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불교교리·용례(1812)
-
부처님이 갖추신 다섯가지 눈 五眼
부처님이 갖추신 다섯가지 눈 오안(五眼) : 육안(肉眼), 천안(天眼), 혜안(慧眼), 법안(法眼), 불안(佛眼)의 다섯가지 눈 ①육안(肉眼) : 오안(五眼)의 하나 중생으로 표현되는 인간의 육신에 갖추어져 있는 감각적 눈을 말한다. 육안은 사물의 형태나 빛깔을 구별하고 그것들을 어떤 한계안에서만 볼 수 ..
2010.02.09 -
임종 전과 잠들기 직전이 가장 중요하다
※임종 전과 잠들기 직전이 가장 중요하다 ①사람의 한 평생 가운데 제일 중요한 순간이 언제인가? 죽기 직전이 가장 중요하다. 죽기 직전에 어떤 마음을 품고 죽느냐에 따라 내생이 달라지는 것이다. 임종에 다다랐을 때 "내생에는 참선 정진하며 살아야지!" 하는 원력을 강하게 세우면, 그 다음 생까..
2010.02.08 -
부처님의 열가지 명호 ( 이름)
부처님 당시에는 부처님이라는 칭호가 없었다고 합니다. 당시에는, 위대한 스승님! 또는 스승님, 이라 불리셨다고 합니다. 헌데, 결집이 끝나고 세월이 흘러 대승불교사상이 활발해지면서 후대사람들이 석가세존께서 살아오신 발자취를 더듬다보니 당신의 살아오신 삶 속에서 저절로 이와 타당하고 ..
2010.02.07 -
참다운 신심이란 무엇인가?
信心, 믿는마음. 무엇을 믿을 것인가? 우리는 신심이 있다거나 없다거나, 신심이 깊어졌다거나 떨어졌다는 말을 종종 합니다. 그렇다면 신심은 무엇이며, 무엇을 믿는다는 것인가.? 믿음이란, 그 무엇인가를 결정적으로 그렇다고 여기는 말입니다. 이른바, 대승기신론소별기 제1권에 의하면, 이치가 실..
2010.02.07 -
공양게송에 대해서 말씀드립니다
절집에서 식사할 때 외우는 공양게송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공양게라는 게송은 공양할 때 외우는 짧은 글입니다. 공양은 이바지하여 기른다, 베풀어 기른다는 뜻이 있습니다. 베풀고 나누는 사람은 공덕을 기르고, 베품을 받는 사람은 음식이나 물품, 혹은 지혜의 가르침을 통해 몸과 마..
2010.02.05 -
항상 행복해지는 법
흔히들 문수보살님의 게송으로 익히 알고들 계시고 차를 마실 때 다포에 자주 써지는 구절입니다. 面上無嗔供養具, 口裡無嗔吐妙香, 면상무진공양구 구리무진토묘향이요, 心裡無嗔是珍寶, 無垢無染是眞常. 심리무진시진보 무구무염시진상이라. -균제동자 직역: 얼굴에 화가 없는 것이 그것이 공양이..
2010.02.04 -
차례(茶禮)지내는 법
차례(茶禮)지내는 법 추석과 설에 지내는 차례(茶禮)에 꼭 차(茶)를 올려야 한다. 차(茶)를 올리면서 드리는 예를 차례(茶禮)라고 하는 것이다. 중국, 한국의 유교(儒敎)와 불교(佛敎)의 자료를 참고하면 어느 종교나 마찬가지로 차(茶)를 많이 썼으며 차(茶)를 조상님과 부처님께 올리며 예를 드렸음을 ..
2010.02.04 -
수처작주입처개진이라 !참다운 삶의 경영
隨處作主 立處皆眞. “가는 곳 마다 주인이 되어라. 서 있는 곳이 모두 진리이다.” 이런 뜻입니다만, 사량 분별심 모두 놓고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참된 모습으로 살아가는 것을 말합니다. 이것이다 저것이다 다 놓고 양변을 여윈 중도의 길에서 본질을 보고 그대로 사는 모습을 말하는 것이니, 중..
2010.02.02 -
무심(無心)의 땅
<<무심(無心)의 땅 >> 불자님들~ 생활속의 부처님의 가르침을 어떻게 우리 생활에 적용할 것인가에 대하여 차분히 살펴보도록 합니다. [1] 로히니 강의 노래 우리 진정 행복하게 살아가자. 미움 속에서도 미워함이 없이 미운 사람 속에서도 미움 비우고 우리 진정 걸림 없이 살아가자. 우리 진정..
2010.02.02 -
진정한 출가(出家)란?|
중생 중생이 아침에 눈을 뜨고 동서남북을 아무리 바쁘게 움직이고 머리를 바쁘게 회전하고 전화통이 불이 난다한들, 이 모든 행위의 근본 목적은 어디에 있을까요? 제가 지금 드리는 말씀은 이렇게 바쁘게 살고계시는 그 자체에 점을 찍는게 아니라 이렇게 살아가는 우리 중생들의 근본의 존재이유..
2010.02.01 -
종소리 鐘聲
경주 - 에밀레 종(성덕대왕 신종) 에밀레 종소리(1964년 녹취) 종소리 능엄경에 아난과 세존과의 대화가 나온다. 종소리가 들려왔다. 세존께서 아난에게 묻는다. - 아난아! 이 종소리가 어디서 나느냐? 「종에서 납니다」 -아난아 ! 종을 치는 방망이가 없어도 저절로 종소리가 나겠느냐? 「제가 생각해보..
2010.01.31 -
무상(無常)의 도리와 복밭
21세기에 대한민국이라는 조그만 나라에서 태어난 우리는 핵을 앞세운 강대국들의 세력다툼과 무역을 앞세운 경제전쟁과 국내경제의 침체 등으로 시대를 공존하고 살아가는 우리는 혼란스럽습니다. 주변에 흔히 일어나는 가정의 해체와 늘어만 가는 이혼율, 충분히 의지만 있으면 이겨낼 수 있는 현..
2010.01.31 -
발원문(發願文)
발원문(發願文) ○ 발원문(發願文) 우주에 충만하사 아니 계신 곳 없으시고 영겁에 항상 하사 아니 계 신 때 없으시는 불보살님께 귀의하옵니다. 부처님이시여! 이제 마음 거두어 합장하오니 자비의 문을 열고 지혜의 단비를 뿌려 목마른 저희들 가슴에 보리의 푸른 싹이 돋게 하소서. 항상 욕심 많고 ..
2010.01.29 -
굿과 천도제의 차이 2
“제행이 무상이니 시생멸법이요, 생멸이 멸이하니 적멸위락이로구나.” “나무아미타불” 합장을 풀으시고, 이 세상에 생명이 있는 모든 것들은 사생으로 태어나 존재하게 되나 영원한 현상과 존재란 언젠가는 멸해져 사라지게 되는 존재와 현상이니 이를 무상이라하고, 무아라 하는 것입니다. (제..
2010.01.29 -
오탁악세에서 가정을 지키는 지혜로움
입양의 날은 2006년 5월 11일부터 처음 시작된 날입니다. 현대인들은 산업사회를 살아가면서 다양한 직업과 환경으로 가정은 어른이라는 구심점이 없이 핵가족화 되어가고 있고, 사람들에게는 개인주의가 확산되고, 경기침체로 생활 경제가 팍팍해지면서 가족이 해체되는 현상은 더욱 심각해지고 있습..
2010.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