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불교교리·용례(1812)
-
마음(心) -모두 마음의 일이다
마음 어리석음이든 깨달음이든 모두 마음의 일이다. 마음 스스로가 마음 스스로를 깨달으니 마음이 곧 부처이다. 마음 스스로가 마음 스스로를 깨닫지 못하면 마음은 중생이다. 그러므로 중생의 마음이 부처의 마음이고, 부처의 마음이 중생의 마음이다. 중생이 깨달으면 부처이고, 부처..
2012.11.02 -
탐욕심이 멸하면 함께 나누게된다.
탐욕심이 멸하면 함께 나누게된다. 불자님들 계절은 어김없이 변화하여 갑니다. 이렇게 변화하는 것을 무상(無常)이라합니다. ◇ 오늘아침 어느 여성불자님 전화를 받았습니다. " 스님, 저는 왜 이렇게 사는게 힘이 들까요? 왜 하는 일마다 막힘이 많을까요?" " 불자님 요즈음 무슨 어려운 ..
2012.10.26 -
인간(人間)과 종교(宗敎)
인간과 종교 어제는 종일 가을비가 내리더니 오늘은 쾌청한 하늘에 소슬바람과 함께 단풍이 무르익고 석류가 익어가는 전형적인 가을날씨다. 봄은 새싹을 움트게 하고 대지에 활력을 주지만 가을은 소슬바람과 함께 어딘지 모르게 무언가 알 수 없는 외로움을 느끼게 하고 인간이란 존..
2012.10.26 -
참 앎은 앎이 없다 / 현정선원 대우거사님
<문> 심기일전하여 제 나름대로 '이뭐꼬?' 화두를 잡아 참구중입니다. 참구랄것 까지는 없지만 와 닿는바가 있어 '이뭐꼬?' 화두를 잡아 의심하고 또 의심하는 중입니다. '이뭐꼬? 하고 묻는 이것은 뭐꼬?'라며 허공에 못질하는 기분으로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지족(知足)이 점(點)이라..
2012.10.26 -
초발심에 관하여
화엄경의 초발심 공덕품 - 화엄경의 '초발심공덕품'에서는 처음 발심하는 공덕이 얼마나 수승한가에 대해 자세히 서술하고 있다. 이 경의 내용은 제석천왕이 법혜(法慧)보살에게 초발심의 공덕에 대하여 묻는다. 이에 대해 법혜보살이 다음과 같이 답한다. "초발심의 공덕은 설하기 어렵..
2012.10.26 -
깨달음은 의식의 대 전환이 일어나는 것
[깨달음은 의식의 대 전환이 일어나는 것-뇌과학적으론, 뇌의 연결 회로가 바뀌는 것] 깨달음은 일종의 의식의 대 전환이 일어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때까지 이뤄지던 사고 체계, 세상을 보는 방식 등이 완전히 달라지는 것입니다. 이것은 다시, 뇌 구조의 일대 변환을 의미하기..
2012.10.26 -
용수의 공과 부처님의 공, 용수의 중도와 부처님의 중도는 어떻게 같고 다른가?
용수의 공과 부처님의 공, 용수의 중도와 부처님의 중도는 어떻게 같고 다른가? 라는 글은 맨 아래 있습니다. 맨 아래 글을 먼저 읽은 다음 위에서부터 읽는 것이 이해하기 편할 것입니다. 이 글을 읽은 다음부터는 대승불교의 실체에 대한 명백한 이해를 얻고, 진정한 불교를 공부하는 것..
2012.10.19 -
마음을 활짝 열어라.
마음을 활짝 열어라. 우리는 쉽게 오픈마인드라는 말을 듣곤 한다. 마음을 닫지 말고 활짝 열라고 한다. 그러면, 마음을 닫지 말고 활짝 열라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 마음을 여는 것이 마음공부에 어떤 작용을 하는지 살펴보자. 문을 닫으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아무것도 문 안으로 들어 ..
2012.10.19 -
죽음 그뒤 냉각되어지는 별로 어디로 환생하는가?
경에 이런 귀절이 있습니다. 정성안승천頂聖眼昇天 인심아귀복人心餓鬼腹 방생슬개리滂生膝蓋離 지옥족저출地獄足底出 이 게송의 뜻을 풀이 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사람이 죽은 후 신체 중에서 최후에 냉각되는 부위로 그가 어디에 왕생했는지를 알수 있는데, 죽은 사람은 발바닥..
2012.10.19 -
여여(如如)'란 무엇입니까? / 칠통 조규일
'여여(如如)'란 무엇입니까? / 칠통 조규일 한 가지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제가 무교이기 때문에 법당이나 절에 가서 스님들의 법문을 들어보지는 못하였습니다. 그래서 주로 깨달았다(得道)고 하시는 분들의 책을 많이 읽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읽으면 좋은 말씀을 들을 수 있어 좋습니..
2012.10.12 -
옴마니 반메훔 / 달라이 라마
달라이 라마 특별 법문 번역 -美 불교 센터 옴마니 반메훔 / 달라이 라마 이 진언, 옴마니반메훔을 외우는 것은 매우 좋다. 그러나 진언을 외우는 동안 그 뜻을 생각해야만 한다. 이 육자의 뜻은 매우 크고 넓기 때문이다. 처음 옴(Om)은 세자 AㆍUㆍM으로 되어 있다. 이들 글자는 수행자의 부..
2012.10.12 -
인과법과 연기법
인과법(因果法) 부처님께서는 이 법칙을 깨닫게 된 것입니다. 즉 모든 결과는 원인이 있는 것이고, 원인은 반드시 결과를 가져온다는 인과의 법칙입니다. 인과의 법칙은 삼척동자도 다 알 수 있는 너무나 당연한 법칙임에 틀림이 없습니다. 그래서 어떤 사람은 여기에 깨달을 무엇이 더 ..
2012.10.05 -
수계(受戒)는 왜 해야하는가?
수계(受戒)를 왜 해야하는가? 불자님들~ 청명한 가을 하늘은 더욱 푸르기만 합니다. 이 좋은 계절 그래서 오늘은 수계의 의미와 뜻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니다. [열반경]에 이르기를 "계(계)는 온갖 선법(善法)으로 올라가는 계단이요, 온갖 선법이 생겨나는 근본이니 땅에 온갖 수목이 생겨..
2012.10.05 -
불교에서 말하는 法(법)이란?
불교에서 말하는 法(법)이란? 불교에서 이야기하는 법 즉, 진리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일까요.? 불교에서 쓰는 법이란 말은 인도의 옛말 다르마를 한자로 번역 한 것으로, 소리나는 대로 옮길 때는 달마(達磨)라고 합니다. 이 말은 본래 유지하는 것, 인간의 행위를 지키는 것 정도의 의 미..
2012.09.29 -
무아(無我)의 이유 / 청화 스님
무아(無我)의 이유 / 청화 스님 금강경에 '통달무아법자 진시보살(通達無我法者 眞是菩薩)이라, 무아법에 통달한 사람이 진실로 보살이라' 하였습니다. 내가 없다 하는 무아법(無我法)에 통달하여야만 참다운 보살이라는 뜻입니다. 저번에도 말씀했습니다마는, 우리 범부와 성자와의 차..
2012.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