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불교교리·용례(1812)
-
우리는 불교 허울쓴 물신교 신도/혜담스님
혜담스님, <방거사어록 강설> 통해 종단현실 비판 ▲ 혜담스님. "무슨 원장 무슨 의원으로 피선되기 위하여 손상좌 같은 스님들에게 돈 봉투를 내밀겠는가? 모두가 명예욕에 눈이 멀었기 때문이다." 조계종 호법부장을 역임하고, 지금은 경기도 검단산 각화사에서 정진하며 재심호계원 소임을 맡..
2010.03.08 -
복은 어디에서.. /법륜스님
복은 어디에서.. /법륜스님 흔히 말하길 좋은 부모를 만나면 부모 복이요 남편을 잘 만나면 남편 복이고 아내를 잘 만나면 처복이며, 자식을 잘 두면 자식 복이고 돈이 많으면 재복이며 천수를 누리게 되면 수복이라 한다. 그런데 이 복은 과연 어디서 오는 것인가 지어서 오는 것인가 아니면 운이 좋아..
2010.03.07 -
가피란, 번뇌의 소멸이다..
가피란, 번뇌의 소멸이다... 돈이 없다는생각의 소멸이고, 불행하다는 생각의 소멸이며, 안된다는 생각의 사라짐인데... 안되는 데는 이유가 있는 법... 지은 복이 없음이요, 헛된 욕심이 그것이요, 안되는 법만을 알고있기 때문인데... 복이 없다는 것을 내 마음이 먼저 알고, 헛되다는 것을 자기 마음이..
2010.03.07 -
보왕 삼매론 사경
보왕 삼매론 1. 몸에 병 없기를 바라지 말라. 몸에 병이 없으면 탐욕이 생기기 쉽나니, 병고로써 양약을 삼으라. 2. 세상살이에 곤란함이 없기를 바라지 말라. 곤란함이 없으면 업신여기는 마음과 사치한 마음이 생기나니, 근심과 곤란으로써 세상을 살아가라. 3. 공부하는데 있어서 마음에 장애가 없기를 바라지 말라. 마음에 장애가 없으면 배우는 것이 넘치게 되나니, 장애 속에서 해탈을 얻으라. 4. 수행하는데 있어서 마(魔)가 없기를 바라지 말라. 마가 없으면 서원이 굳건해지지 못하나니, 모든 마군을 수행의 벗으로 삼으라. 5. 일을 도모하되 쉽게 되기를 바라지 말라. 일이 쉽게 이루어지면 뜻이 경솔해지나니, 여러 겁을 겪어서 일을 성취하라. 6. 친구를 사귀되 내가 이롭기를 바라지 말라. 내가 이롭고자 하..
2010.03.07 -
정말로 윤회할까?
정말로 윤회할까? 사람들에게 불교를 생각할 때 제일 먼저 떠오르는 단어가 무엇이냐고 물으면 여러 대답을 하겠지만, 많은 이들이 윤회를 꼽는다. 영화 ‘리틀 붓다’나 ‘쿤둔’에 나오는 티벳 승왕 달라이 라마의 환생을 보면 더욱 큰 느낌을 갖게 된다. 때론 전생이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흥미있는..
2010.03.05 -
쏙이지 말그래이(不 欺 自 心)
不 欺 自 心 “쏙이지 말그래이.” 성철 스님은 생전에 자신을 찾아오는 불자들에게 부처 앞에서의 ‘3000배(拜)’를 요구했다고 한다. 절하느라 진이 빠진 상대방이 ‘이제 진리를 말씀해 주십시오’라고 말하면 그의 말은 짧고도 한결같았다고 한다. “쏙이지 말그래이.” 누구를 속이지 말라는 것일..
2010.03.04 -
자기 자신으로 돌아가라 /법정스님
◆ 자기 자신으로 돌아가라 ◆ 그 누구라도 설령 부처라 해도 우리에게 깨달음을 줄 수는 없다. 깨달음은 우리 안에 우리 마음속에 들어 있기 때문이다. 마치 과일에 씨앗이 박혀 있듯이 우리 마음속에 깨달음의 빛이 들어 있다. 우리 자신이 그것을 찾지 않고 있을 뿐이다. 우리가 수행을 한다는 것은 ..
2010.03.03 -
국악교성곡 부모은중송
국악교성곡 부모은중송 광덕스님 글 / 박범훈 곡 . -심지관경 부모은중송- 세간의 범부들은 지혜의 눈이 없어 은혜를 모르므로 묘한과보 잃는구나. 오탁으로 악한세상 여러가지 중생들이 깊은은덕 못깨닫고 크신은덕 배반하니 내이제 사(四)중은을 널리열어보이고서 바른지견 들게하여 보리도를 닦게..
2010.03.03 -
가사(승려의 법복)
가사 /가사를 입은 모습 가사 /가사, 이점순, 2006대한민국명장박람회 가사(승려의 법복) 법우님들께서 신행생활 속에서 궁금해 하시는 사항 중에 스님들께서 수하고 계시는 가사(법복)에 대하여 오늘 가사(승려의 복법)이란 주제로 지면과 시간상 이를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합니다. 우선 오늘 법문(法..
2010.03.02 -
이것이 중도(一異中道)이다
이것이 중도이다 ../ 바라밀님 일이중도(一異中道) 일이중도는 영혼과 육체는 동일한 것인가 다른 것인가 하는 모순된 두 견해를 물리치기 위해 이야기한 것이다. 앞에서 살펴본 단상중도는 일이중도와 근본적으로 다름이 없다. 죽으면 그만이다는 단견은 육체와는 별개의 영혼은 없다는 생각에서 비..
2010.03.01 -
여주선생의 저승문답
여주선생의 저승문답 이 글은 1945년경 중국의 유명한 재판관인 여주선생이란 사람이 실제 살아서 저승에 가서 명부 재판관을 지냈다는 믿기 어려운 얘기입니다. 우리가 간간이 들어왔던 저승에 대한 얘기를 명부에서 벌어지는 재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여기 글들이 전부 사실이라 확인할 ..
2010.03.01 -
지견은 열고 살라/무불스님
지견은 열고 살라/무불스님 부처님의 지견을 배우자. 각양각색의 삶을 살아 가지만 결론은............. 만법귀일 일귀하처.라 하셨다. 제왕 재벌 유명인 무명인 .생노병사 우비고뇌의 인생이다. 동서고금이 그러하고 만유법계 가 그러하다. 행복과 불행 슬픔과 기쁨.영광과 좌절 고난과 역경 . 업연의 길..
2010.03.01 -
기복불교, 도인 불교, 밝은 불교
[기복불교, 도인 불교, 밝은 불교] 우리나라 불교의 문제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겠지만, 기복불교와 도인불교의 폐해도 생각보다 훨씬 깊은 것 같습니다. 우선 기복불교는 겉모습은 불자이지만 속마음은 불자가 아닌 듯합니다. 부처님께 절을 하고 부처님을 흠모하지만, 속에는 온통 복 받을 생각만 가..
2010.02.26 -
가장 작은 것, 근원은 없다-무원론無元論
가장 작은 것, 근원은 없다 -무원론無元論 사람이라면 누구나 안정을 희구하고 평화를 염원한다. 하지만 사회와 국가들의 현실적 존재터인 세계의 모습을 보면, 평화를 염원하는 개인들의 집단이라고 생각하기에는 어딘가 이상한 느낌이 들 정도로 평화롭지 못하다. 그러다 보니 여러 단체나 국가가..
2010.02.25 -
광덕스님 일상 명상 언어 모음
광덕스님 일상 명상 언어 모음 一.생명 생명은 밝은 데서 성장한다. 인간은 밝은 사상에서 발전이 있다. 우리의 본래 면목이 밝은 생명이기에. 어둠을 찢고 솟아오르는 찬란한 아침 해를 보라. 거침없는 시원스러움이, 넘쳐나는 활기가, 모두를 밝히고, 키우고, 따뜻이 감싸주는 너그러움이 거기 있다. ..
2010.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