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철학·종교(당신의 덕분입니다)/유교(儒敎)(73)
-
不知其仁 그 인에 대해서는 알지 못한다. (제 5편 공야장)
不知其仁 그 인에 대해서는 알지 못한다. (제 5편 공야장) ② 공자께서 자천(子賤)에 대해 이르시기를, "이런 사람이야말로 정말 군자로다. 만약 노나 라에 군자가 없었다면, 이 사람이 어찌 이러한 덕을 취할 수 있었으리오." (子謂子賤 君子哉 若人 魯無君子 斯焉取斯) ③ 자공이 묻기를, "저는 어떤 사..
2007.11.11 -
可妻也 (사위 삼을만 하다) (제 5편 공야장)
可妻也 (사위 삼을만 하다) (제 5편 공야장) 제5편 공야장(公冶長) ① 공자께서 "공야장은 가히 사위를 삼을 만하다. 비록 그가 검은 노끈으로 묶여 있었으나 그것은 그 사람의 죄가 아니니라." 하시고, 그의 딸을 공야장의 아내로 주셨다. 공자께서 "남용(南容)은 나라에 도가 있으면 버림을 받지 않고, ..
2007.11.11 -
덕은 외롭지 않다. (德不孤) (제 4편 이인)
덕은 외롭지 않다. (德不孤) (제 4편 이인) (25)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덕은 고립되어 있는 것이 아니다. 반드시 그 이웃이 있느니라." (子曰 德不孤必有隣) <강독> 덕(德)은 마음을 잘 닦고 길러서 얻어지는 사람의 품성이라고 할 수 있다. 어떤 사람은 대단히 지혜롭지만 어딘가 차가운 느낌이 있는..
2007.11.11 -
검약하면 잃을 것이 적다. (以約失之者 鮮矣) (제 4편 이인)
검약하면 잃을 것이 적다. (以約失之者 鮮矣) (제 4편 이인) (22)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옛사람들이 말을 앞세우지 않았던 것은 몸이 말에 따르지 못할까 두려워서이니라." (子曰 古者 言之不出 恥躬之不逮也) (23)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검약하면 잃을 것이 적으니라." (子曰 ) (24) 공자께서 말씀하시..
2007.11.11 -
은근히 간할 것 (幾諫) (제 4편 이인)
은근히 간할 것 (幾諫) (제 4편 이인)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부모를 섬기되 허물이 있거든 은근히 간할 것이니, 간함을 따르지 않더라도 더욱 부모님을 공경하며 수고로워도 원망해서는 안되느니라." (子曰 事父母 幾諫 見志不從 又敬不違 勞而不怨) 자유가 말하기를, "군왕을 섬기는데 자주 간하면 ..
2007.11.11 -
먼저 자신을 살펴보라(內自省) (제 4편 이인)
먼저 자신을 살펴보라(內自省) (제 4편 이인)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어진 사람을 보고 자신도 그와 같이 되기를 생각하며, 어질지 아니한 사람을 보면 나 자신을 스스로 살펴야 하느니라." (子曰 見賢思齊焉 見不賢而內自省也) <강독> 어떻게 보면 당연하고 쉬운 말씀인데 실제로는 그렇게 잘 안..
2007.11.11 -
하나로 관철되어 있다 (一以貫之) (제 4편 이인)
하나로 관철되어 있다 (一以貫之) (제 4편 이인) ⑫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이익에 따라 행동하면 원망이 많으니라." (子曰 放於利而行 多怨) ⑬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예(禮)와 양(讓)으로써 나라를 다스린다면 무슨 어려움이 있겠느냐? 그러나 예와 양으로 나라를 다스리지 못한다면 예제(禮制;제..
2007.11.11 -
무고정(無固定)의 삶 (제 4편 이인)
무고정(無固定)의 삶 (제 4편 이인) ⑧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으리라.” (子曰 朝聞道夕死可矣) ⑨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선비가 도에 뜻을 두고도 남루한 옷과 나쁜 음식을 수치로 여기는 자라면 함께 이야기를 나누기에 족하지 못하니라.” (子曰 士志於..
2007.11.11 -
잘못(過)을 볼 때 (제 4편 이인)
잘못(過)을 볼 때 (제 4편 이인)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사람의 허물은 그 종류에 따라 다른 것이니, 그 과실을 보면 그 인을 아느니라." (子曰 人之過也於其黨 觀過 斯知仁矣) <강독> 仁은 추상적 개념으로 이해되기 쉽다. 좋긴 좋은데 구체적으로 잡히지 않는다고 말하는 것을 종종 듣는다. 실제..
2007.11.11 -
仁을 좋아하는 것과 不仁을 미워하는 것 (제 4편 이인)
仁을 좋아하는 것과 不仁을 미워하는 것 (제 4편 이인) ⑥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나는 아직까지 진실로 어진 것을 좋아하는 사람과 진실로 어질지 않은 것을 미워하는 사람을 보지 못하였느니라. 어진 것을 좋아하는 사람이 있다면 더 바랄 것이 없으나, 어질지 않은 것을 싫어하는 사람이라 하더라..
2007.11.11 -
富와 貴, 貧과 賤 (제 4편 이인)
富와 貴, 貧과 賤 (제 4편 이인) ⑤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부와 귀는 사람들이 바라는 것이나 도로써 얻은 것이 아니라면 거기에 머물러 있지 말아야 한다. 빈과 천은 사람들이 싫어하는 것이나 도로써 얻은 것이 아니라도 피하지 말아야 한다. 군자가 인을 버린다면 어떻게 이름을 이룰 수 있으리요...
2007.11.11 -
安仁, 인을 편하게 여긴다. (제 4편 이인)
安仁, 인을 편하게 여긴다. (제 4편 이인) ②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어질지 않은 자는 곤궁한 곳에 오래 처하지 못하고 즐거운 곳에도 길게 처하지 못하지만, 어진 사람은 인에 편안해 하고, 지혜로운 사람은 인을 이롭게 여긴다. (子曰 不仁者 不可爲久處約 不可以長處樂 仁者 安仁 知者 利仁) ③ 공..
2007.11.11 -
마을의 풍속이 어질어야 (제 4편 이인)
마을의 풍속이 어질어야 (제 4편 이인) 제4편 이인(里仁) ⓛ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마을의 풍속이 어질어야 사람의 마음도 아름답게 되는 것이니,어진 곳을 택하여 살지 않는다면 어찌 지혜로운 자라고 할 수 있으리요!” (子曰 里仁 爲美 擇不處仁 焉得知) <강독>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고 이것..
2007.11.11 -
낙이불음 樂而不淫 (제 3편 팔일)
낙이불음 樂而不淫 (제 3편 팔일)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관저(關雎)는 즐거워하되 음란하지 않고, 슬퍼하되 상하기에 이르지 않느니라.” (子曰 關雎 樂而不淫 哀而不傷) <강독> 시경의 관저 편의 시를 칭찬하고 있다. 이 장에서는 사람의 감정의 조화에 대한 깊은 통찰을 느낄 수 있다. 흔히 사..
2007.11.11 -
사람이 어질지 않으면 禮와 樂으로 무엇을 할 것인가 (제 3편 팔일)
사람이 어질지 않으면 禮와 樂으로 무엇을 할 것인가 (제 3편 팔일) ③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사람이 어질지 않으면 예(禮)는 무엇을 할 것이며, 사람이 어질지 않으면 악(樂)은 무엇을 할 것인가?” (子曰, 人而不仁 如禮何 人而不仁 如樂何) ④ 임방(林放)이 예의 근본에 대해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
2007.11.11