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불교교리·용례(1812)
-
[서광스님의 치유적 불교읽기]① 읽기전에
[서광스님의 치유적 불교읽기]① 읽기전에 마음공부는 앎과 실천을 통한 변화의 과정 깨달음은 고정관념 깨뜨려 소통시키는 것 불자가 되고 불교공부를 한다는 것은 곧 마음공부, 마음수행을 한다는 의미다. 그래서 많은 선지식들은 팔만대장경을 마음 심(心)자, 한마디로 표현했다. 출가·재가 할 것..
2011.05.07 -
경계를 놓아라 2/한마음 선원
21) 없는 무(無)가 아니라 꽉찬 무(無). 22) 마음의 중심을 튼튼하게 다지기 위해서 다른 종교의 성전(聖殿)에 가볼 수도 있을 것이다. 교회든, 성당이든... 몸이 어디로 가든 그것은 상관없는 일이다. 다만 내면의 자기 자신을 잃어서는 안 된다. 문제는 껍질이 아니라 알맹이이며, 그 알맹이는 곧 자기 자..
2011.04.29 -
부처님께서 이르시기를 파멸에 이르는 문은
부처님께서 이르시기를 파멸에 이르는 문은 - 1."잘되는 사람도 알아보기 쉽고, 파멸하는 사람도 알아보기 쉽다. 진리를 사랑하는 사람은 잘되고, 진리를 싫어 하는 사람은 파멸한다." 2."나쁜 사람들을 가까이하고 착한 사람들을 멀리하며, 나쁜 사람이 하는 일을 좋아하면 이것은 파멸의 문이다." 3."아..
2011.04.24 -
고정관념으로 믿음을 가져서는 안된다
의심스러운 것을 대하면 마음속에 혼란이 일어나기 마련이다. 고정관념으로 믿음을 가져서는 않된다. "칼라마인들이여, 그대들이 의심하고 혼란스러워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의심스러운 것을 대하면 그대들의 마음속에 혼란이 일어나기 마련이다. 그대 칼라마인들여, 거듭 들어서 얻어진 지식이..
2011.04.24 -
신을 직접 본적이 있는가?
신을 직접 본적이 있는가? 부처님이 태어나신 곳은 까필라와스뚜(Kapilavastu)이다. 지금의 네팔 안에 있다고 한다. 그런데 까필라와스뚜를 방문한 적이 있는 도올 김용옥 교수는 어느 TV의 특강에서 “게와집 몇개 있는 조그마한 동네”라고 하였다. 이는 우리가 상상하고 있는 큰 나라의 왕자가 아니라 ..
2011.04.16 -
나와 우리는 모두 은혜 속의 주인공들입니다/해월스님
나와 우리는 모두 은혜 속의 주인공들입니다 해우소에 근심 덜어내려 갔다가 볼일을 보고 두루말이 화장지를 펴 내리는데 문득 아주 오랜동안 아무런 생각없이 화장지를 써왔지만 내가 사용하고자 직접 화장지를 사 보거나 해우소에 걸어 둔적이 없음을 생각합니다 근심을 덜어내고 나서 양치와 세..
2011.04.16 -
좋은 친구를 만나면 좋은 세상을 살게 된다
<<좋은 친구를 만나면 좋은 세상을 살게 된다.>> (함께 사는 세상) 불자님들 새소리가 유난히 맑고 행복해 보입니다. 사람은 자연과 더불어 살고 또 여러 사람들과 함께 오순도순 잘 사는 것이 행복한 삶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함께 사는 소중함을 모르고 이기심 때문에 자기나 자기자식 또는 ..
2011.04.08 -
일승법문/현정선원 법정님
'무명'이 본래 없고, '부처'도 없음을 알면 이를 일러 '깨달은 사람'이라 한다. '삶'과 '죽음'의 문제는 인간의 역사가 시작된 이래로 줄곧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아온 중요 명제였다. 인간세상의 모든 일들, ··· 정치,경제, 사회, 문화, 종교 등, 그 어떤 분야도 궁극적으로는 이 생사문제와 연관되..
2011.04.02 -
부처님의 깨달음과 불교교리는 무엇인가?
부처님의 깨달음과 불교교리는 무엇인가? 수행자는 왜 재가자의 스승이 되는가? 단현 부처님 당시 수많은 사람들이 개인의 고통이 왜 있는가를 의문하여 출가의 길을 나섰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은 부처님의 출가는 일반적인 출가자와는 출가동기가 다르다는 것입니다. 그것은 깨달음의 ..
2011.03.26 -
우리가족은 왜 부처님의 가피가 내리지 않나요?
<< 우리가족은 왜 부처님의 가피가 내리지 않나요? >> ◇ 불자여러분~ 일본 대지진으로 일본국민들이 겪는 고통은 심각합니다. 세계 각국에서 구호의 손길을 내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웃 일본을 도와주려는 운동이 각계각층에서 크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렇게 ..
2011.03.26 -
외도에 대한 올바른 지식
외도에 대한 올바른 지식 나는 한국의 고승들을 존경하고 불교를 이해하고 공부 하는데 늘 귀감을 삼아왔다. 그러나 고승들이나 근세 입적한 큰스님들이 남겨놓은 글들을 읽고 매우 감동을 받기도 하였지만 때론 실망했든 점도 솔직히 있었다. 나는 청하스님의 청순한 불자행이 마음에 들어 항상 존..
2011.03.20 -
기독교는 왜 초기불교를 두려워 하는가?
한국불교의 진짜위기는, 누가 초기불교를 가장 두려워하는가 초기불교에서 빈번하게 접하게 되는 단어는 ‘무상’ ‘고’ ‘무아’이다. 이를 테라와다불교에서는 ‘삼특상’이라 하고, 이것을 토대로 만든 것이 북방대승불교에서 말하는 ‘삼법인’이라 볼 수 있다. 삼법인의 경우 세가지 법의 도..
2011.03.13 -
더 나이 들기전에, 둑카아리야삿짜(Dukkha Ariya Sacca, 苦聖諦)
더 나이 들기전에, 둑카아리야삿짜(Dukkha Ariya Sacca, 苦聖諦) 말 못할 사연이 이른 아침 일터로 가는 길에 어떤 사람이 쭈그리고 앉아 있는 모습을 발견 하였다. 머리가 ‘희끗 희끗’한 노인으로 보였는데 고개를 숙여 얼굴을 두 무릎에 파 묻고 있었다. 주변에 서민들이 즐겨 찾는 술집과 카페가 많아 ..
2011.03.04 -
세상일을 똑똑하게 분별하려 하지 마라/경허선사
세상일을 똑똑히 분별하려 하지 마라 세상일을 똑똑히 분별하려고 하는 것은 똥덩어리를 가지고 음식을 만들려고 하는 것과 같고 진흙 가지고 힌 옥을 만들려는 것과 같다. 성불하여 마음을 닦는 데는 그것조차 쓸데없는 짓이니 부디 세상일을 잘하려고 하지 말라. 또한 다른 사람이 죽는 것을 내 몸..
2011.03.04 -
불전의식(佛殿儀式)
불전의식(佛殿儀式) 불보살님 전(前)에 드리는 예경의례(禮敬儀禮)로 조석예불(朝夕禮佛)과 삼보통청(三寶通請)을 비롯하여 각종 재공양(齋供養)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발전해 온 의식으로 다음과 같다. (1) 일용의식(日用儀式) 불가(佛家)에서 매일 일상적으로 반복되는 의식으로 도량석(道場釋), 종..
2011.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