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불교교리·용례(1812)
-
오분향 염송(五分香 念誦)
(법사) 오라, 불자여, 깨달음은 모름지기 자성으로부터 일어나 일체시에 스스로 생각 생각 그 마음을 조촐히 하고 스스로 닦고 스스로 행하여 자기 법신을 보며 자기 마음 부처를 보아 스스로 제도하고 스스로 경계하여야 비로소 얻는 것이니 밖을 향하여 구하지 말지니라. 거룩한 삼보전..
2012.03.10 -
연기설의 십종교판(十種敎判)
연기는 서로 의지하여 생기는 상의성 (相依性)이므로 유력과 무력이 서로 의지 하지 아니하고는 한 쪽으로 치우치면 원륭무애가 성립되지 못한다. 하나가 유력이고 여럿이 무력일때 하나가 여럿을 포섭하고 여럿이 하나에 들어가지만 만약 여럿이 또한 유력이면 서로 버티어 한합이 안..
2012.03.10 -
모든 법이 이미 공(空)하다면 누가 도를 닦습니까?
모든 법이 이미 공(空)하다면 누가 도를 닦습니까? 누구라는 것이 있으면 모름지기 도를 닦아야 하고, 만일 누구라는 것이 없다면 곧 도를 닦을 필요가 없다. 누구란 역시 나(我)이니, 만일 아(我)가 없다면 대상(物:경계)을 만나더라도 시비가 생기지 않을 것이다. 시(是: 옳다)란 나 스스로..
2012.03.03 -
부처의 품성에 저절로 물들게 하려면?
부처의 품성에 저절로 물들게 하려면? 불자님들 오늘은 부처님 출가일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출가란 무엇인가에 대해서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 부처님이 라자가하 죽림정사에 계실 때의 일입니다. 그 무렵 앵무라는 바라문이 볼 일이 있어 어느 거사 집에 머물고 있었습니다. 바라문은..
2012.03.03 -
불교는 마음의 실천 철학
불교는 마음의 실천 철학 '난사람'이 아닌 '된사람' 되기 인류의 가장 큰 스승중의 한 분이신 부처님은 무지무명에서 헤매는 인류 중생들에게 해탈의 길을 열어 주셨습니다. 스스로를 '길을 가르치는 사람'이라고 말씀하신 부처님은 인간이면 누구나 '부처 그 자체'임을 가르쳐주기 위해..
2012.03.03 -
대원경(大圓鏡) 안에는 서로 다른 법이 없다
< 질문 > 아직 깨닫지 못했다는 생각 때문에 늘 불안합니다. < 답변 > 몸에 배인 '각설이 근성' 때문이오. 모든 중생이 그 무엇 하나도 아쉬울 것 없는 부자요, 황제 같은 존재라는 사실을 믿지 않는 것뿐이오. 자기 집안 창고에 온 세상사람 다 먹이고도 남을, 영원히 줄지 않는 보..
2012.03.03 -
집제(集諦)/청화스님
2.집제(集諦)/청화스님 집제(集諦)란 탐(貪).진(嗔).치(痴)등의 번뇌(煩惱)와 선악(善惡)의 제업(諸업)으로서 차이(此二)가 능(能)히 삼계육취(三界六趣)의 고보(苦報)를 집기(集起) 함으로 미(迷)의 인(因)이다. 번뇌라는 것은 무량무수의 번뇌이지만, 간추리면 탐심(貪心).진심(瞋心).치심(癡..
2012.02.27 -
이승 권교(二乘 權敎)는 당나귀해가 와도 가망이 없다
二乘 權敎는 당나귀해가 와도 가망이 없다 < 질문 > 이렇게 해도 틀리고 이렇게 하지 않아도 틀린다고 하시니 이해할 수가 없습니다. < 답변 > 옛 성인들이 말씀하시기를, 우선 '소경인 범부'는 생사에 끄달리지 말라고 했소. 실제로는 생사하는 일이 없는데 모든 경계를 실제로 보..
2012.02.27 -
구도(求道)와 덕(德)
구도(求道)와 덕(德) 비워야 함이 구도이다 구도는 옛사람의 어록을 빌어 오염된 나의 관념을 세척함이다. 사랑과 자비 진실과 선 지식과 명예, 권력과 금력의 유혹 구차한 염원마저 놓아버린 것을 말한다. 육신과 정신 속에 담겨 있는 나라고 주장하는 앞선 생각 전체를 깨끗이 비..
2012.02.17 -
사성제 중 고제(苦諦)/청화스님
1,고제(苦諦) 고제(苦諦)란 삼계(三界) 육취(六趣)의 고보(苦報)니 미(迷)의 과(果)요. 나아갈 취(趣)자. 육취(六趣)나 육도(六道)나 똑같은 것입니다. 삼계육도, 삼계육취의 고보(苦報)란. 고의 과보(果報)를 결과로 받는. 하나의 보답으로서 받는 미혹(迷惑)의 과보란 말입니다. 진리..
2012.02.17 -
지금은 무신론시대, ‘불교 르네상스시대’에 주류불교(Main stream Buddhism)는
지금은 무신론시대, ‘불교 르네상스시대’에 주류불교(Main stream Buddhism)는 종종 댓글에서 중요한 정보를 얻는다. 본문에서 문제를 제기한 것에 대한 일종의 답이라고도 볼 수 있는데, 인터넷 뉴스에 실린 댓글을 보면 민심의 흐름을 어느 정도 알 수 있다. 이런 댓글이 비록 편향..
2012.02.10 -
무아윤회(無我輪廻)와 일념윤회(一念輪廻)
무아윤회(無我輪廻)와 일념윤회(一念輪廻) 사람의 모든 행위는 몸이나 입으로 지은 육체적인 것이든 생각으로 지은 정신적인 것이든 어떤 원인이 되어서 과보를 만든다는 것, 선인(善因)은 선과(善果)를 맺고 악인(惡因)은 악 과(惡果)를 맺는다는 것 등이 윤회사상의 기본이다. 여..
2012.02.03 -
부처님 가르침으로 안심, 부처 되는 것이 생명의 참된 의미
부처님 가르침으로 안심, 부처 되는 것이 생명의 참된 의미 청화큰스님 우리 한국인에게나 미국인에게나 누구한테나 제일 좋은 선물이 무엇인가. 그것은 부처님 가르침입니다. 제가 승려라 해서 아전인수격으로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저는 명예도 필요 없고, 아무 것도 필요 없..
2012.02.03 -
유식삼성(唯識三性)/청화큰스님
유식삼성(唯識三性) 청화큰스님 1.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정유리무(情有理無)…실무망유(實無妄有)…유(有) 2. 의타기성(依他起性)…여환가유(如幻假有)…공(空) 3. 원성실성(圓成實性)…정무리유(情無理有)…실유망무(實有妄無)…중도(中道) 그 다음 법문은 ‘유식삼성(唯識三..
2012.02.03 -
입조심 행동조심 생각조심 세가지만 챙기면
입조심 행동조심 생각조심 세가지만 챙기면 작은 불씨 하나로 오백석의 마른 풀을 태워 버리듯 화를 냄은 수행자가 오랫동안 노력하여 쌓은 공덕을 일시에 깨뜨리는 요소 가운데 가장 해로운 것이라 부처님은 누누이 설하십니다 이는 다만 수행자에만 해당되는 것은 아니고 일반..
2012.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