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불교교리·용례(1812)
-
불교가 인도에서 왜 사라졌는가?
불교가 인도에서 왜 사라졌는가? -불교의 소멸과 자이나(Jaina)교의 생존- 김경철-델리대 불교학과 박사과정 (참고원전: 불교 역사연구(Studdies in History od Buddhism by A.K.Narain),The Decline of Buddhism in India by R.C. Mitra)) 수수께끼 같은 인도역사에 있어서 가장 풀기 힘든 수수께끼 중의 하나는 7세기에서 13세기 사..
2010.04.30 -
연기의 길을 따르는 자는 눈먼 자의 길을 따르는 자이다
제11장 연기의 길을 따르는 자는 눈먼 자의 길을 따르는 자이다 사성제(四聖諦)에 대한 무지를 무명(無明)이라 하며, 무명이란 구름에 시야가 가려진 자를 범부(凡夫)주해1)라고 한다. 범부에는 두 종류가 있는데, 바로 눈먼 자주해2)와 선한 자이다. 범부의 마음은 항상 들떠 있고 여기저기로 방황한다. ..
2010.04.29 -
연기의 수레바퀴를 이루는 것들을 분해하고 부수는 방법
제10장 연기의 수레바퀴를 이루는 것들을 분해하고 부수는 방법 수레바퀴를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수레의 한가운데에 바퀴살이 모인 중심부분인 바퀴통이 있다. 이것은 무명과 갈애를 상징한다. 네 개의 바퀴살주해1)이 있는데, 이것은 네 가지 종류의 태어남을 말한다. 첫째, 욕계 공덕행[欲德行] 둘째..
2010.04.28 -
근본 원인인 무명과 갈애로 인한 연기의 회전
제9장 근본 원인인 무명과 갈애로 인한 연기의 회전 이 장은 도표를 참조하면서 보기 바란다. 윤회의 전 과정에 걸쳐 끝도 없이 죽음을 거듭하게 하는 주범은 바로 무명과 갈애다. 도표를 보면 무명과 갈애가 정중앙에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무명은 사성제에 대한 무지이다. 갈애는 만나는 것들로부터 ..
2010.04.27 -
순관(順觀)으로 본 연기법
제8장 순관(順觀)으로 본 연기법 도표를 살펴보자. 이 도표는 오온의 진행과정에 맞춰 고 대장로 모곡 사야도께서 고안하여 그리신 것이다. 이는 연기가 바로 우리 자신의 오온이 쉼 없이 진행되는 과정이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전의 오온이 사라져 새로운 오온을 일으키는 과정인 연기는 바로 물질..
2010.04.26 -
위빠사나 수행을 하지 않을 때 연기의 윤회는 계속된다
제7장 위빠사나 수행을 하지 않을 때 연기의 윤회는 계속된다 연기는 계속 돌고 있다. 잠자는 시간(잠재의식주해1)이 지배적인)을 제외하고는 좋거나 싫은 대상을 대함에 있어, 때로는 탐욕[貪]으로, 때로는 성냄[嗔]으로, 때로는 어리석음[痴]으로 함께 연기는 돌고 있다. 연기가 이들 탐욕․성냄․어..
2010.04.25 -
만사 형통하는 도리/무불스님
만사 형통하는 도리/무불스님 깨달음,은 신비가 아니다. 깨달음 이란, 오해와 착각을 바로 아는 것이다. 과일을 손에 올려주어도, 먹어보지 않고는 그 맛을 설명 하기란 어렵다. 모든 일의 이치를 알고자 하는 가.........? 이치를 모르고, 이해 하기란 어렵다. 문제의 모든 본질을,... 볼줄 아는 혜안이 참..
2010.04.25 -
끝[老死]에서부터 보는 연기의 회전
제6장 끝[老死]에서부터 보는 연기의 회전 적(敵)이나 싫어하는 사람을 보았을 때 성냄과 분노가 일어난다. 얼굴을 맞대거나 말을 하면 더욱 화가 치솟는다. 목소리와 모습은 비열하게 느껴지고 참을 수가 없게 된다. 빨리어 경전에 다음과 같은 말이 있다. “성냄, 슬픔, 비탄, 근심, 고뇌가 일어난다. ..
2010.04.20 -
시작[無明]으로부터 보는 연기의 회전
제5장 시작[無明]으로부터 보는 연기의 회전 수행자는 알아차림이 부족하기 때문에 보이는 대상(현상)과 눈이라는 감각의 문[眼門]에서 생기는 일어남과 사라짐을 놓치게 된다.주해1) 이식․비식․설식․신식․의식의 경우에도 이와 마찬가지다. 이처럼 오온의 일어남과 사라짐을 지켜보고 알아차리..
2010.04.19 -
어떻게 연기의 고리가 느낌으로부터 회전을 시작하는가
제4장 어떻게 연기의 고리가 느낌으로부터 회전을 시작하는가 도표를 보기 바란다. 부분 2에서 식․명색․육입․촉․수의 다섯 가지를 볼 수가 있다. 감각기관과 감각대상 그리고 의식이 만날 때마다 접촉이 일어나고 이 접촉은 즐겁거나, 괴롭거나, 덤덤한 느낌주해1)을 일으킨다. 예를 들어 보자. 어..
2010.04.18 -
오온(五蘊)의 연기
제3장 오온(五蘊)의 연기 고 대장로 모곡 사야도께서는 수행자의 이익을 위해 오온의 연기에 대해서 설하셨다. 이는 수행을 시작하려는 자에게 실수행으로 가는 지름길이 될 것이다. 왜냐하면 연기법이 작용하고 있는 현재의 측면을 가르치기 때문이다. 즉, 오온의 연기를 통해 수행자는 오온의 시작..
2010.04.16 -
연기-부분, 연결, 요소와 시간
제2장 부분, 연결, 요소와 시간 이 장 전체에서는 도표를 참조하기 바란다. 1. 정중앙에 있는 무명과 갈애는 뿌리(근본 원인)로 불린다. 2. 두 가지의 성제인 집제와 고제가 있다. 연기는 굴레에 대한 논의이기 때문에 다른 두 가지의 성제인 도제와 멸제는 무명에 가려져 있다. 3. 네 가지의 부분들이 있..
2010.04.15 -
연기(緣起)란 무엇인가?
제1장 연기(緣起)란 무엇인가 연기(緣起)를 빨리어주해1)로 빠띠짜사무빠다(Paṭiccasamuppāda)라고 하는데, 이는 세 가지 단어의 합성어이다. 빠띠짜(Paṭicca)는 ‘~로 인하여’, ‘~을 원인으로 하여’이며, 삼(Sam)은 ‘잘(well)’을, 우빠다(Uppāda)는 ‘발생’이란 의미이다. 즉, 원인에 의존하여 결과가 일..
2010.04.14 -
유신견(有身見)
유신견(有身見) 음식을 먹을 때 몸은 스스로 선택하지 못한다. 몸은 어떤 것이나 그냥 받아들여서 소화를 시킬 뿐이다. 몸은 음식이 어떻다고 자각하지 못하고 들어오는 음식을 받아들이는 단순한 기능만 한다. 그래서 몸은 조건에 의해서 작용만 하는 물질이다. 몸은 있지만 이것이 나의 몸이 아니다...
2010.04.13 -
파계자들이 '개차법'악용해 변명삼아선 안돼
율은 시대 변화에 맞게 바꿔야…"不可" 계율수행대법회 논찬 지현스님ㆍ이자랑 동국대 강사 파계자들이 '개차법'악용해 변명삼아선 안돼…지현 스님(송광사 율원장) 지현 스님 : 오늘 법주인 종진 스님은 제가 출가하면서부터 늘 존경하던 스승으로 저를 가르쳐 주신 분입니다. 지금까지 저를 새롭게 ..
2010.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