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불교교리·용례(1812)
-
경계에 마음이 충렁거려 괴롭습니다/현정선원
< 질문 > 1 여전히 보이고 들리는 것에 마음이 출렁거려 괴롭습니다. < 답변 > '괴로운 것'과 '괴롭지 않은 것'이 전혀 다른 것이 아니오. 이 세상이 인연 따라 수도 없이 바뀌지 않소? 쓰나미가 오고 허리케인이 와서 온 세상을 휩쓸어가도, 그 겉모양이 인연따라 어떻게 바뀌건 간..
2012.04.13 -
단현의 신앙고백 / 출재가자가 반드시 읽어야 할 불자 필독서
1. 단현의 신앙고백 2. 출재가자가 반드시 읽어야 할 [부처님의 재가자를 위한 가르침을 모은 경전]과 [불자필독 서적] 단현의 신앙고백 어제는 불자모임광장 카페 단멸론자 뗏목님의 글에 "이 카페가 단멸론을 주장하려면 카페 문을 닫으시라"고 썼더니 두 말 없이 준회원으로 강등시켜버..
2012.04.13 -
사선근(四善根) /청화큰스님
사선근(四善根) 청화큰스님 사선근(四善根):난법(煖法), 정법(頂法), 인법(忍法), 세제일법(世第一法) 1. 난법(煖法):명득정(明得定) 2. 정법(頂法):명증정(明增定) 3. 인법(忍法):인순정(印順定) 4. 세제일법(世第一法):무간정(無間定) 구사론(俱舍論), 유식론(唯識論) ※사선근(四善根)..
2012.04.06 -
벽돌 두 장 ! 누가 쓴 대본인가?
“벽돌 두 장 !” 누가 쓴 대본인가? 불자여러분 새로운 달이 또 시작 되었습니다. 그런데 오늘도 세상살이가 너무 힘들고 어렵다고 신세한탄을 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한마디로 고통 속에서 하루하루를 사는 것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 고통에 대하여 이야기 하고자 합니다. 부처님께..
2012.04.06 -
무량대복(無量大福) - 복짓는 일
무량대복(無量大福) - 복짓는 일 세상 사람들을 관찰해 보면 늘 복을 지으며 사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늘상 복을 까먹으며 사는 사람들이 있음을 봅니다. '복'이라는 것은 고정되어 정해진 실체가 없기에 복을 받을만한 그릇이 되는 이에게는 한량없는 무량대복(無量大福)으로 다가오지..
2012.04.06 -
대승 보살의 이념
대승 보살의 이념 “중생이 병들었으므로 나도 아프다” 대승불교(大乘佛敎)가 인류 정신문화사에 기여한 두 가지 이념은 보살(菩薩)사상과 공(空)사상이라 할 수 있다. 공사상이 대승불교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면 보살 사상은 대승불교가 종교로서 성공하게 된 원동력이 된 이념이었..
2012.03.30 -
정토사상(淨土思想)
정토사상(淨土思想) 인도에서 비롯된 대승불교는 그대로 중앙 아시아를 경유하여 중국, 한국, 일본에 제각기 다른 모습으로 정착하였으며, 그 가운데서 널리 신앙되어진 사상 조류의 하나가 바로 정토사상이다. 한국불교에서도 원효 이래로 신라에서 엄청난 영향력을 가지고 많은 사람..
2012.03.30 -
영속론이 왜 삿된 견해일까
“내가 바로 영원과 하나된다” 용화선원 송담스님의 불교방송 법문을 듣고 영속론이 왜 삿된 견해일까 일을 하면서 방송을 듣는다. 주로 집중을 필요로 하지 않는 단순작업을 할 때이다. 요즘 유행하는 ‘나꼼수’나 ‘이털남’과 같은 팝캐스트 방송을 들으면 재미도 있고 시간 가는 ..
2012.03.30 -
유식사상(唯識思想)이란?
유식사상(唯識思想)이란? 불교에 있어서 주요한 사상은 어디까지나 부처님께서 깨달으신 진리에 그 바탕을 두고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지만, 그것이 지향하는 바에 따라서는 불교를 "마음의 종교"라고 하거나 "발원(發願)하는 종교", "수행의 종교" 혹은 "지혜의 종교" 등으로 나눌 때도 ..
2012.03.30 -
불자의 올바른 생활
불자의 올바른 생활 1) 보시(布施) 보시(布施)는 재가 신도들이 절의 불사를 위해 자신의 돈이나 물품을 바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본래의 뜻은 절의 불사가 아니더라도 자신의 것을 어떤 조건이나 바람이 없이 다른 사람에게 베푸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보시법에는 보시의 종류에 따..
2012.03.24 -
불교의 세계관
불교의 세계관 불교에서는 세계를 관계의 존재라고 한다. 서로 의지하고 돕는 관계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이 세계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불교의 기본 세계관은 연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하나의 그물처럼 이루어져 있는 것이 세계요 삶인 만큼 따로따로 나뉘어져 있는 것은 처음부터 존재..
2012.03.24 -
함께 한 마음으로 돌아간다/달마혈맥론
선으로 읽는 <달마 혈맥론> 1 삼계(三界)가 뒤섞여 일어나지만, 함께 한 마음으로 돌아간다. 앞 부처와 뒷 부처가 마음을 가지고 마음에 전하고 문자(文字)를 세우지 않는다. 三界混起 同歸一心 前佛後佛 以心傳心 不立文字 삼계가 뒤섞여 일어나지만 함께 한 마음으로 돌아간다. 앞 ..
2012.03.16 -
보살의 이념과 실천 / 마성스님
보살의 이념과 실천 마성/ 동국대학교 겸임교수 1. 보살의 이념 대승불교는 보살의 불교입니다. 대승경전은 오직 보살의 이념과 실천에 대해 설하고 있다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닐 것입니다. 보살이란 산스크리트어 ‘보디삿뜨와(bodhisattva)’를 한자로 음사한 ‘보리살타(菩提薩陀)’의 줄..
2012.03.16 -
정토사상(淨土思想)의 이해
정토사상의 이해 정토사상의 핵심사상 연구(강 동 균) 목 차 Ⅰ. 정토사상의 한국적 위상 Ⅱ. 정토사상의 내용 1. 정토사상이란 무엇인가 2. 정토사상의 所依經典 Ⅲ. 정토사상의 두 가지 흐름 Ⅳ. 정토의 세계 Ⅴ. 본원진실의 세계 정토사상의 핵심사상 연구 Ⅰ. 정토사상의 한국적 위상 한..
2012.03.16 -
우리도 성취할 수 있다/뿍꾸삿띠와 부처님의 하룻밤 에피소드
“우리도 성취할 수 있다” 뿍꾸삿띠(Pukkusatti)와 부처님의 하룻밤 에피소드 나라마다 다른 부처님 얼굴 부처님이 출현하신 이래 전세계적으로 부처님만큼 만큼 많이 알려 진 분이 있을까. 예수나 공자, 소크라테스가 아무리 유명하다고 해도 부처님처럼 떠 받들어지고 경배의 대상이 되..
2012.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