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제불조사스님(1523)
-
낮춤으로 진리가 보인다 / 법상스님
낮춤으로 진리가 보인다 달은 수줍음을 타는 듯 자주 구름 속에 숨는다. 수행하는 사람도 달처럼 수줍어 하며 마음을 낮추고 겸손하라. 남이 이익을 얻거나 공덕을 지을 때 그것을 시기하지 말고 자기 자신의 일처럼 칭찬하고 기뻐하라. 자기를 높여 뽐내지 말고 남을 깔보고 업신여기지 ..
2013.08.08 -
달라이라마의 행복론
1. 행복에 대한 토론 사람들은 마음의 수행을 통해 차츰 고통을 가져다주는 것들을 버리고 행복을 가져다 주는 것들을 키우기 시작한다. 이것이 바로 행복에 이르는 길이다. 2. 단순한 지혜 어떤 순간에 행복이나 불행을 느끼는 것은 우리가 상황을 어떻게 받아 들이며 자신이 가진 것에 ..
2013.08.08 -
어디에도 걸림없네/서암큰스님
**어디에도 걸림없네** 서암 큰스님 중생이라 모자라지 않고, 부처라 더하지도 않고 불교에서 말하는 마음이란 세속 사회에서 쓰는 마음이라든가 또 세상의 유심론이니 유물론이니 하는 상대적이고 이원적인 마음과는 차원이 전혀 다릅니다. 불교에서는 이 마음을 5종심으로 나누어 보거..
2013.08.01 -
산은 푸르고 물은 흘러간다 - 숭산스님과의 면담
산은 푸르고 물은 흘러간다 - 숭산스님과의 면담 문 : 어려운 경제상황으로 서민들의 삶이 힘겹기만 합니다. 그러나 정치권 일부에서는 이에 아랑곳 없이 정쟁에 몰입하고 있는듯한 양상입니다. 국민들이 이 어려운 상황에서 어떠한 마음가짐으로 살아야 하는지요? 숭산 스님 : 화(禍)와 ..
2013.07.25 -
보리방편문의 핵심 / 청화스님
보리방편문(菩提方便門)의 핵심, 심즉시불(心卽是佛) 부처님 법문 가운데서 가장 고도한 법문은 대체로 심즉시불이라, 즉 마음이 바로 부처라는 말씀을 다 하고 있습니다. 우리 중생들은 ‘이렇게 못나고 좁은 마음이 어떻게 부처일 것인가?’ 이렇게 회의를 품습니다만 이것은 우리 마..
2013.07.18 -
왜, 걱정하십니까 ? / 관허스님
왜, 걱정하십니까 ? / 관허스님 인생의 날 수는 당신이 결정할 수 없지만 인생의 넓이와 깊이는 당신 마음대로 결정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모습은 마음대로 결절할수 없어도 당신 얼굴의 표정은 마음대로 결정할 수 있습니다 그 날의 날씨는 당신이 결정할 수 없지만 당신 마음의 기상은 ..
2013.07.18 -
자신의 집을 갖지 않은 사람 / 법정스님
자신의 집을 갖지 않은 사람 / 법정 스님 지난번 태풍으로 인해 오두막으로 가는 다리가 떠내려갔다. 다리라고 해야 통나무 서너 개로 얼기설기 엮어 개울 위에 걸쳐 놓은 것인데 개울물이 불어 자취도 없이 사라지고 말았다. 태풍이 오던 그 무렵은 마침 여름 안거 끝이라 나는 밖에 나와..
2013.07.11 -
항상 광명을 밝히는 옛거울 / 법현스님
항상 광명을 밝히는 옛거울 / 법현스님 지위 고하를 불문하고 모두 바쁘게 살아가고 있습니다. 먹고 사는 생활수준은 옛날보다 말할 수 없이 윤택해졌으며 정보통신의 생활수단 또한 옛날보다 엄청나게 빨라져서 보다 여유로운 마음으로 살아가야 마땅한데도 현실은 전혀 그렇지 않습니..
2013.07.11 -
특별한 것 없음 알기에 특별하다고 이름 붙인다 / 지유스님
특별한 것 없음 알기에 특별하다고 이름 붙인다 우리가 알고자하는 불교의 참뜻이 번거로운 것은 아닙니다. 目標는 한 곳인데, 한 곳을 보고 있는 사람들이 各者 지금까지 배워온 學文, 知識, 經典을 바탕으로 수많은 表現을 하는 것입니다. 眞理다, 菩提다, 道다, 涅槃이다, 父母未生前 ..
2013.07.04 -
마음의 자리 / 서암 큰스님
마음의 자리 / 서암 큰스님 옛날에는 대의삼장이라고 하는 이는 공부를 많이 해서 사람들의 마음을 훤히 볼 수 있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저 사람이 나를 욕하면 나를 욕하는구나, 무슨 근심이 있으면 어떤 근심을 하는구나 하고 그 마음을 환하게 알았습니다. 그런데 혜충국사가 그 사람..
2013.06.27 -
성모암(聖母庵)과 진묵대사
- 진묵대사 어머님 고조의씨를 기리기 위해 건립된 성모암(聖母菴) 전경 - 성모암(聖母庵)과 진묵대사 여름장마가 시작된다고 합니다. 오늘은 부모님에 대한 효도에 대해 생각해 보기로 합니다. 요즈음 부모님들은 자식을 위해 모든 것을 다 바치고 노인이 된 지금 자식의 봉양을 직접 받..
2013.06.20 -
우주적 마음(宇宙的 心)/청화큰스님
- 청화 큰스님 법문(금륜회관- 1992년 8월) -우리는 부디 내 마음 따로 있고, 네 마음 따로 있고, 그렇게 생각하지 마십시오. 우리가 잘못 보아서 내 마음은 지금 내 몸뚱아리에 들어 있겠지? 이것이 중생의 마음입니다. 마음이 물질과 같이 어데가 들어 있고 안들아 있고 하겠습니까. 마음은 어디가 들어 있고 안 들어 있고 하는 것이 아닙니다. 우주 전부가 마음인데 그 마음위에 인연 따라서 이렇게 몸뚱아리가 되어 놓으면 우리가 잘 못 생각해서 이 몸이 나다, 저 사람은 내 남편이다, 저 사람은 내 아내다, 이렇게 집착(執着)이 됩니다.내 남편만 중요하고, 내 아내만 중요하면, 신부(神父)가 생기고 비구(比丘)가 생기고 비구니(比丘尼)가 생기겠습니까. 물론 세속적(世俗的)인 차원에서 남편도 중요하고 아..
2013.06.13 -
반야도리(般若道理)/청화큰스님
- 청화 큰스님 법문(금륜회관- 1992년 8월) -이 가운데는 물리학(物理學)을 공부하신 교수님들도 많이 계시고 또 고등학교 이상 나오신 분들이기 때문에 이런 말씀을 드리면 충분히 이해를 하실 것입니다. 우리가 보는 어떠한 것이나 몸뚱아리나 소중히 아끼는 금(金)이나 은(銀)이나 말입니다. 모두가 다 본래로 금이 있는 것도 아닌 것이고 본래로 이런 몸이 있는 것이 아니지 않습니까.우리가 부모님한테 의지해 태어날 때는 우리가 흔적이나 있었습니까. 흔적도 없는 그것이 어쩌다가 부모님의 연(緣)을 만나서 영양을 섭취해서 이와 같은 몸이 되었습니다. 죽은 다음에 이와 같은 몸이 흔적이나 있겠습니까. 이와 같이 공(空)에서 흔적도 없이 나왔습니다. 현대 천체물리학에서 본다면 텅텅빈 자리에서 우주(宇宙)가 이루어..
2013.06.13 -
아상을 다스리는 법/법륜스님
아상을 다스리는 법 사람에게는 누구나 다 자기 중심성이 있습니다. 이 세상 모든 사람이 그렇습니다. 이것은 인간이 갖고 있는 하나의 특징 이에요. 자기 중심성 이란 사물을 인식할때 자기를 기준에 놓고 인식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앞, 뒤, 좌, 우를 말할때 실제 공간상에 앞이 있고 뒤..
2013.06.06 -
네 가지 고독 / 법상스님
네 가지 고독 / 법상스님 사람에게는 네 가지 고독함이 있다. 태어날 때도 혼자서 오고, 죽을 때도 혼자서 가며, 괴로움도 혼자서 받고, 윤회의 길도 혼자서 간다. <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 > 업을 짓는 것도 나 자신 혼자이고, 업을 받는 것도 나 자신이 혼자서 받는다. 태어나고 늙..
2013.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