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7. 29. 23:47ㆍ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선불교이야기
강신주의 무문관 - 33칙 비심비불(非心非佛) : 부처가 되기 위해서는 부처처럼 하면 안된다? [주인공으로 살아가기 22회]
어떤 스님이 “어떤 것이 부처입니까?”라고 묻자, 마조(馬祖)는 말했다. “마음도 아니고, 부처도 아니다.” 부처가 부처가 아니라니 이게 무슨 말일까요? 싯다르타는 싯다르타이고 나는 나입니다. 돌을 아무리 깎고 문지른다고 한들 돌이 거울이 될 수는 없죠. 즉 우리는 부처처럼 되려고 해서는 안됩니다. 그렇다면 부처란 무엇일까요? 그 무엇에도 집착하지 않는 상태가 되야 부처가 될 수 있죠. 즉 부처가 되려는 집착조차 버려내야 부처가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구한다는 것은 내가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
결핍 연습






배고플 때 먹고 배부르면 안먹고가 아니라 어머 12시네

사람이 아무도 없는 바닷가에서 오줌을 못넣는다면 교육이 문제


밥세끼시간은 일종의 가지치기 편하니까
먹기 싫을 때 억지로 먹으면 소화불량
먹고 싶을 때 못먹으면 변비
멧돼지는 그렇지 않다




내가 하자되어있다 부족하다가 아니라 충족되어 있다고 봐야
이 세상이 모두 장미가 예쁘다고 하는데 나는 개나리야

가치평가를 받아들이면 안돼
나는 퍼펙트하게 개나리야

싯다르타는 장미고 나는 개나리야 나는 싯다르타가 될거야는 거짓말
이미 이쁜 개나리인데


내가 부처면 이 그림자도 부처그림자 부처나 나 부처야 떠들지 않아





마음이 일상처럼 평화로와야 마을에 누가 놀라오면 금방 알아보고 보인다
시골 마을은 동네 이벤트가 별로 없어 작은 일이 일어나면 다 받아들여
번잡하고 씨끄러워 그와중에 옆집아젔는 굶어 죽어 너무 많은 일들이 그냥 지나가고


바람이 안부는 사찰 앞 연못에 잎사귀 하나 떨어지면 보여
세상 만물에 열려있어야
한가하게 툇마루에 누워 한가하게 잠자리를 보는다
가만히 누워있을때 살짝 지나가는 바람도 금장 느껴진다







강신주의 무문관 - 25칙 삼좌설법(三座說法) : 네 가지 구절을 떠나고 백 가지 잘못을 끊어야 된다 [주인공으로 살아가기 23회]
앙상 화상은 꿈속에서 미륵 부처가 계신 곳에 가서 앉아 설법을 했습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승의 불법은 네 구절을 떠나서 백 가지의 잘못을 끊는다. 분명히 들으시오. 분명히 들으시오." 네 구절로 백 가지의 잘못이 만들어지기에 이를 끊어야 한다는 가르침인데요. 네 구절은 무엇이고 백 가지의 잘못은 무엇을 뜻하는지 자세한 이야기는 영상을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1.2.불생불멸 :일어나면(보이면..)생, 다음 생과 동시에 앞의 것이 멸.
3.4.불상부단 :비유비무 ,묘환 묘현 환현
5.6.불일불이 1)색즉시공-무실체무자성 연기 무아 공 ex갈대집 2)부처와 중생(꿈속의 중생이 아프면 부처도 아프다) ex명품
7.8.불래불거







































총 14개 무기





















































































강신주의 무문관 - 7칙 조주세발(趙州洗鉢) : 어느 것에도 집착하지 않고 의식하지 말아야 한다 [주인공으로 살아가기 24회]
사찰에 들어온지 얼마 지나지 않은 스님이 조주스님께 가르침을 구하자 조주스님은 '아침 죽은 먹었나?' 라고 질문을 던졌습니다. 이후 스님이 아침 죽을 먹었다고 대답하자 조주스님이 '그럼 발우나 씻게' 라고 답했고 그제야 스님은 깨달음을 얻었다고 합니다. 조주세발 화두에서 이야기 하는 것은 무언가를 잡으려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살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집착하고 무언가를 의식하게 되면 우린 우리의 인생에서 결코 주인공이 될 수 없기 때문이죠.















엄마나 선생님의 고민은 무엇이어야 하는가 이 아이는 무슨 꽃인가

성골 진골이니 뼈다귀 있는 가문
카스트 제도
아빠의 직업으로 등급이 매겨진다














































가부장적 질서가 원하는 연기의 모습 말고







































































눈 사람이 없어졌어 아빠 어떡해 눈사람은 천국에 있다는 헛소리 하지 마라
학인 스님은 자기라는 말의 약을 남용한 것

깨우쳤지만 몸뚱아리가 배고픈거야 나도 밥먹어어여해



약을 찾아 계속 먹으려고 하는 것 남용


이 파도 소리는 그 남자와 헤어지지 않았다면
이 퍼도소리는 없는 것이다 인연은 묘하기도 하여라
바다와 나의 인연
쓸쓸하다고 방구석에 쳐박히지 마라
바깥으로 나가라








저자극성 음식같은 조주스님
담백함
'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 > 선불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신주의 무문관 - [주인공으로 살아가기 28~30회]건봉일로,대통지승,조주감파 (0) | 2022.09.09 |
---|---|
강신주의 무문관 - [주인공으로 살아가기 25~27회]종성칠조,적도정병,호자무수 (0) | 2022.08.19 |
강신주의 무문관 - [주인공으로 살아가기 19~21회]타시아수, 수산죽비,주감암주 (0) | 2022.07.08 |
강신주의 무문관 - 23칙 불사선악(不思善惡) : 선과 악에 대한 집착을 버려내라 [주인공으로 살아가기 18회] (0) | 2022.07.02 |
강신주의 무문관 - 2칙 백장야호(百丈野狐) : 인과에 대한 집착마저 버려야한다! [주인공으로 살아가기 17회] (0) | 2022.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