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불교교리·용례(1812)
-
진언권공(眞言勸供)
불보살께 불공을 올릴 때 진언으로 공양을 권하는 것이다. 사다라니와 운심공양진언(運心供養眞言).보공양진언(普供養眞言). 보회향진언(普回向眞言).원성취진언(願成就眞言).보궐진언(補闕眞言) 등이 있다. '사다라니'란 향기로운 음식들을 널리 나열해 놓고 그 음식공양이 원만히 성취되기 위하여 ..
2007.06.09 -
축원(祝願)
축원은 삼보에 귀의하고 지금까지 닦아 온 공덕을 보리와 중생과 실제에 회향하여 부처님의 본원과 공양자의 소원이 속히 성취되기를 염원하는 의식이다. 그러므로 불교의 축원은 무조건적인 기복이 아니라 예불과 예참을 통하여 자신의 마음과 몸을 청정히 하고 난 후에 불보살님의 가피를 발원하는..
2007.06.09 -
각단불공(各壇佛供)
각각의 불보살님을 청하여 공양드리므로 각청(各請)이라고 한다. 그 대상에 따라 미타청.관음청.약사청.지장청.나한청.칠성청. 신중청(중단권공과 동일).산신청.조왕청.독성청 그 밖에 여러 청이 있다. 의식절차는 거의 비슷하고 각청의 대상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의식으로 바꾸면 된다. ※ 1. 미타청(..
2007.06.09 -
수계의식(受戒儀式)
계(戒, sila)란 삼장 중 율장에서 설한 것으로 잘못된 것을 막고 악을 그치게 하여 날로 선을 증장시킨다고 하여 계학.정학.혜학의 삼학 중에 계학에 넣어 중시하고 있다. 계의 양상에 따라 소승계와 대승계가 있고 대승계에는 삼귀계(三歸戒). 삼취정계(三聚淨戒;섭율의계.섭선법계.섭중생계). 십중금계(..
2007.06.09 -
청법의식(請法儀式)
불자가 법사님께 법을 청하는 의식이다. <사분율(四分律)>에서는 옷을 걷어붙인 사람, 가사를 목에 두른 사람, 머리를 덮은 사람, 뒷짐지고 있는 사람, 가죽신.나막신을 신고 있는 사람, 수레나 말.코끼리 등을 타고 있는 사람에게는 법을 설하지 말라고 하였고, 또한 청법자가 앉아 있는데 설법자는..
2007.06.09 -
결제(結制)/해제(解制)의식
출가수행승들이 일정기간 동안 교화행을 중지하고 수행처에 머무는 것을 안거(安居)라고 하고, 이 안거에 들어가는 것을 결제, 안거를 끝내는 것을 해제라 한다. 안거는 범어 varsa의 번역으로 결제의 뜻이다. 인도의 수행자들은 여름의 우기에는 활동에 제약이 있고, 이때 무의식적으로 저질러지는 살..
2007.06.09 -
점안의식(點眼儀式)
불교신앙의 대상에다 생명력을 불어 넣어 주는 의식으로 개안의식(開眼儀式)이라고도 한다. 불상이나 불화.만다라.석탑.불단 등을 새로 만들거나 개수 하였을 때 반드시 이에 공양하고 불구(佛具)의 근본서원을 나타내기 위하여 여법하게 점안의식을 행한다. <석문의범> 점안편에는 불상점안과 나..
2007.06.09 -
이운의식(移運儀式)
일정한 장소에 안치되어 있는 괘불이나 가사.사리 등을 의식집행을 위해서 다른 장소로 옮길 때 행하는 의식이다. 그 종류로는 괘불이운.불사리이운.승사리이운 금은전이운. 경함(經函)이운.법신이운.시주(施主)이운 등이 있다. ※ 1. 괘불이운(掛佛移運) 괘불이운은 재 등을 위해서 괘불을 내어 걸 때 ..
2007.06.09 -
시다림(尸陀林)
죽은 이를 위해 장례전에서 행하는 의식이다. 원래 인도의시타림(sita-vana, 寒林)에서 연유한 말로 추운 숲, 시체를 버리는 곳이란 뜻이다. 왕사성 옆에 있던 곳으로 죽은 시신을 이 숲에 버리면 독수리 떼들이 날아와 먹어 치우는 조장(鳥葬)에서 유래한 말이다. 뜻이 바뀌어 우리나라에서는 망자를 위하..
2007.06.09 -
천도의식(薦度儀式)
망자의 영혼을 좋은 극락으로 보내기 위한 의식이다. 주로 독경.각종 법회.시식.불공 등으로 행해지며 그 종류도 49재.100일재.연년기제.소상.대상 등 정기적 천도재와 수륙재, 특별히 필요에 따라 시설하는 부정기적인 천도재 등이 있다. 정기적인 재의 경우 7일부터 7.7일재와 100일재.소상.대상을 합하..
2007.06.09 -
시식
시식(施食)이란? 죽은 자를 천도하여 극락정토에 왕생시키기 위해 재를 올리고 법식(法食)을 주면서 법문을 들려 주고 경전을 읽어 주며 염불을 해 주는 의식 또는 스님에게 재식(齋食)을 공양하는 것과 아귀(餓鬼)에게 음식을 베풀어 먹이는 의식 등을 말한다. 그 유래는 <소아귀경(召餓鬼經)>에 아..
2007.06.09 -
영산재
영산재란 무엇인가 영산은 영산회상의 줄인 말이고, 재의 어원은 범어 uposadha에서 유래된 말로써 스님들의 공양의식을 뜻한다.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영취산에 계시며 설법하시던 때의 모임으로, 이 법회에 동참한 모든 청문중(聽聞衆), 외호중(外護衆)이 환희심을 일으키고 시방의 제석천왕과 수많은 ..
2007.06.09 -
사십구재(49재)
영가(靈駕)가 돌아가신 날로부터 칠일마다 한번씩 재를 올리게 되는데 그것을 일곱번에 걸쳐 올립니다. 그 일곱번에 걸쳐 올립니다, 그 일곱번째 재를 막재 또는 사십구재라고 합니다. 보통 칠일마다 올리는 재는 간소하게 하고 마지막 사십구일이 되는 일곱번째 올리는 재는 영가가 정성으로 차린 재..
2007.06.09 -
불교의 장례 (다비식 ,영결식)
[ 불교식 장례 ] 임종에서부터 입관까지의 절차는 일반 상례와 대동소이(大同小異)하며, 오직 영결식의 방법이 다를 뿐이다. 불교의 장례의식은 의례 법규인《직문의법》에서 설명하고 있지만 자세하지는 않다. ▶ 다비식(茶毘式) 불교 장례의식 가운데 특히 화장(火葬)의식을 이르는 말이다. 범어 jhapi..
2007.06.09 -
사찰의 어원
★사찰의 어원 인도에서 정사나 가람(상가라마)이라고 불리던 것이 중국에 들어 오면서 사(寺)라고 불리게 되었다고 합니다. 한자(漢字)의 사(寺)는 공공기관의 뜻이 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사(寺)라는 말은 중국에서는 사찰이라는 의미로 사용하기 이전에 관아에 붙여 쓰던 말이었다고 합니다. 사(..
2007.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