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9. 9. 21:02ㆍ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불교학개론
어떻게 일념에 삼천 가지로 관할 수 있는가?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26강]
여우 깨달은 사람은 인과로부터 자유로워진다=>명명백백하다(없어지는게 아니라 안다)
부처님은 부처에도 중생구제를 위해 지옥출입권이 있다
제법실상은 중생도 좋은 면 다 있고 성인도 안좋은 면 다 있다-열린 마음
책상은 인간 카테고리 기세간=무정물(일념)에도 10법계의 가능성\=>무한가능성
제법이 서로 무애한 이유는 무엇인가?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27강]
모든 만불의 본성은 만물의 정보가 다 구족되어있다-성구론=일미진중함시방
타끌에는 모든 우주정보 법계가 다 들어있다=>일체지 훈련(빼내는 방법과 빼내는 권한)
구글 데이터센터 접속- 구글 일체지
아뢰야식의 데이터베이스를 어떻게 뽑아쓸까(수행대위-락 풀어가는 과정)
성기설의 근거는 성구론
원융(정보가 들어 있어)무애(정보가 들어 있어 벽,장애가 무너져)=배척다투지 마라(모든 면이 다 들어있다)
실상이 모든 정보다
십법계를 5온으로 나눈 것처럼 10여로 요약
정신과 육체 비물질과 물질 본질과 현상
체는 성과 상을 포함한 바탕/ 력은 체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기능 성능
작은 의도를 가지고 쓰는 것(업이고 행이다)
인=습인
성상/체력장/인연과보.구경
본말= 1번 상+9본 보
작업이 주관에 영향을 줘 습인이 아뢰야식에 저장 그 아뢰야식중 하나가 인
아뢰야식외 다른 모든 종자와 정보가 연
원융=키워드 통한다
모든 존재는모든 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통한다(원융 무애)
변한게 아니라 가지고 있어 촉발시키는 사건(관계속에서 나의 역할이 중요하다)=성구이므로
여시상을 시상여로 읽으면 이 상이 같다는 뜻
시상여 시성여 하면 상성의 같은 면을 이야기하는 것\공의 측면을 강조하는 것
상과 성을 단어 뒤에 넣으면 차별을 강조하는 가제,가관(여시상, 여시성 여시체)=다른 측면
성과 상을 시와 여의 중간에 놓으면 즉 여를 뒤에 두면 공관(시성여, 시상여 등)=같은 측면
상과 성을 맨 앞에 두어 상여시 성여시 시를 뒤에 두면 중도관=동시측면
'일미진중함시방'에 대한 양자 얽힘의 원리는?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28강]
4대연기 업식성 진여성은 전부
일측 일체=다즉일
일미진중함시방=정보는 비물질-다 들어가 있어
인드라망-두산백과- 부처가 세상 곳곳에 머물러 있음을 상징
씨줄과 날줄-여의주-진공 묘유의 원리(보일 듯 말 듯-투명 a1에 a2dptj z100의 나머지 모든 구슬이 비친다 )
양자라는 물질은 한번 접촉(얽힘)하면 시간의 떨어짐에 상관 없이 공간의 떨어짐에 상관없이 (비국소적이라 표현)
비국소적으로 한쪽에서 일어나는 정보가 다른족의 정보를 동시에 받아들임
여기 충격은 저기에도 동시에 충격
한번 얽히면 비국소적으로 정보를 공유한다-양자컴퓨터 구현하고 있어 양자 전송 연구(순간이동 실현)
만법이 얽히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아
당연히 맇체지인데 경계가 장애
시간론(연기론) 공간론(실상론)=본성이 드러난다(성기)
모든 정보가 전송받고 있다 일체지의 가능성은 누구에게나 열려있다
성구-모든 것이 이미 갖추어짐
'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 > 불교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32~34강 (0) | 2022.09.15 |
---|---|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29~31강 (0) | 2022.09.13 |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23~25강 (0) | 2022.09.04 |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20~22강 (0) | 2022.08.20 |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17~19강 (0) | 2022.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