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유식사상(64)
-
승의
37.삼무성 &#8211; 즉의차삼성 입피삼무성 고불밀의설 일체법무성 초 즉사무성 차 무자연성 후 유원이전 소집아법성. 부처님께서 은밀히 전한 뜻은 일체법이 무성하다 이다. 본래 성품이 고정돼 있지 않다. <상무성> 만법은 본래 삼성이 없다. 다만 중생이 변계하여 상을 집착하므로 허상에 얽매..
2007.06.09 -
원성실성
34.원성실성 &#8211; 의타기자성 분별연 소생 원성실어피 상원이전성 의타기성은 인연을 분별하여 생긴 것이다. 변계소집성을 멀리 여위면 원성실성이 된다. 의타기성은 오관이 한다. 6식은 분별하고 7식은 집착한다. 아뢰야식은 같이 움직이지만 자기 할 일이 없다. 아뢰야식은 성품이 무부무기라 7..
2007.06.09 -
생사윤회의 원인
생사윤회의 원인 &#8211; 유제업습기 이취습기 구 전이숙 기진 부생여이숙 제업습기=조업습기. 이취습기=능소습기. 능취소취. 소는 주관능변으로 짖는 업의 습기. 행동이 모두 업이 된다. 직업에 따라 상당한 업의 변화가 있다. 장자는 직업<예 화살:방패 제조>은 업과 관계없다 했지만 다르다. 전..
2007.06.09 -
의식의 활동과 단절
의식의 활동과 단절 &#8211; 의식상현기 제생무상천 급무심이정 수면 여민절 무심의 상태. 무심이정<무상정 멸진정> 또는 잠들거나 혼절되면 의식이 생기지 않는다. 오위무심경<무상천 무상정 멸진정 수면 혼절> 의식이 정지되면 신진대사가 정지된다. 선정에 들면 사람 몸을 가지고 동면하..
2007.06.09 -
전의식의 의지처
26. 제8아뢰야식, 제7말라식, 제6식의 심소 5변행심소<촉 작의 수 상 사> + 5별경심소<욕 승해 염 정 혜> +11선심소<신 참 괴 무탐 무진 무치 근 안 불방일 행사 불해> + 6근본번뇌<탐 진 치 만 의 악견> + 20수번뇌<염 부 뇌 질 간 광 첨 해 교 도거 무참무괴 혼침 불신 해태 방일 실념 산란>..
2007.06.09 -
번뇌
23.근본번뇌<탐 진 치 만 의 악견> 탐 &#8211; 적은 것을 싫어하고 많은 것을 좋아하며 괴로움을 피하고 즐거움을 취하는 등 추구함이 끝이 없다. 진 &#8211; 진노. 악인을 만나거나 곤경에 처해 심의를 거스리면 진노가 생겨 극악한 업을 짖게 되므로 이를 진이라 한다. 치 &#8211; 우치 곧 무명. ..
2007.06.09 -
11선심소
21.5변행5별경심소. 초변행 촉등 차별경 위욕 승해 염 정 혜 소연사 부동 소연사부동 &#8211; 소연사는 5변행 5별경등의 반연하는 일이요 부동은 이 심소가 각기 개별적인 경계를 반연 대상으로 삼기 때문에 부동이라 한다. 욕 &#8211; 희망하고 원구하는 마음이니 선악 2종이 있다. 선은 선을 행하고자..
2007.06.09 -
육식의 심소
18.육식. 차제삼능변 차별유육종 요경위성상 선불선구비 차별은 안이비설신의 6가지로 하며 경계를 요별하는 성상으로 삼는데 선에도 작용하고 악에도 작용하고 무기<비>에도 작용한다. 6식 자체만 분명해도 이 세상 사는데 성공한다. 6식은 아뢰야식 말라식이 가진 심소 51개를 모두 가지고 있다. ..
2007.06.09 -
말라식
15.칠식의 본성 능변 &#8211; 제1능변은 아뢰야식이고 제2능변은 말라식이다. 능변이라 함은 아견에 집착하여 주관적 사고를 고집하기 때문에 객관적 분별이 생겨 주객 능소 피차 등을 자기 입장에서 하므로 능변이라 한다. 말라식의 주업무는 6식을 거느리고 8식을 의지하며 생각하고 헤아리는 사량..
2007.06.09 -
심멸처
12.오변행심소 촉 &#8211; 육근 육경 육식 삼법이 화합하여 감각을 일으킴을 말한다. 작의 &#8211; 반응의 의미. 근 경 연이 3화를 이루어 분별하고 번역하는 반응을 뜻한다. 수 &#8211; 수용의 뜻. 순경과 역경 비순비역의 경계를 수용한다는 의미. 순경계에 대해서는 수락을 일으키고 역경계에 대해..
2007.06.09 -
세 가지 마음<유식삼십송>
9.세가지 마음<삼식> 이 세상을 만드는 주체는 3가지 마음 뿐이다. 이숙식 &#8211; 제 8식.아뢰야식. 함장식. 일체 종자식. 선악의 인에 함장하기 때문에 종자라 하고 선악의 인에 의해서 받는 과보가 다르기 때문에 이숙이라 한다. 사량식 &#8211; 제7식. 말라식. 이 식의 특징은 모든 것을 항상 살..
2007.06.09 -
유식삼십송
5.나는 무엇인가? 나란 실제 존재하는가? 과연 어떤 존재인가? 유식삼십송은 이렇게 시작한다. 이 세상을 주재하는 것은 오직 마음 뿐이라고. 유가설아법 유종종상전 피의식소변 차능변유삼 &#8211; 아와 법을 가설하므로 가지가지 모양과 가지가지 변화가 있다. 그 것은 마음에 의해 변하는 것이며 ..
2007.06.09 -
유식삼십송
1.유식이란 무엇인가? 유식은 마음이다. 부처님 깨달음이다. 정신과 물질등 내외 모든 건 오직 심식에 의해 창조되며 심식을 떠나 존재할 수 없다는 삼계유인설에서 기인한 말로 마음을 뜻한다. 인간은 선업에 의해 증진될 수도 있고 악업에 의해 퇴보할 수도 있다. 유식의 근본은 무아다. 지수화풍이 ..
2007.06.09 -
관심과 관법
운명을 무엇이 주재하는지 보라. 처음부터 관하라. 부처님 사상은 유심사상이다. 마음이 우리 업의 주인이다. 마음이 가는 곳에 동한다 누가 시켜서 그런 게 아니다. 우리는 빨간 사과를 보는 나와 내게 보여진 빨간 사과를 각각 별개의 실재로 간주한다. 인식주관<능연>과 인식객관<소연>이 ..
2007.06.09 -
삼성
무아 <가설아법> 없는데 있다고 가설한다. 안이비설신의<6식> &#8211; 말라식<7식> &#8211; 아뢰야식<8식> 마취를 해서 6가지 감각기관이 정지돼도 살아나는 이유는 다른 의식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제 7 말라식은 잠재능력으로 예지하는 능력이 있고 사량하며 물이 든다. 말라식은 제..
2007.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