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불교교리·용례(1812)
-
불교에서 말하는 소통은 무엇인가
불교에서 말하는 소통은 무엇인가 “처음도 좋고 중간도 끝도 좋을 法 설하라” 대화·토론으로 수행정신 함양…공동체 구현해야 소통(疏通)은 철학ㆍ사회학 용어다. 하지만 의미를 따져보면 아주 간단하다. 사전적 의미는 ‘막히지 아니하고 잘 통함’, ‘뜻이 서로 통하여 오해가 없음’이다. 차량..
2010.06.29 -
불교와 허무주의 /월호스님
불교와 허무주의 대승적 '발원'으로 삶의 에너지 전환 ‘불교는 염세적 허무주의’ 오해 수행 통해 역동적인 삶 갈무리 여러 해 전에 유럽의 벨기에로부터 오신 분들과 함께 우리나라 절을 돌아볼 기회가 있었다. 해인사나 운문사를 비롯해 여러 대표적 사찰에서 예불과 숙식을 함께 하면서, 그들은 ..
2010.06.28 -
불교와 제사 / 월호스님
불교와 제사 죽은 이보다는 ‘산 사람’ 공부하는 기회 조상 공덕 기리는 본래 의의는 자신의 삶 돌이켜 다스리는 것 설날에 즈음해서 어떤 분이 제사에 관해 질문을 했다. 사람이 죽으면 환생을 한다고 한다. 그렇다면 영혼이 이미 어딘가에 가셨을 텐데, 현세에서 제사를 지내는 의미가 무엇인가. 또..
2010.06.28 -
습관을 고치면 복을 받는다
습관을 고치면 복을 받는다 행동과 언어를 일치 하라. 허물과 습관을 억제하라. 좋은 습관은 기르고 나쁜습관은 버려라. 나이가 들수록 고질화 되는 습관. 게으르고 나쁜 습관은 꼭 고쳐야 한다. 고치지 않은면 후생으로 가져가게 된다. 남이 보지 않는다고 함부로 하는 버릇은 나쁜 습관이 된다. 혼자 ..
2010.06.28 -
전생을 알고져 하십니까???
사람이 태어나서 행한 업(業)대로 저 세상에서 태어나고 또 살다 죽고 .. 또~ 나고 죽고................. 김명구:사시팔경도 신윤복:연당야유도 한자풀이 **욕화전생사:전생의 일을 알려고 하는가?? **금생수자시:지금 내가받고있는 바로 그것이니라. **욕화래생사:후생의 일을 알려고 하는가???? **금생작자시..
2010.06.27 -
진심직설眞心直說
만약 사람으로서 마음이 없으면 곧 초목과 같을진대, 청컨데 방편을 베풀어 무심(無心)이란 말을 설명해 주십시오. 지금 말한 무심이란.. 마음 자체가 없어서 무심이라 한 것이 아니라, 다만 마음 가운데 아무 것도 없음(但心中無物)을 이름하여 무심이라 한 것이다. 마치 빈 병이라 할 때 병 속에 아무 ..
2010.06.27 -
청정수행록(淸淨修行錄)/만공선사
청정수행록(淸淨修行錄)/만공선사 사람에게 세 가지 몸이 있으니, 첫째는 법신(法身)이요 둘째는 업신(業身)이요, 셋째는 육신(肉身)이로다. 법신은 곧 불신(佛身)이요, 업신은 곧 귀신(鬼神)이요, 육신은 곧 사람의 색신(色身)이로다. 색신 가운데 업신과 법신이 구족하여 서로 여의지 않건마는 중생의 ..
2010.06.25 -
당신은 향기나는 사람입니까/월운스님
“당신은 향기나는 사람입니까” 월운 스님 오늘 여기 모이신 분들께 ‘불교를 믿는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말씀드릴까 합니다. 옛 경전에 따르면 부처님께서는 태어나자마자 동서남북 사방으로 일곱 걸음을 걷고 나서 한 손은 하늘을 가리키고, 한 손은 땅을 가리키며 천상천하 유아독존(天上天..
2010.06.25 -
너그러울 땐 법계를 덮지만 좁아지면 바늘 끝도 용납 않네
" 너그러울 땐 법계를 덮지만 좁아지면 바늘 끝도 용납 않네 " 故經云 惡業卽得苦報 善業有善報 不但嗔墮地獄 喜卽生天 若知嗔喜性空 但不執 卽業脫 若不見性 講經決無憑 說亦無盡 略標邪正如是 不及一一也 경에 말하기를 ‘악업은 곧 괴로운 과보를 받고 선업은 곧 좋은 과보를 받는다’ 하였으니, ..
2010.06.24 -
교리가 무슨 쓸모인가/달마
교리가 무슨 쓸모인가?/달마 만약 그대가 수천 가지 경전을 다 설명할 수 있다 해도 자신의 본성을 보지 못하는 한 그대의 설명은 중생의 가르침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그것은 부처의 가르침이 아니다. 진정한 도는 너무나 위대해서 말로 표현할 수 없다. 그러니 경전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한 구절..
2010.06.23 -
진정 복 받으려면 밖에서 찾지 말라
진정 복 받으려면 밖에서 찾지 말라 불교의 복(福)은 스스로 짓고 스스로 받는 것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매년 정초가 되면 덕담을 주고받게 된다. 그런데 진정 복을 많이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관련된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다. 이른 바 〈천축국으로 복 받으러 떠난 총각〉이다. 홀어머니를..
2010.06.22 -
물처럼 사노라면 후회없으리
물처럼 사노라면 후회없으리 하루는 사업을 하다가 실패한 거사가 극락암으로 경봉스님을 찾아와 땅이 꺼져라 한숨을 내쉬며 말했다. "죽고만 싶은 심정입니다, 스님." "이런 못난 사람! 그동안 절에도 부지런히 다니기에 그만큼 절밥을 먹었으면 지혜로운 안목을 지녔을 줄 알았더니만 절밥을 헛먹었..
2010.06.22 -
인생의 빚은 어떻게 갚는가/장무스님
인생의 빚은 어떻게 갚는가 정무 스님 오늘은 근본적으로 인생이 무엇인지, 우리는 왜 이 세상을 왔다 갔다 하는지부터 짚고 넘어 갑시다. 인생 바로 나 자신, 이것이 뭐냐? 경상도 사투리로, ‘이 뭣고?’입니다. ‘팔만대장경 다 제쳐 놓고 한 말씀 이르시오?’ 이것이 화두입니다. 대답이 있을 때까..
2010.06.21 -
자비의 무기를 가지고 가라 / 법상스님
자자비의 무기를 가지고 가라 법상 스님 이 몸은 허무하여 질그릇처럼 깨어지기 쉽나니 마음을 튼튼한 성곽처럼 굳게 지키고 다스리라. 이렇듯 지혜로써 악마를 잘 조복시킨 자는 그 무엇에도 집착함이 없이 정진의 길을 간다. - 법구경 - 오백 여 명의 비구들이 부처님께 수행의 법문을 듣고 안거를 ..
2010.06.21 -
불교의 생사관(生死觀) /탄허스님
●불교의 생사관(生死觀) /탄허스님● 이 세상에 사람으로 태어난 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두말 할 것도 없이 삶과 죽음일 것이다. 즉 생사(生死) 문제야말로 그 무엇보다 앞선 궁극적인, 그리고 이 세상에서 몸을 담고 살아가고 있는 동안 기필코 풀어내야 할 중요한 문제이다. 이 ..
2010.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