근본
시전-8고를 보여준다, 알았다
권전-고통을 알고 인정하라고 권하는 것-실천
증전-완전히 끊어내는것
갈애로부터 해탈 완성
8정도는 닦아야(완전히 닦는 것=증전)
결론=알고 인정하고 끊어내고 해탈완성하고 8정도를 닦는다
불교의 신행은- 믿는게 아니라 신뢰를 갖고 받아들이는 것=신수
3법인은 없고 3특상을 설함 무아에 대한 3특상
연기-중도-8정도(정견)-4성제가 밑그림이 되어 8만4천의 1페이지 장식
초전법륜경에서 무아경으로의 전개방향은?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9강]
시전-처음 정견
나머지 7정도는 권전
마무리 정견-완성 증득 증전
꼰단야 법의 눈이 생겼다-시전 깨침의 지도를 앎
초전법륜의 의의 :씨앗은 다 뿌려졌다(3전12행상)=3보의 형성
꽃이 되고 열매가 되는 설법이 무아경-촉매제 역할
연기->중도->8정도->4성제: 12연기무명 타파는 4성제의 중요성
신체가 나의 것이면 내뜻대로 되어야 되는데 안된다
신체가 내것이 아니므로 질병이 든다
내뜻과 상관없이 병이 든다
그러므로 신체는 나도 아니고 나의 것도 아니다
아집이 있으므로 고통
아집이 없으면 평정이며 즐거움
논리적으로 내뜻대로 안되니 나가 아니다
감성적으로 삼특상=>부파불교 시 삼법인으로 정리
내 뜻대로 안되는 것들과 육신은 무슨 차이가 있는가
갈애-아집- 스위칭
4성제 출가
무아경 아라한
근본불교=정각=>49일=>초전법륜==>무아경
삼특상=>삼법인
3전12행상=>4성제8정도
반야는 정견-4성제 (키워드연결고리)
대승의 핵심 반야 근본불교의 정견
결국 반야심경도 초전법륜에서 나온 것
비판 발전(설일체 유뷰와 반야부)
초기불교에서의 교학체계와 수행체계의 완전 정리!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10강]
강묵스님의 초기 불교 참조
온은 5온-나란?
처는 12처-존재란?
계는 18계-세계란?
근은 22근-인간이란?
제는 4성제-정견이란?
연은 12연기-성주괴공이란? 현상의 변화에 대해서
깨어있음은 결과 이전 닦기 대상을 관찰하는 것이다
수행순서-신=>수-\>심=>법
신념처-수식관, 자세(행주좌와), 32상(해부학)-관찰의 효과-애욕,음욕=몸이 청정착각-똥가죽 쓰레기,신체촉감
수념처-대상이 마음으로 들어올때 고,락,사-신체감각과는 다름
심념처는 탐진치 등 마음상태
법념처는 마음작용현상을 관찰
신념처가 기본대상 기본 쌓기다
맛지마닊야 참조
4정근은 7각지중 택법각지와 정진각지
정진은 노력하는 것이고 구체적인 내용은 반복적인 노력
도둑질도 정진이지만 정정진도 아니다=택법
선은 해탈에 도움되는 것 행복에 도움이 되는 것
아직 선 일어나도록
이미 선 유지증진되도록
아직 악-못나오게
이미 악-끊어버려여
7각지(깨달은 자의 특징)
① 염각지(念覺支) : 알아차리기라는 깨달음의 요소.-4념처=깨ㅔ어있음의 힘-자유의지의 힘-항상 깨어있다
② 택법각지(擇法覺支) : 안팎의 현상들을 선별하는 깨달음의 요소.-4정근-정정진중 정의 내용-무분별지를 쓰는 것이지 사는게 아니다
③ 정진각지(精進覺支) : 정진이라는 깨달음의 요소.-4정근-정정진중 정근의 내용
④ 희각지(喜覺支) : 기쁨이라는 깨달음의 요소.
⑤ 경안각지(輕安覺支) : 편안함이라는 깨달음의 요소=몸과 마음이 건강한 상태.
⑥ 정각지(定覺支) : 집중이라는 깨달음의 요소.
⑦ 사각지(捨覺支) : 평온이라는 깨달음의 요소=평정,무위의 상태(담담)=평등하다
8정도 미완성자-택법 불완전
8정도는 정견 중시 7각지는 정념부터 시작(깨어있음이 있어야 택법 가능)선택권=자유의지
깨어있음은 자유 깨어있지않음은 무자유-택법의 눈
번뇌 일어나고 안일어나고 는 상관없고 끊어야 하는지 증장시켜야하는지를 알아야-정정진
4여의족=성취수단=효과적 성취
욕에서 서원과 탐욕은 다르다
원하는 것과 원하는 것에 사로잡힌 것은 다르다
염은 깨어있음과 기억
정진-억념 바탕으로 반복적인 노력
사유는 검증-잘, 성취 여부
신은 붎법승계에 대한 신뢰
신은 정견에 대한 믿음
시전은 정견(8정도) 신근(5근)
권전은 정사유부터 정정
증전은 정견과 혜근이 드러나는 것
신력-안정,도약
정정진력 함정에서 벗어나는 힘-디딤돌
정념력- 뭐든지 잘배워 사띠-자질
정력-집중력
혜력-전문가
흔들리는 이벤트마다 5근을 점검하고 딲아
7각지는 마음작용을 볼때 7각지 유무를 본다
염각지 완성되면 나머지는 자동으로 완성된다(사띠바다나-정념의 확립)
▣ 상좌부(上座部) - 사위팔십이법(四位八十二法)
일체법 | 유위법 무위법 |
범주 (4位) | 법 (82법) | ||
일체법 一切法 諸法 |
유위법 (有爲法) |
(1) 마음(心 心王) 1가지 |
마음(心 心王) | ||
(2) 마음부수 (心所, cetasikā) 52가지 ※ 마음과 함께 일어 나는 심리현상들 |
① 다른 것과 같아 지는 것 13가지 |
감각접촉(受), 경험느낌, 인식(想), 의도, 집중, 생명기능, 주의(作意), 일으킨 생각(正思惟), 지속적인 고찰, 결심, 정진(精進), 희열(喜悅), 열의(欲), | |||
② 해로운(不善)것 14가지 |
어리석음(痴), 양심없음, 수치심없음, 들뜸(도거), 탐욕(貪), 사견(邪見), 자만(慢), 성냄(嗔), 질투(嫉), 인색(慳) 후회(惡作), 해태(마음무기력), 혼침(심소무기력), 의심(疑), | ||||
③ 아름다운 것 25가지 |
믿음(信), 마음챙김(念), 양심(懺), 수치심(愧), 탐욕없음(不貪), 성냄없음(慈), 중립(捨), 몸의경안, 마음의경안, 몸의가벼움, 마음의가벼움, 몸의부드러움, 마음의부드러움, 몸의적합함, 마음의적합함, 몸의능숙함, 마음의능숙함, 몸의올곧음, 마음의올곧음, 바른말, 바른행위, 바른생계, 연민(悲), 같이기뻐함(喜), 통찰지의 기능(正見,慧) | ||||
(3) 물질 (色,rūpa) 28가지 |
①구체적물질 18가지 |
근본물질(4) | 지(地)ㆍ수(水)ㆍ화(火)ㆍ풍(風)의 요소 | ||
감성의 물질(5) | 안(眼)ㆍ이(耳)ㆍ비(鼻)ㆍ설(舌)ㆍ신(身)의 감성 | ||||
대상의 물질(4) | 색(色)ㆍ성(聲)ㆍ향(香)ㆍ미(味) ※감촉은 대상의물질에서 제외됨. 4大의 땅, 불, 바람의 요소이므로) |
||||
성(性)(2) | 여성, 남성 | ||||
심장의 물질(1) | 심장토대 | ||||
생명의 물질(1) | 생명기능(命根) | ||||
음식의 물질(1) | 영양소 | ||||
②추상적물질 10가지 |
제한(1) | 허공의 요소 | |||
암시(2) | 몸의 암시, 말의 암시 | ||||
변화(3) | 물질의 가벼움, 부드러움, 물질의 적합함 | ||||
특징(4) | 생성, 상속, 쇠퇴, 무상함 | ||||
무위법 (無爲法) |
(4) 열반(涅槃, nibbāna) 1가지 |
열반(涅槃, nibbāna) |
○ 교학 - 5온, 12처, 18계, 22근, 4성제, 12연기
○ 실천 - 4념처, 4정근, 4여의족, 5근, 5력, 7각지, 8정도
37조도품
'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 > 불교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14~16강 (0) | 2022.08.16 |
---|---|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11~13강 (0) | 2022.08.15 |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5~7강 (0) | 2022.08.14 |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2~4강 (0) | 2022.08.11 |
불교를 배우는 이유는?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1강] (0) | 2022.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