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철학·종교(당신의 덕분입니다)(494)
-
[선으로 읽는 복음] 걱정 말아요, 그대
[선으로 읽는 복음] 걱정 말아요, 그대 "그러므로 나는 분명히 말한다. 너희는 무엇을 먹고 마시며 살아갈까, 또 몸에는 무엇을 걸칠까 하고 걱정하지 말아라. 목숨이 음식보다 소중하지 않느냐? 또 몸이 옷보다 소중하지 않느냐? 공중의 새들을 보아라. 그것들은 씨를 뿌리거나 거두거나 ..
2016.10.02 -
[선으로 읽는 복음] 빛과 소금
[선으로 읽는 복음] 빛과 소금 “너희는 세상의 소금이다. 만일 소금이 짠 맛을 잃으면 무엇으로 다시 짜게 만들겠느냐? 그런 소금은 아무데도 쓸 데 없어 밖에 내버려 사람들에게 짓밟힐 따름이다. 너희는 세상의 빛이다. 산 위에 있는 마을은 드러나게 마련이다. 등불을 켜서 됫박으로 ..
2016.09.25 -
우리의 문화 홍산문화
우리의 문화 홍산문화 우하량에서는 지금으로부터 5500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적석총[塚], 신묘[廟], 대형 원형제단[壇]을 모두 갖춘 동북아 최고最古 문명이 발굴되었다. 이것은 5,500년 전에 이미 종교를 중심으로 제정일치(祭政一致)의 국가조직을 갖춘 상고문명이 존재했다는 것을 ..
2016.09.11 -
종심소욕불유구 (從心所慾不踰矩)
《종심소욕불유구》 (從心所慾不踰矩) -공자의 일화,인문학강의- 공자가 천하를 주유할 때 채나라 국경을 지나다가 뽕을 따는 두 여인을 보았는데 동쪽에서 뽕 따는 여인은 얼굴이 구슬처럼 예뻤고, 서쪽에서 뽕 따는 여인은 곰보처럼 얽었다. 공자가 농을 하기를 “동지박 서지박" (東枝..
2016.03.27 -
지혜를 얻는 3가지 방법
지혜를 얻는 3가지 방법 3가지 방법으로 지혜를 얻을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명상을 하는 것이다. 이것은 아주 고상한 방법이다. 두 번째 방법은 모방을 하는 것이다. 이것은 가장 쉬운 방법이나 덜 만족스러운 방법이다. 세 번째 방법은 경험을 하는 것이다. 이것은 가장 어려운 방법이..
2016.01.24 -
분수에 맞는 삶을 살자
◆분수에 맞는 삶을 살자 공자가 주역을 만난 것은 50세에 이르러서였다. 그동안 공자는 세상의 수많은 것을 이미 터득했지만 천지의 이치를 찾으며 그 근원이 무엇인지를 끊임없이 알고자 했다. 그래서 그는 삶에 대해서 이렇게 말했다. "아침에 도를 깨달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朝聞..
2016.01.09 -
道 / 龍華화상
道 / 龍華화상 深念門前樹 심념문전수 문앞의 한그루 나무를 바라보니 能念鳥泊棲 능념조박서 새들이 쉬어가게 하며 來者無心喚 래자무심환 오는자 무심히 맞아주고 去者不慕歸 거자불모귀 가는자 돌아오기를 바라지 않는다 若人心似樹 약인심사수 사람이 이 나무와 같다면 與道不相..
2015.07.04 -
도가 그대를 닦아 주리니/노자
도가 그대를 닦아 주리니/노자 그대는 가는 곳마다 막히고 이르는 곳마다 묶이니 가련한 일이로다. 그대를 가로막는 장애물은 어디 있는가. 그대를 묶는 사슬은 어디 있는가. 장애물과 사슬을 물리칠 힘이 없으면 차라리 한꺼번에 놓아버리게. 장애물과 사슬은 그대의 마음 작용일 뿐, 그..
2015.04.25 -
정감록에 나타난 10승지 이야기
'죽기전에 가봐야 할 은신처' 정감록이 예언한 십승지 마을 노스트라다무 노스트라다무스의 예언서처럼, 우리나라에도 조선시대 이래 민간에 널리 유포되어 내려온 대표적인 예언 서로 '정감록'이 있다. 이 예언서는 이(異本)이 40~60권에 이를 정도로 많은 것이 특징인데, 저자나 성립시..
2015.02.09 -
퇴계 성학십도
성학십도(聖學十圖) 1. 태극도 - 우주의 원리를 이해하라 2. 서명도 - 천지 만물과 하나가 되어라 3. 소학도 - 일상적인 일에 충실하라 4. 대학도 - 수신으로부터 시작하라 5. 백록동규도 - 인간이 되는 학문을 하라 6. 심통성정도 - 마음을 바르게 해라 7. 인설도 - 인을 본체로 삼아라 8. 심학도 ..
2015.02.01 -
화성의 물과 시공관(時空觀)
화성의 물과 시공관(時空觀) 화성탐사 로봇 피닉스에 의하여 화성에 물이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물이란 무엇인가? 동양사상에서는 1이라는 숫자로 표현한다. 물은 오행 중에 제일 첫 번째 자리를 차지한다. 이를 역경(易經)에서는 '천일생수(天一生水) 지육성지(地六成之)'라고 표현..
2014.11.29 -
진리에 이르는 문(門)/도덕경
6장 ― 진리에 이르는 문(門) 谷神不死, 是謂玄牝. 玄牝之門, 是謂天地根. 綿綿若存, 用之不勤. 谷―골 곡, 牝―암컷 빈, 골짜기 빈, 綿―연이을 면, 솜 면, 얽힐 면, 若―같을 약, 만약 약, 반야 야, 勤―수고로울 근, 부지런할 근 곡신(谷神)은 죽지 않으니, 이를 일컬어 현묘(玄妙)한 암컷이..
2014.10.28 -
노자 도덕경 74장 총알받이 순교자 하수인들
제 74장 총알받이 순교자 하수인들 民不畏死 奈何以死懼之 若使民常畏死而爲奇者 민불외사 내하이사구지 약사민상외사이위기자 吾得執而殺之 孰敢 常有司殺者殺 夫代司殺者殺 오득집이살지 숙감 상유사살자살 부대사살자살 是謂代大匠斲 夫代大匠斲者 希有不傷其手矣 시위대..
2014.10.14 -
비어 있음으로 쓰임이 있다 / 老子
비어 있음으로 쓰임이 있다 / 老子 三十輻共一곡. 當其無, 有車之用. 삼십폭공일곡. 당기무, 유차지용. 埴以爲器. 當其無, 有器之用. 식이위기. 당기무, 유기지용. 鑿戶爽以爲室. 當其無, 有室之用. 故有之以爲利. 無之以爲用. 착호상이위실. 당기무, 유실지용. 고유지이위이. 무지이위용. ..
2014.08.13 -
최고의 선은 물과 같다
최고의 선은 물과 같다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에 상선약수(上善若水)라는 말이 있다. ‘최고의 선(善)은 물과 같다’는 의미의 상선약수는 자연과 인생의 순리를 말해준다. - 물은 모든 것들에게 이로움을 준다. - 물은 앞서 가려 서로 다투지 않는다.(流水不爭先) - 물은 낮은 곳으로..
2012.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