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불교교리·용례(1812)
-
108배-생로병사의 비밀 0.2평의 기적
- 모든 생명을 지극히 내 안에 모시고 살림의 장을 확산해 나가는 생명과 평화를 위해 108배를 올립니다 - 1. 나는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를 생각하며 첫 번째 절을 올립니다. 2. 이 세상에 태어나게 해 주신 부모님께 감사하며 두 번째 절을 올립니다. 3. 나는 누구인가?를 생각하며 세 번째 절을 올..
2010.03.26 -
업(業) /대승찬
업(業) 만약 업을 지어서 부처를 구하려 한다면 업은 바로 생사의 큰 조짐이다. 若欲作業求佛 業是生死大兆 약욕작업구불 업시생사대조 - 『대승찬』 보지공(寶誌公, 418~514) 화상의 대승찬(大乘讚)은 신심명에 비견되는 뛰어난 선시다. 그 견해와 안목이 출중하여 불조(佛祖)의 관문을 통과하고도 남음..
2010.03.25 -
주인공이란? - 주인공 자리에 맡기고 관하는 도리는
주인공이란? - 주인공 자리에 맡기고 관하는 도리는 말에는 한계가 있다. 우선 바로 알지 못하기가 쉽고, 설사 바로 안다고 해도 사물의 이치는 너무 세세하므로 다 설명 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말을 듣되 마음으로 들어야만 하는 것이다. -대행 큰스님 법어집 無 - 말로는 다 아는 듯 하여도 ..
2010.03.24 -
[환자 있는 집안에서 주의할 일들]
[질문]가족 중에 환자가 있는 경우, 어떻게 하면 좋습니까? -답변- [환자 있는 집안에서 주의할 일들] 오늘은 아픈 분이 있는 가정에서 그 가족들이 지켜야 할 일들을 한 번 생각해 봅니다. 무엇보다 가족들이 해야 할 일은, 생명 존중의 마음입니다. 살생은 일체 금물이며, 심지어 모기같은 미물도 아픈 ..
2010.03.23 -
법신(法身)/예장종경(豫章宗鏡)
법신(法身) 보신과 화신은 진실이 아니고 거짓된 인연이요, 법신은 청정해서 가없이 넓도다. 천강에 물이 있으니 천강에 달이 뜨고 만리에 구름이 없으니 만리가 하늘이더라. 報化非眞了妄緣 法身淸淨廣無邊 보화비진료망연 법신청정광무변 千江有水千江月 萬里無雲萬里天 천강유수천강월 만리무운..
2010.03.23 -
부처님의 명호
부처님은 어떤 분일까? 세 분의 부처님 계신 것 아니라 공덕상 따라 여러 명호로 불려 불자들에게 “‘부처님’하면 어떤 것이 떠오르냐?”고 물으면 2 500여 년 전에 인도에서 왕자의 몸으로 태어나 깨달음을 이루신 석가모니부처님을 떠올리는 분도 있고, 법당마다 모셔져 있는 등신불(等身佛)을 떠..
2010.03.22 -
<붓다와 함께 하는 초기불교산책 1>출간 안내
<붓다와 함께 하는 초기불교산책 1> 출간 안내드립니다. 출간일 2010년 03월 20일 320쪽 | 153*224mm ISBN-13 9788955965674 싯다르타의 출생부터 붓다 그리고 불교의 형성까지를 다루다 불교는 고타마 싯다르타, 즉 붓다가 걸은 길을 함께 걷는 사람들의 종교이다. 그렇다면 붓다는 어떤 사상을 펴고 어떤 삶을 ..
2010.03.21 -
봉암사결사의 핵심 정신은?
[결사]봉암사결사의 핵심 정신은?-스스로 타오르는 횃불!!! 해방되고 얼마 되지 않은 혼돈의 시대에, 성철큰스님을 비롯한 당대의 스승들은 ‘부처님처럼 살자’라는 각오로 봉암사 결사를 시도하셨습니다. 당시의 불안한 사회 정세로 불과 2년을 넘기지 못한 결사였지만, 봉암사 결사는 현대 한국 불..
2010.03.18 -
불교입문 1~3년차 불자 필독서 추천
불교입문 1~3년차 불자 필독서 추천 꽃능금이지요 우리 사유수 식물사진첩에 오시면 좋은 꽃들을 구경하실 수 있답니다. 불교입문 1∼3년차 필독 불서목록 불교입문 1∼3년차 필독 불서목록 불서읽기와 수행 병행으로 신심 굳건 불서 읽으며 신행생활 병행 불교 출판계 활성화 유도 한 몫 불서읽기 모..
2010.03.16 -
법정스님의 열반(涅槃)에 대하여~
법정스님의 열반(涅槃)에 대하여~ 아침부터 봄비가 내리고 있습니다. 지난주에는 이시대의 선각자이신 법정스님께서 입적에 드셨습니다. 무소유를 실천하신 큰스님께서 열반에 드신 것입니다. 스님의 큰 가르침을 가슴에 되새깁니다. 그래서 오늘은 열반(涅槃)에 대하여 경전의 말씀을 듣도록 하겠습..
2010.03.15 -
출가(出家)/법정
출가(出家)/법정 여행은 목적지에 도달하는 일이기보다 일상의 굴레에서 벗어나는 데 그 일차적인 의미가 있다. 가끔은 자기가 살던 곳을 떠나 볼 일이다. 떠나보면 내가 어떻게 살았는가를 객관적인 시각에서 볼 수 있다. 새삼스럽게 자기 존재의 무게를 헤아릴 수가 있다. 떠나는 것을 불교적인 용어..
2010.03.14 -
밥을 잘 먹어야 해탈한다
밥을 잘 먹어야 해탈한다 우리가 먹는 밥은 그저 단순히 식욕 해결의 수단이 아니다. 우리 마음을 담고 있는 그릇인 몸을 튼튼하게 지키고 가꿔나가 궁극에 이루고자 하는 바를 이룰 수 있게 하는 의미있는 물질이다. 그래서 밥이 좋아야 몸이 좋고, 몸이 좋아야 마음이 좋고, 마음이 좋아야 꿈을 이루..
2010.03.12 -
포교로 이어지는 장례문화
포교로 이어지는 장례문화 -'사업' 아닌 '포교'로 접근해야 - - 간병부터 장례 아우르는 봉사 활성화 시급 - 죽음에의 문제는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모두가 두려움을 갖고 있는 '중대한 문제'다. 하지만 불교에서 장례에 대한 인식은 아직 낮은 수준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장례문화에 관심을 ..
2010.03.10 -
세월의 강물은 쉬지 않고 흐른다.
세월의 강물은 쉬지 않고 흐른다. 세월은 시작도 끝도 없이 강물처럼 흘러가고 있다. 세상만사는 변화하고 인생은 무상하다. 황영조처럼 달리기를 잘해도 죽음을 피해서 숨을 곳도 없고, 수영선수 비온디처럼 헤엄쳐 물속으로 들어가도 소용이 없다. 세상을 움직이는 권세도 무용하며, 말 잘하는 변호..
2010.03.09 -
[사리의 비밀-사리는 어떻게 나오는가?]
[사리의 비밀-사리는 어떻게 나오는가?] 큰스님이 열반하실 때면 속세의 중생들은 사리를 기다립니다. 고승이 열반하셔서 안타깝기는 하지만, 과연 사리가 나올 것인가? 또 나오면 몇 개나 나오나? 하는 속물적인(?) 궁금증을 숨길 수는 없나 봅니다. 제자들은 제자대로 우리 스님이 사리가 안 나오면 ..
2010.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