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9. 15. 22:05ㆍ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불교학개론
번뇌를 지혜로 바꾸는 과정은 어떻게 진행되는가?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32강]
오성의 한계=대상을 경험하는 것이 아닌 대상의 상분(촉,작의,수,상,사의 상)=보여지는 내마음을 경험
보는 마음(견분)이 보이는 마음(상분)을 보고 있는 것 듣는 마음이 들리는 마음을 듣는 것
정보=>활동=>점검
화두를 본다에서 화두는 상분/ 보는놈을 본다-자증본
독영경-느낌적인 느낌 귀신-만들어진 느낌
대질경-망상으로 경험
인식대상은 6경이 아닌 상분의 분류
촉에서 오토시스템을 안끄면 분별을 당하는 것
지혜롭지 않다는 것은 멍청하다는 것이 아니라 분별에 갇혀있다는것
성인은 선인식 후분별
중생은 선분별 후인식
평등성지(감정과 본능의 한계)-분별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이지 분별을 못하는 무지가 아니다=택법각지
묘관찰지-잘못된 아닐비 비량이 끝남=현량에 가까워짐=아바타(생각의 한계)
성소작지-감각기관의 한계에서 벗어나는 것
일체지는 먼지(극미,양자)도 원래 아는 걸(전지) 뭐든지 되는 극미의 능력(전능) 아는것(모든 정보)
아뢰야식이 무구청식이 되면 저장되는 특성만 남음
경험하는 그 자리에서 인식을 바꾸면 드러나는 것
성소작지-지은 바가 이루어진다, 행한 바가 이루어진다 이게 당연한것
승보라는 존재가 내게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33강]
10가지 족쇄(10결)와 4쌍관계 참조
불교에서 말하는 믿음은 무엇인가?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34강]
신앙의 대상 =3보
3아승지겁 수행을 지금 할려면 제한 시간내 효율이란는 문제의식 그래서 방법론
수행-계정혜-3학3과목
이웃종교 믿음-유일신! 신은 신체가 우리에게 경험이 안됨. 말로 설명할 수 없음. 그래서 당연히 의심하는데 죄라고 함-무조건 믿음
맹목적 믿음
불교에서 믿음의 대상은 초기불교 3보+대승불교 자성불교
내가 부처님이다.(초기 면전 부처님 확신이 쉬워)
3보의 자격논란으로 인한 3가지 기준=>3종
주지삼보-머무르고 지닐 수 있는 삼보-현생 만날 수 있는 삼보-수행정신의 가난함 문제일수도
주지불보-살아계신 부처님에 대신의 상징물
3보의 영원성에 대한 욕구로 별상삼보(3보의 상) 동체삼보(3보의 페), 주지승보(3보의 용)
법신- 법계 잔리 그자체. 광범위하며 근본
화신-감각의 존재(몸)로 나타난 부처님
보신-수행의 공덕 과보로 얻은 마음,음성으로 나투신 부처님
네이버 클로바노트(녹취 성취)
범부 승가의 문제-3학 필수로 범부라도 인정
중생심(모든 조내의 마음 한측면 진여심)
깨어서 비춘다-불보(사띠)
고요하게 번뇌가 멸한 자리-법보
마음의 화합의성격-승보
중생심 속에 갖추고 있는3보- 각조 요소, 적멸의 요소, 화합의 요소 이걸 깨우면 자신이 3보가 된다
자성삼보에서 불성 유무 논란(행불성, 리불성)
리불성은 잠재력, 행불성은 잠재력을 깨우는 수행(머리는 좋은데 공부하지 않는다)
유식은 부모님 마음-행불성이 필요-현실적으로 방법이 디테일해
'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 > 불교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38~40END (0) | 2023.03.04 |
---|---|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35~37강 (0) | 2022.10.29 |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29~31강 (0) | 2022.09.13 |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26~28강 (0) | 2022.09.09 |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23~25강 (0) | 2022.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