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32~34강

2022. 9. 15. 22:05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불교학개론

728x90

번뇌를 지혜로 바꾸는 과정은 어떻게 진행되는가?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32강]

오성의 한계=대상을 경험하는 것이 아닌 대상의 상분(촉,작의,수,상,사의 상)=보여지는 내마음을 경험

보는 마음(견분)이 보이는 마음(상분)을 보고 있는 것 듣는 마음이 들리는 마음을 듣는 것

육경은 인식의 재료,조건
인식주체의 분류= 자아는 말나식
올바른 견분(틀)인지를 보는 놈(작용)=견분점검자

정보=>활동=>점검

화두를 본다에서 화두는 상분/ 보는놈을 본다-자증본

인식대상의 분류

독영경-느낌적인 느낌 귀신-만들어진 느낌

대질경-망상으로 경험

인식대상은 6경이 아닌 상분의 분류

인식작용의 분류
수념-기억을 따라서
지각
=비유량,비교량=추리
=비현량=잘못 헤아림
택법각지

촉에서 오토시스템을 안끄면 분별을 당하는 것

지혜롭지 않다는 것은 멍청하다는 것이 아니라 분별에 갇혀있다는것

성인은 선인식 후분별

중생은 선분별 후인식

디딤돌
8식=심의식+감각식
나가 생기면 나와 너의 구분시작(분별뿌리)
의근먼저 전환된 후 결과인 의식 묘관찰지

평등성지(감정과 본능의 한계)-분별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이지 분별을 못하는 무지가 아니다=택법각지

묘관찰지-잘못된 아닐비 비량이 끝남=현량에 가까워짐=아바타(생각의 한계)

성소작지-감각기관의 한계에서 벗어나는 것

일체지는 먼지(극미,양자)도 원래 아는 걸(전지) 뭐든지 되는 극미의 능력(전능) 아는것(모든 정보)

아뢰야식이 무구청식이 되면 저장되는 특성만 남음

즉비(무분별)시명(택법각지-자유)
주어서 얻을 수 있는게 아니다

경험하는 그 자리에서 인식을 바꾸면 드러나는 것

성소작지-지은 바가 이루어진다, 행한 바가 이루어진다 이게 당연한것

 

 

승보라는 존재가 내게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33강]

승보란 무엇인가?
마음의 기술
계율=태국, 선정=미얀마, 혜향=스리랑카
수다원향은 3학 이수중

10가지 족쇄(10결)와 4쌍관계 참조

56의 길을 혼자 가는 위험
2가지 사건-해탈과 전법(보리와 교화=보리심\나와 중생의 구제)
공부판(보리심 수행집단)=>승보

 

 

불교에서 말하는 믿음은 무엇인가?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34강]

신앙의 대상 =3보

승단법인의 목적 2가지-즉신성불

3아승지겁 수행을 지금 할려면 제한 시간내 효율이란는 문제의식 그래서 방법론

수행-계정혜-3학3과목

촉매 역할을 하는 마음의 기술-첫번째 믿음
믿음의 큰손

이웃종교 믿음-유일신! 신은 신체가 우리에게 경험이 안됨. 말로 설명할 수 없음. 그래서 당연히 의심하는데 죄라고 함-무조건 믿음

맹목적 믿음

맹목적 실천(행)이 됨
미듬 단독 아닌 이해와 실천과의 합일 강조

불교에서 믿음의 대상은 초기불교 3보+대승불교 자성불교

내가 부처님이다.(초기 면전 부처님 확신이 쉬워)

3보의 자격논란으로 인한 3가지 기준=>3종

주지삼보-머무르고 지닐 수 있는 삼보-현생 만날 수 있는 삼보-수행정신의 가난함 문제일수도

주지불보-살아계신 부처님에 대신의 상징물

3보의 영원성에 대한 욕구로 별상삼보(3보의 상) 동체삼보(3보의 페), 주지승보(3보의 용)

도구로서의 일개움

법신- 법계 잔리 그자체. 광범위하며 근본

화신-감각의 존재(몸)로 나타난 부처님

보신-수행의 공덕 과보로 얻은 마음,음성으로 나투신 부처님

네이버 클로바노트(녹취 성취)

범부 승가의 문제-3학 필수로 범부라도 인정

중생심(모든 조내의 마음 한측면 진여심)

깨어서 비춘다-불보(사띠)

고요하게 번뇌가 멸한 자리-법보

마음의 화합의성격-승보

내마음에 부처가 될 가능성은 무엇인가? 각멸합

중생심 속에 갖추고 있는3보- 각조 요소, 적멸의 요소, 화합의 요소 이걸 깨우면 자신이 3보가 된다

성구설과 성별설
오성 각별설
정성보살과 부정종성은 불성이 있음
일체중생이 동체3보가 있다는 것은 이상적(리불성-이치적)->수행필요, 유식은 현실적으로 보는 것(행볼성)
리불성 깨워낼 수 있는 행불성이 없어
개는 리불성(이상-불변)이 있지만 행불성(현길 변화)이 없다/ 무성유정 포기 그렇지만 현실세계는 변한다-유식은 변화를 전제

자성삼보에서 불성 유무 논란(행불성, 리불성)

리불성은 잠재력, 행불성은 잠재력을 깨우는 수행(머리는 좋은데 공부하지 않는다)

유식은 부모님 마음-행불성이 필요-현실적으로 방법이 디테일해

부처님이 되는 증거를 알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