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11~13강

2022. 8. 15. 13:07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불교학개론

728x90

광대한 시간과 공간에 대한 불교의 세계관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11강]

 

독서실식 공부방

카페식 공부방-창조성 발휘

보시바라밀-행동, 세계관=사유
모든 상을 떠난 것이 적멸
현상이 유지되기도 변화되기도 생겨나기도 사라지기도 하는데 이 원리(창조,진화,연기)
상대성 이론

틀을 넓힌다-상대적

틀을 부순다-허구

드러난 현상을 세간이라 한다

환경은 -물리학이 바라보는 대상자연
저은 자아의식

중생-생을 반복하는 흐름에 들어 있는 무리들

생의 원동력이 될만큼의 자아의식이 강한 존재들

식물은 자아의식이 있으나 미약하여 윤회를 못한다고 불교는 바라봄
중생세간-생을 반복하는 카테고리는 육도
기세간은 삼계
갈애에서 유는 존재하고자하는 엶망,욕망-생존본능
이웃종교는 죄, 불굔느 사로잡힌 간정
천상은 선이 우세 공덕이 많아 자만=마음 경험으로 설명
모든 종교철학의 공통주제

불교에서 기세간과 중생세간은 서로 상응한다 본다

본질은 없다, 현상은 있다는관점(예를 들면 탐욕의 원동력으로 아귀같은 현상 세계가 형성 된다)

욕망의 유뮤
물질의 유무

욕계=욕망O 물질O

색계=욕망X 물질O

무색계=욕망X 물질X

기세간 삼계와 중생세간 삼계는 상응하는 것이다-유심삼계

육도는 다 욕계

천상중에 일부 색계 천상, 일부는 무색계 천상

욕망원인 따라 욕계, 4선천색계선정, 무색계선정

연습이 필요한 곳들은 인간 천상 색계 무색계

삼계육도는 진제에선느 없고 속제에서는 있다
수미산 중심으로 3계육도-하나의 세계

하나의 세계가 천개 소천

소천세계가 천개 중천

중천세계가 1000개 대천

동서남북과 간방+상하=시방항하사 세계라고 도 함
관측으로 있고 무관측으로 없는 세계가 평향허게 끊임없이=>metaverse
설일체유부의 세계관으로 성립
불교는 다중우주관을 가지고 있다
시간적 세계관

 

 

우주가 유지되는 불교의 시간적 세계관은?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12강]

일론머스크-홀로그램세계관
구사론
시분초의 개념
겨자겁, 선녀겁
4는 성주괴공
1기무상-대겁= 80소겁
성겁에서 기세간, 주겁에서 6도

무색계중생=>색계중생=>욕계중생(6도의 형성)

주겁\20겁동안 악업중생으로 변화기간

중생세간이 무너지는데 19겁 기세간 무너지는데 1겁=괴공20겁

펼쳐진 세계가 아닌 닫힌세계는 20겁의 공겁(업력은 유지)->풍화수지->성겁

우주의 생멸을 논할때 겁 개념 -우주나이를 세는 단위

겁(우주단위), 찰나(인간인식단위)도 다 실재아닌 개념

시간은 실재가 아니므로 인식주체가 단위를 정해 나온 것 삼세
과거가 있었다는 개념-설일체유부
원자와 같은 기본구성요소를 법으로 표현(비물질 포함)-무아지만 유법이다
필름은 있다

초기불교가 소승 아닌 설일체유부가 소승관점으로 봄

대승은 설일체유부와 경쟁

밀교는 힌두와 경쟁

속제의 있다는 관점은 설일체유뷰
법성게 구세십세호상즉
속제9세+진제1세=10세

무한세가 1념-진제의 입장

1념 인식의 기본 단위

년겁찰나는 실\재를 전제하므로 삼세개념 나와

과거가 길어도 느끼는 건 1찰나이다

지나가면 실재하지 않으므로 1찰나

1찰나가 80겁일수도-상대성

무거운게 시간이 빨리가=외부세계의 시간은 물ㅈ빌의 질량에 따라 달라져

개인적 경험속 시간은 인식 집중의 밀도에 의해 결정

집중의 무게에따라 줄어들고 늘어난다
집중한자만이 시간단위를 인식

카르마의 법칙은 서로 상응하는 것끼리만 보내 산란하지 않아

3계6도9세도 겹쳐있지만 산란하지 않아

물은 인간은 물로 경험하지만 물교기는 공기로 경험 아귀는 불로 경험, 천신은 땅으로 경험-송수신기가 달라

1점이 수신기가 달라  천차만별의 경험이 일어나

시간과 공간이 아니라 시공간
물질 근원 같은 개념

 

불교의 세계관을 구성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13강]

법:사회를 유지하는 것
법=사회에 통용되는 규칙
세상은 화합물인데 구성요소?

법은 규칙이라는 뜻과 근원이라는 뜻으로 발전

세포=구성물이면서 화합물
법은 규칙=>근원\=>존재
미시존재든 거시존재든 법
객관대상존재
만물은 기세간 중생세간편에서 말함
물질중심에서 마음중심으로(유식)
5온은 마음작용을 자세[히
수와 상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마음 작용은 행으로 분류
위빠사나는 쪼개어본다는 의미=해체

견(물)은 그냥 보는 것, 관(H2O)은 쪼개어서 본다

법체계기준하 해체
인간에 대해서는 5취온으로 별도 불러
처는 겸험이 이루어지는 장소
5온에 비해 색법을 10가지로 나눔
마음대상은 마음작용-수상행
12처에서 식근 5온의 식온을 자세히 다룸=색심 근기 중시=심법

3과=온처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